금년에 중학교 1학년이 되는 학생들은 집중이수제에 따라서 수업을 몰아서 듣게 되었다. 1학년 때는 도덕을 일주일에 5시간 배우고, 2학년 때는 국사를, 그리고 3학년 때는 사회를 5시간씩 듣는다. 그것도 1년 동안. 그러니 해당 과목에 흥미 없는 학생은 아주 죽을 맛이다. 교사의 시간표를 배치하다 보니 한 과목을 한 반에 여러 선생이 가르치게도 된다. 물론, 진도는 다르지만. 나 역시 그 바람에 졸지에 도덕을 가르쳤더랬다. 도덕1, 도덕2, 도덕3 이렇게 세 명이 들어가는데 도덕1만 도덕 전공 선생님이고, 도덕2는 역사 전공샘, 도덕3은 사회 전공샘이 묻어서 들어갔다. 그리고 교재는 1.2학년 책을 나눠서 동시에 진도가 나간다. 어떤 반은 3교시에 도덕1을 배우고 4교시에 도덕2를 배우게도 된다. 그런데 책이 달라서 책은 두 권 필요함. 뭐 이런 어처구니 없는 교육 시스템인데, 이거 오래 못 갈 것 같다. 예체능 과목도 집중이수제로 나가는데 누구 발상인지 황당 그 자체. 끼인 아이들만 가여울 뿐.
비록 일주일에 한 시간씩이었지만 내가 맡았던 진도는 북한 관련 내용이었다. 분단의 배경과 역사, 북한의 체제와 현주소, 통일을 위한 준비, 자세, 효과 등등등...
북한이 소위 '고난의 행군 시기'라고 말하는 90년대 후반에 약 4년 동안 무려 300만 명의 사람들이 굶어 죽었다는 이야기를 하면 아이들은 잘 이해하지 못한다. 숫자도 너무 크고, 굶어 죽는다는 것 자체가 결코 피부로 와닿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한 학생이 북한 사람들 너무 멍청한 것 아니냐고 질문을 했다. 미리 양식을 비축해 두었다가 먹을 게 떨어지면 먹으면 될 것 아니냐는 반응에 순진과 무지가 만나면 참 갑갑하구나... 생각했다.
굶주리는 사람도 있다는 것을 생각하며 점심 급식 남기지 말자고 얘기를 하면 반응이 없지만, 매주 수요일 '잔반 없는 날'은 그런 당부 없이도 잔반이 거의 없다. 잔반을 남기지 않아서 우수한 성적을 자랑한 학급에게는 토스트 피자빵과 쥬스가 간식으로 나가기 때문이다. 한끼 간식의 힘도 이리 큰데 굶주림에 대한 연민도 같이 느낄 수 있다면 좋겠다.
학생들과 함께 들은 노래 중에서 이 노래가 가장 좋았다. 여러 가수들이 목소리를 보태어 마음을 전한 게 좋았는데, 유독 '김종국'이 나오면 아이들이 소리를 지른다. 좋다는 것도 아니고 아주 싫다는 것도 아닌 그 중간의 이상한 소리.. 난 이 중에서 이승철 부분이 참 좋더라.
올스타 '그 날이 오면'
>> 접힌 부분 펼치기 >>
그 날이 오면
수없이 계절은 바뀌어도
변치 않는 단 하나
그대를 향한 내 그리움
그리워 너무 그리워
우리의 이별은 너무 길다 이젠 만나야만 한다
서운한 마음은 모두 잊자
우리는 하나니까
우리의 소원은 단 하나
다시 만나야만 한다.
너와 나 두 손 꼭 잡고서
기쁜 노래를 부르자
모두가 기다리고 있다 우리 다시 만날 그 날
기쁨과 행복의 눈물로 세상 가득할 그 날을
그리운 백두산 산새 소리 한라산이 춤을 출 때
가슴에 맺혔던 애달픔이 이제야 녹는구나
우리의 소원은 단 하나
다시 만나야만 한다
너와 나 두 손 꼭 잡고서
기쁜 노래를 부르자
통일 노래를 부르자
|
<< 펼친 부분 접기 <<
개인적으로 가사가 참 마음에 와 닿는 '직녀에게' 가사는 늘 그 자체로 시다. 원래 시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