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개 1
김별아 지음 / 문이당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학창 시절 유난히 국사 과목을 어려워했다. 역사 관련 이야기만 나와도 머리가 아팠다. 본격적으로 독서를 하면서 좋아하게 된 장르 중 하나가 역사소설이다. 아이러니하지만 역사적 사실이 바탕이 되어 소설화되는 이야기들은 읽을수록 빠져든다.

겉표지가 무척 고급스럽다. 단아한 여인네의 한복 입은 자태가 눈에 아른거린다. 갑술년, 갑술월, 갑술일, 갑술시에 태어나 사주 전체가 갑술이니, 아버지 주달문은 딸의 이름을 논개(論介)라 짓는다. 논개에 대해 알고 있던 사실은 일본군을 끌어안고 강으로 투신했다는 정도였다. 책을 읽으면서 저자의 글솜씨에 감탄했다. 소설을 쓰기 위해 참고했다는 자료가 엄청나다. 물론 다른 작가들도 역사소설을 구상하기 전에 그러하겠지만 대단하게만 보인다. 60세가 넘는 고령의 소설가들에 비해 젊은층이지만 저자가 쓴 문체는 감칠맛 난다. 등장인물들의 말투나 옛시절에 사용하던 말들이 그랬다. 읽는 동안 이게 맞는 말인지 이러한 말들이 지금도 쓰이는지 궁금했던 것도 많다. 역사소설을 쓰려면 대체 얼마나 공부해야 할까.

책을 펼치면 '논개'라는 영화의 마지막 장면부터 상영된다. 2권을 덮으며 다시 1권을 펼쳤다. 고단하고 애달픈 짧은 생애를 보낸 스무살 논개의 마지막 모습을 아름답게 그리고 있다. 날아오르듯,으로 끝나고 날아올라,로 시작된다. 마치 두 권의 책에 끊김이 없는 듯하다. 빠른 템포로 진행되지는 않는다. 여느 역사소설처럼 긴장감이 있는 건 아니지만 지루하지 않고 뒷이야기가 기다려진다. 올차고 도랑도랑한 여섯 살 꼬마의 모습과  굵고 거친 손가락에 반지 다섯 개를 낀 스무살 여인의 모습이 떠오른다. 그녀는 젊다. 젊음은 봄처럼 새롭고 새벽처럼 활기차며 꽃처럼 도발적인 것이다. 그것은 삶, 그 자체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치유 2007-08-01 23: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집 아이도 사회나 역사를 싫어하네요.(나 닮은듯)
많은 책들을 읽다가 님처럼 곧 좋아하길 바라게 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