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결혼을 할 때 커다란 이인용 책상을 구매했다. 그런데 그 결정은
꽤나 잘못된 것임이 곧 밝혀졌는데, 나는 컴퓨터 본체 돌아가는 소리를 아주 싫어하고, 남편의 컴퓨터를 거기에 놓고 나자 나는 그 책상에서 책을 읽을 수 없게 됐다.
큰 책상과 그 책상이 놓인 서재는 남편 차지가 되었다. (아이가 아빠방이라고 한다. 내방은 없다)
드라마에 도리스 레싱의 <19호실로 가다>가 소개되었다. 아주 예전에 읽어 기억이 가물한데, 드라마 대사를 보니 아예 이해를
못했었구나 싶다. 한 여자가 혼자만의 공간을 위해 허름한 여관방을 빌려 때로 머문다. 남편이 그 사실을 알자 그녀는 외도를 했다고 거짓말을 한다. 그러니까
그녀는 혼자이고 싶은 그녀의 욕망을 남편이 이해하지 못할 것을 알고, 그가 이해할 수 있는 외도라는
이유로 설명한다. 인간은 놀랍도록 서로를 오해한다. 그런데
더 괴로운 건, 또 때로 미치게 서로에게 가 닿고 싶다.
<섬에 있는 서점>은
엄청난 범작이다. 읽는 도중 그만 읽을까하는 유혹이 자주 찾아왔다. 그래도
저 도레이 레싱이 그린 그녀의 실존적 불행에 비해, 사랑하는 사람을 두 번에 걸쳐 찾아냈으며,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있는 이 기적같이 운좋은 사내-너드 주제에
오지랍이 넓은? 형용모순인가-의 짧지만 따뜻했던 삶에 곁드려진
몇몇 재치있는 문장들을 크리스마스쯤 한편 읽고 잠드는 것도 괜찮겠다.
형사시리즈물의 전범이라 할 작품이다. 최근 만들어진 무수한 티비형사시리즈물
중 이만 못한 것이 수두룩하다. 작가는 무미건조하게 이야기를 하는데 나는 살짝 등장인물들에게 정이 든다. 군더더기라곤 없다. 분량마저 적당하니, 여행길 친구나 화장실 친구로 그만이다.
회사에서 알라딘이 업무시간중 로그인이 안된다. 최근에야 업무시간외에 로그인 해놓으면 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업무시간 전에 로그인해서 오랜만에 소식을 적어본다.
<섬에 있는 서점> 밑줄긋기
대략 십오 년의 세월 동안 알고 지내면서 에이제이는 이즈메이가 여배우의 정석대로 나이들어간다고 생각했다. 줄리엣에서 오필리아에서 거트루드에서 헤카테로. (71~72쪽)
“골룸처럼 말하는 군”. 에이제이가
말했다. “골룸이 누구예요?” 마야는 알고 싶어 했다. “네 아빠가 좋아하는, 상태 심각한 너드 친구 하나 있어.” 어밀리아가 말했다.
“p.s. 네 단편에서 가장 발전가능성이 엿보이는 부분은, 이야기에서 공감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야. 사람들은 왜 지금 그런
행동을 하는가? 위대한 글쓰기의 특징이지. (231~232쪽)
“명절이 주는 진짜 선물은, 그게
끝이 있다는 거라고 에스제이는 생각한다. 그는 반복되는 일상이 좋다.
아침에 식사준비를 하는 게 좋다. 가게까지 달리는 게 좋다.” (268쪽)
사랑을 말할 때 우리가 이야기하는 것 – 레이먼드 카버, 1980
“내가 한참을 골똘히 생각해온 문제는, 어째서 싫어하는/혐오하는/결함이
있다고 인정하는 것들에 관해 쓰는 것이 사랑하는 것들에 관해 쓰는 것보다 훨씬 더 쉬운걸까 하는 거야. (물론
이것으로 인터넷에 올라온 많은 글들이 설명된다.) 이 소설은 내가 제일 좋아하는 단편인데도, 마야, 아직 그 이유에 대해서는 뭐라고 운을 떨 수가 없구나.
(또한 너와 어밀리아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사람이다.)
-A.J.F.
(28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