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환의 <당부>라는 곡이죠. 아마도 클릭해도 잘 못들으실 거예요.  음원을 닫아 놓은 것 같습니다. 그냥 폼으로다가...

사실 저는 음악에 대한 리뷰는 안 써 봐서 리뷰라고까지는 할 수 없고, 글구 마노아님 이벤트에 너무 참여들을 안 하시는 것 같아 마노아님이 섭섭해 하실 것 같아 그냥 참여하는 겁니다. 평소 이승환을 좋아 하기도 하구요.

이 노래를 2004년도에 처음 들은 것 같습니다. 이승환이 발라드를 주로 불렀죠. 그런데 유달리 이 노래는 우리나라 국악을 접목시켜 크로스 오버적 시도를 했습니다.

그 노래가 어찌나 간드러지고 애절한지, 그때 지금은 알라딘을 떠나신 어느 님께 저 노래를 좋아하니 올려달라고 부탁했더랬죠. 고맙게도 그 분은 이 노래를 올려 주셨고, 저는 한동안 이 노래에 빠져 살았더랬습니다. 사실 그때 이승환은 라이브로 이 노래를 불렀고, 후렴구인 "제발~ 제발~"하는 부분을 관중들과 함께 불렀습니다.

근데 저는 라이브 보단 스튜디오에서 녹음된 노래를 듣고 싶었죠. 라이브의 황제라고는 하지만 유독 이 노래만큼은 아무런 잡음없이 온전히 느껴보고 싶었는데 당시로는 스튜디오 녹음된 것을 찾을 수가 없었던 것 같습니다. 또 모르죠. 발품을 팔았더라면 스튜디오 녹음된 저 노래를 찾을 수 있었을런지도...

이 노래를 듣고 있노라면 안숙선 명창이던가요? 그의 목소리와 해금의 절묘한 조화가 한층 못다 이룬 사랑을 노래로 풀어 보려는 애절함이 있어 마음 한켠이 무너지는 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한으로 남아도 좋으니 이런 애절한 사랑 가슴 한켠에 시리도록 가져보면 어떨까?란 생각을 했습니다. 그러다 작년이던가요? <황진이>란 드라마를 본 적이 있었는데, 거기서 보면 한 도령이 황진이를 사모하다 애절한 한을 품고 죽는 시퀀스가 나오죠. 결국 관속에 들어간 도령이 황진이가 사는 집에서 도착하자 그의 시신을 태운 수레가 한 발자국도 움직이지 않은 장면이 나옵니다. 그러자 황진이가 그의 넋을 위로하자 그제야 그 수레가 움직였죠. 과연 그게 사실인지 또는 은유인지는 모르겠지만, 가슴 한켠에 이루지 못한 사랑을 품고 사는 건 정말 힘든 것이 될 것입니다.   

오늘 이 노래를 떠올리면서 갑자기 그 장면이 생각나 써 봤습니다. 아마도 그 장면에 이 노래가 나왔더라도 좋았겠죠. 아, 도대체 이승환은 무슨 생각으로 이 노래를 부를 생각을 했을까요? 그후 그는 이런 슬픈 노래는 안 부르는 것 같습니다. 그의 노래는 대체로 밝고, 활기차고, 힘있고, 카리스마 넘치는 노래를 부르잖아요. 그런 그가 어느새 불혹의 나이를 넘겼습니다. 예전 같은 생기발랄함은 없는 듯해 보이지만, 그래도 여전히 미소만큼은 천진하더군요.

