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열정 - 나를 위한 변화 에너지
존 고든 지음, 전제아 옮김 / 바이탈북스 / 2007년 6월
평점 :
절판
열정(熱情), 어떤 일에 열렬한 애정을 가지고 열중하는 마음.
이 단어가 참 좋다. 열정적이라는 말이 최고의 칭찬이 아닐까.
한때 취업을 앞두고 진지하게 고민을 했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내 열정을 쏟아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관심도는 조금 낮더라도 열정지수가 높다면 성공 확률 또한 높아진다는 것을 깨달았다. 지금 하는 일이 육체적으로 힘들기는 하지만 일하면서 느끼는 보람과 자부심만큼은 결코 뒤지지 않는다. 피곤함을 감추어 줄 내 안의 열정을 모두 꺼내고 싶다. 혼잣말처럼 나에게도 열정이 있다고 소리쳐 보지만 결국 겉으로 내보이는 부분은 눈에 띄지 않는다.
변화. 나를 변화시켜야 한다.
내 인생의 첫 변화는 중 2 때였다. 학급에서도 조용하기만 했던 소심한 아이가 180도 성격 전환을 이룬 셈이다. 그 시절이 좋았다. 세상 물정에 더럽히지 않고 순수하게 예뻐보이던 때. 그 변화가 지금의 나를 있게 해준 50% 이상이 아닐까. 또다시 변화할 때가 왔다. 일을 시작했으며 30대가 되기 전의 내 모습에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 이제 어떤 모습을 원하는지 어떻게 변해야 하는지 그 윤곽이 조금씩 드러나는 듯하다. 다만, 열정 혹은 용기가 조금 부족할 뿐이다.
열정 에너지 지수 평가 항목을 훑어 보며 열정이라는 말이 여러 가지를 포함하고 있구나 생각했다. 어쨌든 좋은 말들은 모두 들어 있다. 이해심과 동정심, 호의, 청취 등 타인을 배려한다는 의미가 포함된 항목에서는 높은 점수를 얻었지만 신체 에너지와 수분 섭취, 운동 등 자기 관리 항목은 빈도가 낮았다. 신체 에너지가 낮아짐에 따라 긍정 에너지나 정신력, 의욕까지 저하될 확률이 높을텐데 말이다. 역시 건강이 최우선이다.
스스로 언제, 무엇을 할 때 에너지를 느끼는지 파악부터 해야겠다. 원하는 것의 목록을 작성하고 좋은 습관을 들이자. 피로하면 짧게나마 휴식해라. 에너지는 들이마시고 걱정은 내뱉어라. 걷기는 새로운 즐거움을 선사한다. 본래 걱정을 많이 하는 편이었다. 별 것 아닌 일에도 신경쓰이곤 했다. 하는 일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일이지만 주위 동료들이 말하길 스트레스를 맞받아치란다. 마음으로 받아들여 속태우지 말고 그냥 흘러보내란 소리다. 그렇게 한 후로는 속이 편해졌다. 지금 당장 운동을 시작하자고 마음먹어도 하루 이틀 미루기만 할 뿐이다. 다행인 건 한정된 장소지만 걷는 시간이 많다. 일과 연계되어 운동이라 할 수는 없지만 한가하게 걷는 시간만큼은 여유롭다. 저자가 들려주는 좋은 이야기들이 많다. 결국 내가 원하는 일을 하면서 현재를 즐기고 삶을 사랑하라고 말하고 싶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