넉 점 반 우리시 그림책 3
이영경 그림, 윤석중 글 / 창비 / 2004년 1월
구판절판


윤석중의 동시에 이영경의 그림이 만났다.
아씨방 일곱 동무로 먼저 만났던 이영경 작가의 그림은 능청스러워서 절로 웃음이 나오게 된다.
아기가 아기가
가겟집에 가서

"영감님 영감님 엄마가 시방 몇 시냐구요."

시계가 일반화되지 않던 시절, 시간을 물으러 나온 아가가 가겟집에 얼굴을 빼꼼히 내민다.
그 시절 가겟집에 붙은 쪽방에 사는 영감님의 집안 풍경이 적나라하다.
다이얼을 돌리는 전화. 팔각 성냥갑, 세로 읽기 신문, 주판알, 기타 등등...

"넉 점 반이다."
네 시 반이란 소리다. 앞장에서 시계가 네 시 반을 가리키고 있었다.
가겟집 풍경도 빤히 들여다 보인다. 온갖 물건들이 가득 놓여 있고, 백열등 전구는 날이 저물면 밝게 빛날 것이다.
비닐 우산 한 무더기도 눈길을 끈다.
잠자다가 일어났는지 고양이의 가느다래진 눈매가 귀엽다.

"넉 점 반 넉 점 반."
아가는 중얼중얼 시간을 외는데, 문득 시선 끝에 닭 한마리가 눈에 들어온다.
무심하면서도 호기심이 녹아 있는 눈초리다.

아가는 오다가 물 먹는 닭
한참 서서 구경하고.

"넉 점 반 넉 점 반."
여전히 중얼중얼.

아기는 오다가 개미 거둥
한참 앉아 구경하고

"넉 점 반 넉 점 반."

여전히 중얼중얼. 심부름 하나만은 기막히게 완수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가상하다.

아기는 오다가 잠자리 따라 한참 돌아다니고.

"넉 점 반 넉 점 반."

역시나 중얼중얼 시간 외는 것을 잊지 않고...

아기는 오다가 분꽃 따 물고 니나니 나니나

단어의 조합을 약간 바꿔서 음악적 효과를 준 것이 즐겁다.
어릴 때 마당 있는 집에서 살적에 내가 키우던 분꽃과 똑같은 꽃무더기다.
괜히 반갑다.
꽃숲 너머 자전거 타고 지나가는 교련복 입은 까까머리 오빠들.
한쪽엔 나팔꽃도 보이고, 양산 쓴 아지매도 보이고, 모자 쓴 교복 입은 학상도 보이는구나.

해가 꼴딱 져 돌아왔다.
"엄마 시방 넉 점 반이래."

제 할 일을 다했다고 당당하게 말하는 저 아가. 그리고 멀뚱히 바라보는 일손 바쁜 엄마의 무심한 듯 어이 없다는 저 표정.
화가 나 보이진 않지만 할 말을 잃었다는 저 얼굴이 아가의 당당한 표정과 맞물려 독자를 즐겁게 한다.
그 시절 호롱불, 광주리, 고무신, 장독대 등등 집안 풍경을 들여다보는 재미도 솔솔하다.

기획이 아주 훌륭한 책이다. 시리즈를 더 찾아봐야겠다.
우리 시와 우리 그림의 멋드러진 조화를 더 감상하고프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바람 2009-01-26 09: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보고 완전 반했었지요

마노아 2009-01-26 12:12   좋아요 0 | URL
너무 예쁘지요. 모두 우리 맘같은가 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