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집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잘 있거라, 짧았던 밤들아
창밖을 떠돌던 겨울 안개들아
아무것도 모르던 촛불들아, 잘 있거라
공포를 기다리던 흰 종이들아
망설임을 대신하던 눈물들아
잘 있거라, 더 이상 내 것이 아닌 열망들아
장님처럼 나 이제 더듬거리며 문을 잠그네
가엾은 내 사랑 빈집에 갇혔네
<기형도, "입 속의 검은 잎">
하성란의 글을 읽었다 그녀는 짝사랑하던 남자가 다른 여자와 사귀자 두달 동안을 끙끙 앓았다고 했다 그것을 그녀는 실연이라고 표현했다 실연한 그녀는 썼다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를 주야장천 외우며 그녀는 썼다 그녀가 쓴 것은 혀일까 글일까 마음일까 몸일까 혀가 쓰다면 사랑은 초록 채소이고 글을 쓴다면 사랑은 사랑일 것이고 마음과 몸이 쓰다면 사랑은 무기이다 그녀는 글을 썼다 기형도도 글을 썼다
짧았던 밤 사랑하므로 짧을 수밖에 없었던 어둠 사랑을 잃었으므로 가혹하게 길어질 수밖에 없는 밤길
따듯하고 포근한 겨울 안개 혹은 뜨거운 사랑의 열기로 창에 서린 습기 그 사랑을 밝혀주던 촛불들
잘 있거라, 사랑아
아마도 좋지 않았던 때 두렵고 공포스런 마음으로 써내려간 사랑 얼굴을 흐르던 흔들리는 사랑
그토록 두려웠던 사랑아,
소유하고 싶고 소유되고 싶었던 주고 싶고 받고 싶었던 내 사랑 간절히 열망했던 사랑
나 이제 문을 잠그네 눈을 꼭 감고 떨리는 팔로 문을 닫고 문고리를 거네 가엾는 나는 갇혔네 어두운 사랑없는 빈집에 갇혔네 가엾는 내 사랑 내가 가뒀네 어둡고 헤진 빈집에 내가 가뒀네
잘 있거라, 사랑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