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모 비룡소 걸작선 13
미하엘 엔데 지음, 한미희 옮김 / 비룡소 / 1999년 2월
평점 :
품절


우리집에 있는 모모는 이제 명을 다했다... 안타깝지만 더 혹사시키는것은 모모를 두번 죽이는 거라고 생각해서 다시 구입을 해 두었는데 때마침 방송의 힘을 얻어 부활했다.

사두기만 하면 모모를 세번 죽이는거 아닌가?  다시 읽어 주었다.

예전 책보다 두꺼워 지고 표지도 양장으로 바뀌고.. 더욱 더 낯설었던건 글씨 색 때문이다.

보통 책의 검정글씨가 아닌 밤색빛을 만났을땐 적응이 안되었다.. 이것도 책에 대한 편견이려나.. 암튼.. 모모를 읽고 있다 보면 그다지 흥미진진한 내용도 없고 그저 느리게 느리게 가는 것 같은데 두껍던 책이 어느새 다 넘어 가고 끝을 향한다.

이게 모모의 매력인가 보다.

사람들의 말을 들어 줄줄 아는 아이 모모... 잿빛 그늘을 몰고와 사람들에게 시간을 사버려 세상이 각박해지게 만드는 회색신사들... 청소부 베포할아버지.. 관광안내원 기기...그리고 아이들...

이 책을 만났던 초등학교 시절엔 그저 모모의 멋진 모험(?)에 빠졌었고 지금은 너무 앞만 보고 달려온 시간들이 안타까워 모모의 매력에 빠진다.

지금 우리도 회색신사와 약정을 맺고 열심히 시간을 저축하고 있는건 아닌가 싶을 정도로 너무 각박하게 하루 하루를 살고 있는건 아닌가 싶다.

생활에 여유를 두는 것이 마치 큰 죄인양 우리는 하루 하루 시간을 쪼개서 급하게 살아 가고 있는 그러면서 지나온 과거의 힘들었던.. 어려웠던 것들에 대해선 깡그리 잊어 먹기를 바라고 있다.

관광안내원 기기가 소재가 떨어졌어도 이름만 바꿔가면서 울궈 먹고 자신이 처한 상황이 싫어서 그만 두고 싶지만 과거의 가난한 기기로 돌아가는것을 꺼리는 것처럼.. 사람들은 어쩌면 자진해서 시간의 노예가 되고 있는것 일지도 모르겠다.  

시간을 아껴서 저축한다고 해서 마지막이 좋은 것이 아닌데 왜 우리는 그렇게 시간을 저축하기 위해 아둥바둥거리면서 살고 있는건지..

언젠가 갑자기 연기를 피우면서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마는 인생일 텐데...  이런거 생각하면 한박자 천천히를 외치면서도 또다시 하루 해가 뜨면 시간은행에 저축하기 위해 시간을 쪼개고 쪼개 여유없는 빡빡한 삶을 시작하고 만다... 이게 현실이니깐 하면서 위안을 삼으려고 해도 어쩐지 내 주변에 회색신사가 감시하고 있는 기분이 들어 영 그렇다.

내가 시간을 따라가기 위해 허덕 거리기 보다 시간이 나를 따라오는 여유를 갖고 싶은 마음이 든다.. 하나씩 둘러 보는 여유를 갖고 싶은 마음이...

모모가 세상의 빛을 본지 올해로 36년...  모모는 그렇게 죽지 않고 우리와 함께 숨쉬고 있다.

시간은행에 저당잡힌 불쌍한 우리들을 구해내기 위해 모모는 오늘도 열심히 방랑의 길을 걷고 있겠지..

모모는 철부지 모모는 무지개
모모는 생을 쫓아가는 시계바늘이다
모모는 방랑자 모모는 외로운 그림자
너무 기뻐서 박수를 치듯이 날개짓하며
날아가는 니스의 새들을 꿈꾸는 모모는 환상가
그런데 왜 모모 앞에 있는 생은 행복한가
인간은 사랑없이 살 수 없다는 것을
모모는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모모 앞에 있는 내 생은 행복하다..   행복한 하루를 L.J.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