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의사 사용법 - 내 몸의 조화로운 건강을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김동규 지음 / 라온북 / 2025년 8월
평점 :
저 같은 경우에는 아프면 한의원보다는 병원을 찾게 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병원에서 여러 검사를 받고 이상이 없다는데도 몸이 아파서 마지막으로 한의원을 찾는다고 합니다. 한의원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고, 정확하게 알고 싶은 마음이 커서 한의사 김동규 원장님의 <한의사 사용법>을 읽게 되었습니다. 내 몸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최적의 동반자는 한의사라는 말과 바람직한 한의사, 한의원 활용법이 담겨 있다는 말에 책 내용이 무척 궁금했습니다.
1장은 왜 한의사 사용법을 알아야 하는지, 2장은 한의사 만나기 전에 꼭 알아야 할 것들, 3장은 한의사가 알려주는 '평생건강' 보장받는 법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3장은 책 전체의 2/3를 차지하는데 몸의 신호 읽는 법, 마음과 소화기, 통증, 피부, 여성, 아이의 성장 등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사람의 몸은 각 기관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어느 한 부분이 아프다고 그 부분만 고친다고 해서 해결되는 것이 아닙니다. 겉으로 드러난 증상은 결과일 뿐, 증상 너머의 원인을 살피는 의학이 한의학이라고 하네요. 아이가 아플 때마다 '잘 먹고, 잘 자고, 잘 싸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이 단순한 기준이 가장 정확한 건강의 척도입니다. 한의학은 병의 이름보다 몸의 흐름을 중시하고, 검사 수치보다 피부색, 맥박, 대변, 입맛, 잠의 상태를 보며, 작은 변화들을 통해 몸이 스스로 균형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요즘처럼 만성질환, 원인불명 증상, 스트레스성 장애가 많은 시대에는 한의학이 다룰 수 있는 영역이 넓다고 합니다. 불면증이나 소화불량, 생리통 같은 문제들은 검사보다 경험적 진단과 기능 회복이 중요한데, 한의학이 가장 강한 분야라고 합니다. 몸을 돌보는 의학인 한의학에 점점 관심이 생깁니다. 한의학은 큰 병이 되기 전에 몸의 흐름을 조율하는 의학이므로 몸이 보내는 초기 신호에 귀 기울이기 위해 먼저 찾아야 하는 곳입니다.

진짜 건강관리는 병원에서 이상 소견이 나왔을 때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몸이 슬슬 이상해지는 것을 감지하고 대응하는 것부터 출발하라고 합니다. 아프기 직전이 치료가 가장 쉬울 때입니다. 저자 김동규 원장님은 몸이 기억하는 건 속도보다 방향이기 때문에 꾸준히 치료하길 권합니다. 동네에 김동규 원장님처럼 믿을 수 있는 한의사 선생님을 알아 두면 든든할 것 같습니다. 글이 어렵지 않게 쓰여져 있어서 술술 읽힙니다.

3장은 더욱 집중해서 읽었습니다. 아이의 장 건강을 위해 좋다는 유산균을 6개월 먹여보아도 별 효과를 보지 못했었는데, 무엇을 먹느냐보다 어떻게 먹고 어떻게 비우느냐가 더 중요하다고 합니다. 물은 무조건 많이 마신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수분이 내 몸에서 잘 순환하고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땀이나 수족냉증, 어지럼증도 증상과 원인이 여러 가지일 수 있습니다.

위 내시경 결과 이상이 없다는데도 속쓰림이나 더부룩한 경우가 있습니다. 야채가 건강에 좋긴 하지만, 생야채는 위에 안 좋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간편식으로 많이 먹는 미숫가루처럼 가루 음식은 위장에 부담이 된다고 합니다. 소화불량은 음식만의 문제가 아닌 평소 생활 습관과 스트레스 등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문제입니다. 보통 기침은 폐와 기관지 쪽 문제로만 생각하는데, 위장 쪽 문제일 수도 있다고 합니다.

허리가 아프다면, 허리 자체보다 골반의 정렬 문제나 엉덩이 근육의 기능 저하가 더 큰 원인인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허리 통증은 신호일 뿐, 복부와 장기의 상태가 드러나는 경우도 많다고 하니 제대로 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겠네요. 걷기라면 무조건 좋은 줄 알았는데, 엉덩이에 힘을 주며 바른 자세로 잘 걸어야 한다고 합니다. 무릎 통증이나 두통, 손목과 팔 통증에 대한 이야기도 나옵니다. 읽으면서 왜 전부 저한테 느껴졌던 통증 같을까요? 결국 온몸이 성한 곳 없는 것 같은데, 한의원을 한 번 가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아토피와 건선, 생리통과 난임 그리고 아이의 성장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아이가 한창 잠을 푹 못 자고 밤중에 여러 번 깼던 적이 있습니다. 밥도 잘 안 먹고, 키도 얼마 자라지 않은 것 같아 고민이 많았는데, 잘 먹고 잘 자기 시작하며 키가 조금씩 크는 것 같습니다. 성장호르몬 주사도 무작정 맞는다고 효과가 있는 게 아니라 수면 리듬이나 소화 기능이 안정된 상태여야 합니다. 밥투정과 성장통 관련 이야기도 나와서 아이 문제로 고민인 부모들에게도 도움이 됩니다.
책을 읽을 때면, 나와 관련된 증상에 더 눈길이 가기 마련입니다. <한의사 사용법>은 나와 가족들이 한 번쯤 겪었을 몸의 신호나 징후가 소개되고 있어서 책의 모든 내용을 관심 있게 읽었습니다. 한의학에서 바라보는 면역은 내 몸이 스스로 정상 상태를 지키는 능력이라고 합니다. 내가 잘 자고, 잘 먹고, 잘 배출하고 있는지, 내 몸이 보내는 작은 신호를 놓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몸이 힘들지 않고 잘 회복할 수 있도록 한의사 선생님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