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 큰 할머니의 만두 만들기
채인선 글, 이억배 그림 / 재미마주 / 200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손이 크다'라는 말의 의미를 아이들이 알 수 있을까? 단순히 손바닥의 면적이 크다는 얘기가 아님을, 이 책을 읽는 아이들은 충분히 알아차릴 것이다. 정말 너무너무 손이 큰 할머니가 등장하니까. ^^

이 책의 주인공 할머니는 해마다 설날이 다가오면 숲 속 동물 모두가 배불리 먹고도 남아 한 소쿠리씩 싸 주고도 남아서 일년 내내 냉장고에 꽉꽉 채워 두는 만두를 만드신다. 올해도 어김 없이 만두 빚는 날이 돌아왔다.

할머니의 부엌으로 찾아온 동물들의 눈에 기대와 호기심이 잔뜩이다. 처음엔 열두 띠 동물인가 했더니 그건 아닌가 보다.(많이 겹치긴 하지만)

할머니는 만두소를 만들기 위해 어마어마한 양의 배추김치를 꺼내고 숙주나물도 넉넉히 삶고, 두부도 몇판이 들어갔는지 모른다. 냉장고에선 끝이 없을 만큼 고기를 꺼내기도 하셨다.

이 엄청난 양의 만두 소를 어디서 섞을 것인가. 할머니는 헛간 지붕으로 쓰는 큰 함지박을 끌어와 만두소를 몽땅 부으셨다. 그냥은 섞을 수도 없어 맨발 벗고 뛰어들어 삽으로 섞는 귀여운 할머니. 동물들도 삽을 들고 와 만두 소가 잘 섞이도록 힘을 보탠다.

이제 만두피 차례다. 할머니와 숲 속 동물들은 어깨춤을 추며 노래를 부른다. 만두피 빚는 일은 노동이 아니라 이들의 흥겨운 축제가 되어버렸다. 만두피는 집 마당을 가득 채우고 언덕 위 소나무 있는 곳까지 뻗어버렸다. 이제 남은 일은 만두를 직접 빚는 일!

동물들이 잔뜩 모여서 만두를 빚기 시작한다. 얼마나 어마어마한 양인지 빚어도 빚어도 끝이 없다. 처음엔 사과만한 크기로, 그러다가 호박만한 크기로, 그리고 항아리, 이제는 자기 몸보다 큰 만두도 등장했지만, 여전히 만두소는 많이 남아 있다. 무려 일주일을 만들었는데도 불구하고!

이제 이 책을 읽는 어린이들도 할머니의 큰 손이 어떤 의미인지 충분히 느낄 것이다.

동물들의 불만이 커지자 할머니는 남은 만두소를 한꺼번에 쏟아 세상에서 제일 큰 만두를 만들기로 결정한다. 만두피를 넓게 펼쳐서 만두 소를 다 집어넣는다. 그리고 싸리비 크기의 돗바늘로 만두입을 꿰매기까지 한다.

커다란 가마솥에서 익어가는 만두. 배고픈 동물들이 모두 함께 와서 맛있게 만두를 먹어도 절대로 모자라지 않는다. 할머니는 손만 큰 것이 아니라 인심도 넉넉하다. 동물들은 한 해의 시작을 이렇게 협동으로, 즐거운 잔치로 문을 연 것이다.

우리 전통 설날의 의미와, 그날 해 먹는 음식에 깃든 마음, 그리고 나누고 힘을 보내는 것까지 아이들이 배울 아름다운 가치들이 잔뜩 담아져 있다.

"딸은 좋다" 작가 채인선의 또 다른 구수한 이야기이다. 이 책을 보고 나니 나도 만두가 먹고 싶다. 직접 만든 고소한 만두. 아, 시장기가 느껴진다. ^^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07-09-10 11: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 아침에 학교 도서실 갔다가 이 책 빌려올까~하다가
'설 무렵에 다시 보자'하고 그냥 왔는데 결국 여기서 보는군요.
^*^

마노아 2007-09-10 12:10   좋아요 0 | URL
뭔가 feel이 통했나 봐요^^ㅎㅎㅎ

비로그인 2008-07-17 23: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채인선 작가의 <시카고에 간 김파리>가 새로 출간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