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를 구한 꿈틀이사우루스
캐런 트래포드 지음, 제이드 오클리 그림, 이루리 옮김 / 현암사 / 200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생물과 흙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다큐멘터리 환경동화다.

지구의 역사 속에서 지렁이가 얼마나 위대한 일을 했는지를 아주 유쾌하게 코믹하게, 그러나 사실적으로 묘사해 주었는데, 이야기의 화자는 꿈틀이사우루스2세다.

지렁이의 입장에서 지켜봐 온 지구. 그리고 그 지구를 위해서 이들이 해낸 어마어마한 업적. 그리고 그것도 모르고 까분 인간들. 그 인간들이 지난 백 년 동안 망쳐 놓은 지구 환경에 대한 경종. 그리고 지렁이의 고마움을 깨닫기 시작한 인간의 변화상을 차례차례 '연대기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만약 지렁이가 얼마나 고마운 존재인지를 그저 서술했더라면 이 책이 얼마나 지루했겠는가. 지렁이에 대해 고마움을 느끼기도 전에 책을 덮었을 것이다. 다큐멘터리 환경 동화를 지렁이의 입장에서 코믹하게 설명한다는 이 설정이 이 책의 절반을 먹고 들어간 듯하다. 표지를 보니 교보문고 선정 좋은 책에 한우리 독서 운동본부 선정도서라고 적혀 있다. 알라딘에도 편집자 추천 도서에 목록을 올린 것으로 안다.  환경보호를 위해 재생지로 만들었는데 내가 좋아하는 이 빛깔도 참 맘에 든다. (근데 재생지가 더 비싸다고 하던데 진짜일까?)

책을 보면서 지렁이에 대해 놀라운 정보들을 많이 얻게 되었다.

지렁이는 알을 낳고 그 알에서 지렁이가 태어난다. 지렁이는 자웅동체고, 개체수를 조절하는 능력이 있다. 먹이가 많으면 알을 많이 낳고, 먹이가 적으면 알을 적게 낳는다. 이때 '먹이'란 쓰레기나 똥을 의미한다. 지렁이는 공룡시대 때부터 지구에서 살았는데 공룡의 똥을 먹으면서 지냈다.

지렁이는 하룻밤에 무려 3km가 넘는 거리를 여행할 수 있다고 한다. 세상에!

지렁이는 똥을 먹고 다시 지렁이 똥을 배설한다. 이 지렁이 응가에 식물이 좋아하는 영양분이 듬뿍 들어 있다. 그 식물을 동물이 먹고 그 동물의 배설물을 다시 지렁이가 먹는 순환과정. 이러니 지렁이가 지구를 구한 것은 자기 자신이라고 뻐길 만하다.

지렁이는 폐가 없다. 온 몸의 피부로 숨을 쉰다. 그래서 많은 산소를 빨아들이고 그것을 몸 속 박테리아와 작은 벌레들과 나누어 쓴다. 그래서 지렁이 응가는 더 영양만점이 되고 만다.

지렁이에 관한 책을 처음으로 쓴 인물은 아리스토텔레스였다. 그는 지렁이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고 있었던 학자였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지렁이를 이집트 밖으로 수출하지 못하게 했다는 클레오파트라의 명이 있었다고 한다. 유명한 사람 이름이 계속 나온다^^

지렁이 한 마리 몸 속에는 약 5,000억 마리의 박테리아가 살고 있다. 세상에. 지구에 사는 인구의 무려 100배가 아닌가!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지렁이를 연구했었다. 세익스피어는 지렁이를 징그럽고 한심한 생물로 묘사를 했지만, 19세기 찰스 다윈은 지렁이의 위대함을 알고 있었던 학자였다. 애석하게도 그의 주장을 사람들이 믿어주지 않았지만.

인간은 농업혁명을 이룰 욕심에 화학 비료를 창조해 내었고, 그 결과 무수한 살충제와 화학 비료로 인해 흙이 병들고 지렁이가 떠나게 만들었다. 흙이 망가지니 식물이 다시 동물이, 그리고 인간이 망쳐질 수밖에 없었다. 인간이 뿌린 씨앗이었다. 지금은 지렁이의 중요성이 널리 알려졌고 유기농법도 등장했지만, 여전히 눈앞의 이익으로 인해 자연의 생태계를 망가뜨리고 인간과 지구의 건강을 해치는 어리석은 인간들이 참으로 많다. 지금까지도 시끄러운 멜라민과 광우병 소고기가 아니 떠오를 수가 없다.(ㅡ.ㅡ;;;)

책의 끄트머리에 지렁이에 관한 이야기가 몇 토막 실렸다.

지렁이의 종류는 무려 4,000가지가 넘는데 이 가운데 겨우 5%의 지렁이에 대해서만 연구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지렁이는 병에 걸리지 않는다고 한다. 감기 걸린 지렁이를 본 적이 있냐는 필자의 질문이 귀엽기만 하다.
세상에서 가장 큰 지렁이는 호주에 있는 깁스랜드 지렁이인데 다 자라면 무려 6m가 넘는다고 한데. 이럴수가!

그밖에 지렁이를 키울수 있는 지렁이 농장 만들기, 지렁이가 좋아하는 환경 만들어 주기 등도 나온다.

어릴 적 지렁이의 고마움을 모를 적에는 징그럽고 보기 싫은 벌레로만 여겨졌었다. 물론, 지금도 지렁이가 예뻐 보이진 않다만...;;;; 그래도 고맙고 고마운 존재라는 것은 익히 알고 있다. 그런데 흙을 쳐다보고 살지 못해서인가, 흙을 밟으며 살지 못해서인가. 근 십년 동안 지렁이를 본 적이 있는지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아주 어릴 때 외에는 거의 접하지 못하고 살았던 듯.

아, 도시 생활의 삭막함을 지렁이의 부재에서도 느끼는구나. 나의 무신경함도 한 몫 했겠지만.

어린이 친구들도 나처럼 이 책을 무척 반갑게 만날 듯하다. 글이 많긴 하지만, 워낙 재밌게 서술해 놓아서 지레 겁먹을 필요는 없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08-10-20 23: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렁이 좋아서 막 만지는 우리 해아가 좋아할 것 같군요. ㅎㅎ

마노아 2008-10-21 02:22   좋아요 0 | URL
해아다운 건강한 호기심이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