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자야 미안해 "너무 쉬워서" - 부수편
하영삼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8월
평점 :
절판
한자 관련 책들이 봇물 터지듯 쏟아지고 있는 요즘이다. 한문을 공부하는 사람이다보니 주위에서 자주 "한자 공부는 어떻게 하는 거예요?"라고 묻곤 한다. 그럴 때가 내가 하는 하는 대답이란 한결 같다. "한자... 한자... 하면서 어렵게 생각하지 말구 우리가 쓰는 말 중 50%이상이 한자어잖아요. 지나가다 글귀를 보더라도 거기엔 꼭 한자어가 포함되어 있으니까 그걸 자주 한자로 변형시켜 보세요... 그렇게 일상화하다보면 어느 순간 한자의 달인이 되어 있을 거예요."라고 말이다. 한자를 흔하게 볼 순 없는 세상이지만, 아직도 우리말의 태반은 한자어이니 그걸 연결시키는 작업만 나날이 해줘도 한자는 전혀 어렵지 않다. 하지만 문제는 한자에 대한 지식이 어느 정도가 있느냐가 관건일 뿐~
이 책을 보게 된건 그런 질문을 받았을 때, 어떤 책을 추천해주면 좋을까 하고서 한참 이 책 저 책 찾아볼 때였다. 우선 다른 책과는 다르게 책 표지가 깔끔했으며, 좀더 적나라하게 말하면 아기자기하다고 해야겠다, 왠지 학습욕을 불러 일으키게 생겼다. 그래서 펼쳐들고서 그 내용을 훑어봤는데 역시나 내용도 참신하고 재밌더라. 그래서 처음부터 끝까지 내리 읽게 되었다.
부수편은 부수에 대한 해석과 그 부수가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해 나와 있다. 한자 학습의 기본은 부수를 익히는 것이리라. 한자는 육서로 만들어지는 그 중에 형성자(한 쪽은 음의 역할을 하고 한 쪽은 뜻의 역할을 함)가 70% 이상을 차지 한다. 형성자는 이미 만들어놓은 한자들을 결합하여 만들기 때문에 기본적인 한자들을 얼마나 많이 알고 있냐가 중요하다. 즉, 부수를 잘 알고 있다면 그 한자의 음과 뜻을 대충이나마 유추해낼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런 점에서 부수를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색다른 한자를 만나더라도 어느 정도 유추해낼 수 있다.
이 책은 그런 기본이 되는 부수들을 아주 재밌게 풀어내고 있다. 부수가 왜 그런 뜻을 가지게 되었는지, 어떻게 쓰이는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한자를 이제 막 공부하게된 사람이라면 한번 정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는 책인 셈이다. 한자를 왜 공부하는가? 예전이나 지금이나 난 한문을 좋아하기에 한자를 공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