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에서 가장 좋아하는 한장면을 꼽으라면, 러시아 10월혁명 후 창고에 운집해 토론하는 노동자들의 모습이다. '혁명'이 아닌 수단으로 결코 이룰수 없는 급진적 변화의 증거가 내게는 그것이다. 


 녹색평론 155호 박노자 선생의 10월혁명에 대한 글에서 몇 대목을 옮겨본다.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 좌파의 가장 근복적인 요구는 무상의료, 무상교육, 노동자들의 경영참여인데, 이 요구를 최초로 실현한 것은 다름 아닌 10월 혁명이었다.(중략) 한데 복지국가 건설을 일찌감치 이루어내고 완전고용을 실시한 10월혁명 이후의 소련과의 체제경쟁이 아니었다면, 과연 서구 등지에서 복지개혁이 가능했을까 싶다. 서구형 복지국가가 바로 소련의 몰락 이후에 급속히 힘을 잃어가기 시작한 것도 우연은 아니었다.' - 110~111쪽


'10월 혁명이 그 본래의 취지를 끝내 완수하지 못했다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레닌이 [국가와 혁명]에서 이야기했던, "주방의 하급 여성 노동자도 함께 국가경영에 참여하는" 코뮌식 비국가적 사회로서의 사회주의는 그 어디에서도 지속적 실현을 보지못했다.' - 112쪽


'인민이 아닌 [인민의 대표자들]만이 정치를 도맡는, 새로운 형태의 국가화된 산업사회다.' - 113쪽


'최근에 개봉된 켄 로치 감독의 대단히 훌륭한 사회비판 영화인 <나, 다니엘 블레이크>는 신자유주의화된 서구(영국)의 복지사무소가 복지지출액을 무조건 줄이기 위해서 복지 수혜자들을 얼마나 철저하게, 계획적으로 괴롭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한때 [권리]로 인식되었던 복지는, 이제 국가가 되도록이면 덜 주기 위해 온갖 노력을 경주하는 [시혜]가 되고 말았다.' - 126쪽


'[사회주의냐 야만이냐]라는 명제가 가장 시의적절한 때는 바로 지금이다. (중략) 어떻게 하면 인민대중들의 혁명적 민주성과 필요시의 혁명적 독재를 충돌없이 양립시킬 수 있을지, 새로운 상황에서 전위당의 의의와 역할이 무엇인지, 노조들의 급진화를 어떻게 이룰것인지, ' - 127쪽


박노자 선생의 말대로 10월혁명의 과제는 여전히 남겨져 진행중이다. 반동을 줄이고 인민에 의한 정치를 실현하기 위해서 실패한 신자유주의시대 이후의 사회에서 우리는 어떤 노력을 행해야 하는가. 혁명은 폐기되어야할 방법인가. 농경전체주의 사회에서 바로 진행되었던 시월혁명과 다르게 우리는 그후 백년간 싾아온 풀뿌리 조직들이 있다. 시월혁명후 백년 우리가 나아가는 방향을 돌아볼때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은빛 2017-07-14 14: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러시아라는 큰 나라에서 코뮌식 사회주의를 이루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지 않을까 싶어요.
아니 굳이 러시아가 아니더라도, 작은 도시 국가 규모가 아닌 이상,
한 나라에서 그런 시도가 과연 가능할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나, 다니엘 블레이크] 참 잘 만든 영화에요. 내공이 느껴지는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