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린 희망 유재현 온더로드 6
유재현 지음 / 그린비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작년 생일 선물로 받은 책이었는데 오래 지나서 열어보게 되었다.  두꺼운 책에 비해 사진이 많고 글자도 큰지라 읽는 데에 시간도 얼마 걸리지 않았다.  이럴 줄 알았으면 좀 더 일찍 볼 것을^^;;

피델 카스트로나 체 게바라 같은 인물로 더 가깝게 느껴지는 쿠바.  그러나 그 나라가 지금 어떤 체제 하에서 어떤 모습으로 살아가는지 알지 못했다.  작가 유재현씨가 두 발로 밟고 두 눈과 귀 오감으로 체감하고 돌아온 쿠바의 모습은 지극히 놀라운 세계였다.  물질만능주의에 경쟁 최우선주의를 자랑하는 자본주의 우리 땅에선 짐작하기도 또 상상하기도 어려운 사회주의 체제.  배급으로 식량을 조달하며 경제수준은 개발도상국 수준의 빈국이지만 의무교육과 의료 체계만큼은 선진국 수준의 나라. 

꼭 필요한 에너지이지만 자연을, 환경을 훼손한다면 기꺼이 포기할 줄도 아는 나라.  한낮의 길가 낮잠이 노숙자의 시간 보내기가 아닌 시간의 풍요로움을 만끽하는 인간의 자유가 될 수 있는 곳.  노동을 신성시 여기고 노동교육을 통해 평생교육을 이루는 곳, 인간적 혁명과 인간적 사회주의를 눈으로 보여준 나라.  그 모든 이름들 앞에 쿠바가 있다.

체제의 특성에서 오는 비효율성을 부정하지는 않겠으나, 적어도 쿠바에서는 '공존'의 힘을 제대로 알고 있다.  소수의 부자를 위해 다수의 가난한 자를 희생시키지 않는, 욕심을 버리고 나누는 풍요로움을 제대로 즐길 줄 아는 멋쟁이들이 그곳에 있었다.

베네수엘라로부터 원유를 공급받고, 그 결재를 의료 인력으로 대체한 것 역시 놀랍고 신선한 공존법이었다.

지금의 우리 체제와 사회 모습과는 너무도 다른 길을 걷고 있지만, 그들의 기본 마인드에 대해선 귀를 기울이고 관심을 가질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1차 지구환경회의에서 한 카스트로의 발언을 옮겨본다.  이 메시지가 우리 모두의 바람이 되기를 바라면서......

“불평등한 무역, 보호주의, 외채가 생태를 공격하고 환경의 파괴를 조장하고 있다. 우리가 인류를 이 같은 자기파괴에서 구해내려 한다면 세계의 부와 기술을 더 많이 나누어야 한다. 일부 국가들은 덜 사치스럽고 덜 소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럼으로 세계의 대다수가 덜 빈곤하고 덜 굶주리게 될 것이다. 제3세계는 더 이상 환경을 파괴하는 생활양식과 소비관습을 이전받기를 원하지 않는다. 인간의 삶을 보다 합리적으로 만들자. 정의로운 국제경제질서를 만들자. 모든 과학지식을 환경오염이 아닌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사용하자. 외채가 아니라 생태에 진 빚을 갚자. 인류가 아니라 굶주림을 사라지게 하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ong 2007-12-02 18: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유재현씨 글에 관심도 있고 선물도 했으면서
정작 읽기까지 시간이 걸려요
마노아님 리뷰도 있고 하니 도전해 볼까요? ^^

마노아 2007-12-02 19:06   좋아요 0 | URL
도전해 보셔용~ 저도 유재현씨 다른 책들 더 읽어볼 생각이에요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