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밤티마을 봄이네 집 ㅣ 작은도서관 3
이금이 지음, 양상용 그림 / 푸른책들 / 2005년 10월
평점 :
밤티마을 시리즈의 완결편이다.
첫 시리즈를 쓸 때만 해도 이금이 작가님은 이 작품을 연작으로 할 생각이 없다고 하셨다. 그런데 독자들의 다음 편 요청이 이어지자 영미 시리즈를 기획하시고, 그리고 다시 봄이 시리즈로 완결편을 내신 것이다.
엄마가 집을 나가신 뒤 무서운 아버지를 피해 옆집 할머니네 집에 숨어 울던 오누이. 가난한 살림 때문에 할머니의 주선으로 동생 영미는 부잣집에 양녀로 들어가고, 큰돌이네 집에 팥쥐 엄마가 새로 들어오면서 영미도 집으로 돌아오게 된다. 얼굴에 곰보 자국이 가득한 팥쥐 엄마는 억척스런 외모처럼 억척스럽게 일하지만 맘씨만큼은 부드러운 사람이었다. 그 새엄마가 임신을 하면서 2편이 끝나니, 마지막 시리즈의 제목 '봄이'는 새엄마의 딸이라는 것을 미뤄 짐작할 수 있다.
새엄마는 예쁜 딸을 낳았다. 온 집안의 관심사가 다 봄이에게 쏠린 것은 당연. 아직 어리고 철없는 영미는 심통이 일었다. 그래서 동생 앞으로 온 돌 선물을 산에다가 묻기도 하고 가끔 아기를 몰래 꼬집기도 했던 것. 하지만 새엄마는 아기이기 때문에 신경을 썼을 뿐이지, 동화 속의 마녀급 새엄마로 돌변한 것이 아니었다. 그래도 맏이라고, 좀 더 머리 굵었다고 큰돌이가 부쩍 자란 모습을 보여줘서 대견스러웠다. 물론, 영미도 초반에만 속 썩이고 금세 예쁜 언니로 예쁜 딸로 돌아간다.
고추 농사로 큰돌이 중학교 가기 전에 컴퓨터 장만해 주는 게 새엄마의 목표였는데, 잘 여물어가던 고추는 태풍 한 방에 모두 나가 떨어지고 말았다. 온 식구들이 무너져 내린 고추 밭에서 망연자실했다가 다시금 일어서는 모습은 짠했다. 하지만 그보다 더 마음을 적신 것은 듣지도 못하고 말하지도 못하는 할아버지가 봄이를 잃어버린 뒤 집을 나간 사건이었다. 당신 몸의 장애도 힘겨우실 텐데, 그 마음의 죄책감을 어찌 감당하셨을까. 자식들에게 짐지우기 싫어하셨던 할아버지, 그 할아버지의 마음을 제일 먼저 알아챈 팥쥐 엄마의 효성스런 마음이 감동적이었다.
작가님은 후기에서 실제 모델이었던 오누이들은 친 엄마에게로 돌아갔다고 밝혔다. 잘 사는 새혼 가정도 물론 많겠지만, 그만큼 힘들어하는 새혼 가정도 많을 것으로 여긴다. 새엄마와 새출발하는 봄이네집 같은 이야기라면 얼마든지 해피엔딩일 테지만, 어디 그게 마음만큼 쉽던가.
작품은 고난과 역경 뒤 바람직하고 훈훈한 엔딩을 보여주면서 예쁘게 끝난다. 철없고 모났던 아이들은 한 뼘씩 성장했고, 둥글둥글하게 자랐다. 술 마시고 고함치던 아버지는 술과 담배를 끊고 자식 재롱에 함박 웃음을 지으신다. 몸이 편찮으신 할아버지를 새며느리가 지극 정성으로 모신다. 이웃과도 정이 도타운 예쁜 가정. 너무 동화적인 설정들인가? 그럴 수도 있겠다. 헌데, 인위적이지 않고 자연스럽다. 그게 소망이라 할지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