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야 미안해 "너무 재밌어서" - 어휘편
하영삼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미 부수편을 리뷰하면서 설명했듯이, 부수편을 보게된 이유는 '한자를 어떻게 공부해야 하나요?'라는 질문을 들었을 때 보여줄만한 책을 찾다가 아기자기한 표지를 가진 이 책이 끌렸기 때문이다. 그래서 펼쳐진 '부수편'은 의외로 깊이 있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한자가 지금의 모습으로만 그 쓰임을 유추하긴 어렵다. 한자의 모양이 점차 변했듯이 금석문이나 귀갑에 쓰인 한자를 알지 않고서는 한자의 뜻을 안다고 할 수 없다. 그런데 바로 이 책에선 그런 부분까지 섬세하게 살펴보고 있는 것이 아닌가.... 그래서 한번에 내리 읽게 되었던 거다. 부수 학습은 한자 학습의 기본임은 이미 말한 바 있다. 그런 연유로 '부수편'의 자매격인 이 책까지 보게 되었다.

  이 책의 특이점은 어휘들을 단순히 나열하고 익히도록 유도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비슷해보이는 어휘들을 체계적으로 엮어놓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설명하며 그 안에 담겨 있는 이야기도 들려준다. 그리고 그걸 쓰면서 읽히도록 유도한다는 데에 있다. 한자어를 익히는 건 어떻게 보면 외국어를 익히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그만큼 낯설고 어렵다는 이야기이다. 반복되지 않고 한번의 학습으로 끝난다면 아니 한만 못하다. 반복에 반복을 거듭해야 하며 그 안에 담긴 의미까지 샅샅이 익혀야 제대로 된 어휘 학습이라 할 수 있다. 그런 까닭에 이 책은 좀 더 처음에 한자를 접하는 초등학생들이나 중학생들에게 적합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제대로 된 어휘를 익히는 것, 그리고 그 안에 담긴 뜻을 익히는 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한자어가 태반을 차지하는 우리 문자에 있어서는 더더욱 그렇다. 요즘처럼 논술이 하나의 시험과목으로 떠오르는 상황에선 그게 하나의 실력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어휘를 제대로 안다는 건 글을 매끄럽게 이끌어갈 수 있는 힘이 있다는 이야기이다. 일례로 '유래'와 '유례'는 어떻게 쓰일까? 하는 문제들이 그것이다. 언뜻 보면 헤깔리기 쉽다. 하지만 由來는 '추석의 유래는 무얼까?'와 같이 어떤 사물의 시작점을 말하는 것이며, 類例는 '유례가 전혀 없다' 처럼 어떠한 사실이 없었음을 이야기할 때 쓴다. 한자로 보면 확연한 차이가 느껴지는 이런 단어들의 쓰임을 이 책에선 아주 재밌게 풀어가고 있는 셈이다.

  어떤 시험을 염두하며 하는 공부는 공허하다. 실컷 시험보기 전까지 달달달 외우다가도 시험이 끝나고나면 언제 그랬냐는 듯 새까맣게 잊어버리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공부란 즐기면서 할 일이다. 한자 공부가 어렵다고 생각하는가~ 전혀 그런 겁을 먹을 필욘 없다. 그저 우리말 제대로 익힌다고 생각하며 한번 도전해보자. 그런 작은 발걸음이 당신의 지적 능력을 살찌울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치코 2007-09-30 13: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맨날 책들은 싸여가고~보지는 않고 그럼에도 또 사게되는 ㅋㅋ~ 사고시픈데~정말 끝까지 볼수있을까?싶어요~꾸준히 잘보고계세요? 저에게 없는 끈기력..ㅎ

leeza 2007-09-30 22: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더미 속에 파묻혀 보는 꿈일 때가 있었죠ㅋ 근데 그거 허영심이더라구요. 그저 한 권이라도 제대로 읽는 게 이젠 더 좋아요. 사치코님두 책을 좋아하시니~
 
한자야 미안해 "너무 쉬워서" - 부수편
하영삼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8월
평점 :
절판


  한자 관련 책들이 봇물 터지듯 쏟아지고 있는 요즘이다. 한문을 공부하는 사람이다보니 주위에서 자주 "한자 공부는 어떻게 하는 거예요?"라고 묻곤 한다. 그럴 때가 내가 하는 하는 대답이란 한결 같다. "한자... 한자... 하면서 어렵게 생각하지 말구 우리가 쓰는 말 중 50%이상이 한자어잖아요. 지나가다 글귀를 보더라도 거기엔 꼭 한자어가 포함되어 있으니까 그걸 자주 한자로 변형시켜 보세요... 그렇게 일상화하다보면 어느 순간 한자의 달인이 되어 있을 거예요."라고 말이다. 한자를 흔하게 볼 순 없는 세상이지만, 아직도 우리말의 태반은 한자어이니 그걸 연결시키는 작업만 나날이 해줘도 한자는 전혀 어렵지 않다. 하지만 문제는 한자에 대한 지식이 어느 정도가 있느냐가 관건일 뿐~

  이 책을 보게 된건 그런 질문을 받았을 때, 어떤 책을 추천해주면 좋을까 하고서 한참 이 책 저 책 찾아볼 때였다. 우선 다른 책과는 다르게 책 표지가 깔끔했으며, 좀더 적나라하게 말하면 아기자기하다고 해야겠다, 왠지 학습욕을 불러 일으키게 생겼다. 그래서 펼쳐들고서 그 내용을 훑어봤는데 역시나 내용도 참신하고 재밌더라. 그래서 처음부터 끝까지 내리 읽게 되었다.

  부수편은 부수에 대한 해석과 그 부수가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해 나와 있다. 한자 학습의 기본은 부수를 익히는 것이리라. 한자는 육서로 만들어지는 그 중에 형성자(한 쪽은 음의 역할을 하고 한 쪽은 뜻의 역할을 함)가 70% 이상을 차지 한다. 형성자는 이미 만들어놓은 한자들을 결합하여 만들기 때문에 기본적인 한자들을 얼마나 많이 알고 있냐가 중요하다. 즉, 부수를 잘 알고 있다면 그 한자의 음과 뜻을 대충이나마 유추해낼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런 점에서 부수를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색다른 한자를 만나더라도 어느 정도 유추해낼 수 있다.

  이 책은 그런 기본이 되는 부수들을 아주 재밌게 풀어내고 있다. 부수가 왜 그런 뜻을 가지게 되었는지, 어떻게 쓰이는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한자를 이제 막 공부하게된 사람이라면 한번 정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는 책인 셈이다. 한자를 왜 공부하는가? 예전이나 지금이나 난 한문을 좋아하기에 한자를 공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