마노아님 콘서트 가신다니 부럽습니다. 그러고 보니 저는 아직까지 콘서트를 안 가 봤군요. 가끔 뮤지컬이나 연극은 쫓아다녀 봤는데. 모쪼록 좋은 시간되시길 바랍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노아 2007-04-30 17: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텔라님^^ 소리 없이 사라질 뻔한 저의 이벤트를 빛내주셔서 감사해요. 집에 들어와서 서재로 들어온 순간 제가 얼마나 기뻤는지 아실까요^^
이승환의 "당부"를 골라주셨어요. 저도 참 좋아라 하는 곡이랍니다. 몹시 동양적인 선율과 애잔한 음색이 애처로움을 넘어서 슬픔 그 이상의 무엇을 노래하는 느낌이었어요. 이 노래가 더 각별한 것은, 곡에 담긴 사연 때문이랍니다. 이승환은 이 앨범을 99년도에 내었는데, 바로 전 앨범 5집 덕분에 마음앓이를 많이 했어요. 익히 알려진 "귀신소동"이었는데, 이 앨범을 끝으로 가수생활을 접으려고 결심했거든요. 그래서 가사에서 말하는 이별이 유난히도 슬펐더랬습니다.
"머지않아 그대와 헤어지게 될 거요 슬프겠지만 그립겠지만 부디 노여워 마오. 가난한 마음이야 위안을 바라지만 우리 인연의 끈이 다하니 어찌 할 수 없나 보오."
본래 의미는 '팬'들에게 전하는 이별노래였지만, '연인'에게 대입을 하여도 슬픔이 극대화되는 노래였지요.
사용되어진 악기는 '얼후'라는 중국 악기예요. 대만의 국보급 연주자에게서 샘플링을 떴습니다. 해금과 소리가 비슷한 것은 해금을 개량시켜 나온 악기가 얼후이기 때문이에요. 둘 다 중국 악기인데 해금은 우리나라에서만 전승되고 있고, 중국은 그 사용법을 잊어서 연주자가 거의 없다고 하네요. (이상은 얼후를 배우고 있는 친한 언니에게서 방금 들었어요^^;;;) 공연 때에 곡의 뒷부분 후주에서 창과 비슷한 여음구를 넣어주는 사람은 코러사예요. 요즘은 진짜 창하시는 분들을 부르기도 하지요.
제가 상품으로 걸어놓은 끝장 DVD에는 공연실황 중에 당부를 부른 부분이 있어요. 이때는 '테크노'버전으로 편곡을 해서 아주 독특한 음색을 자랑했지요. 같이 들어 있는 발라드 앨범에 원하시는 원곡 버전의 깨끗한 녹음이 담겨 있답니다^^
드라마 황진이 저도 참 재밌게 보았어요. 은호 도령이 죽고나서 그 관이 움직이지 않는 장면은 참 애달프기도 했지요. 당시 그 장면을 어느 팬분이 이승환의 신곡 "어떻게 사랑이 그래요"라는 곡에 맞추어 동영상 편집을 하기도 했어요. 제가 퍼왔던 것 같은데 어딨더라????
이번 공연은 규모면에서도 이제껏 중 최고지만, 그 이상의 어떤 '각오'같은 것이 보입니다. 지금 아니면 못해볼 것들 다 해보리라! 라는 다짐 같은 것 말이에요.
그래서 되도록 많은 분들이 보셨음~하는 바람이 있지요^^
좌석의 가격도 11만원vip석에서 2만원c석까지 다양하게 갖춘 것도 보다 많은 사람의 참여를 노린 것으로 보여요. 스텔라님도 혹 기회가 되신다면 꼭 가보셔요. 절대 후회는 없을 거예요^^
지금 오랜만에 당부라던가 다른 노래들을 씨디로 들어보고 있어요. 가슴이 왈랑왈랑거립니다. 5월보다는 4월에 더 잘 어울리는 노래 당부였네요. 스텔라님, 저의 이벤트에 참가해 주셔서 감사해요. 덕분에 행복해졌어요. 꾸벅~

stella.K 2007-05-01 09: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우, 그 노래에 대해 이토록이나 자세히 알고 계실 줄은 몰랐군요. 저도 새로 알았습니다. 이리 좋아라 하는 마노아님 서재 이벤트에 참여가 저조해서 제가 오히려 마음은 짠합니다. 읽어 주셔서 고마워요.^^

마노아 2007-05-01 12: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텔라님, 경쟁자는 없었지만 능히 1등 받으실 만한 페이퍼였어요^^ 감동 물씬~
이벤트 결산(..;;;;;) 페이퍼 이제 올리려구요^^

saint236 2010-01-28 11: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승환이 당부를 검색하다가 들어왔는데 어디서 많이 보던...이 노래 완전 좋아하는 노래인데, 예전에 실연당하고 이거 들으며 펑펑 울었던 기억이...벌써 10년이 다 되어 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