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길에 들은 김용민과 이종우가 진행하는 종교 팟캐스트에서 김용민씨가 '모든 자살을 사회적 타살'로 규정했다.

 

목숨을 버린 쌍용차 해고자들, 살던 집에서 나가야하자 장례비를 챙겨두고 자살한 어르신, 공과금 조차 낼 길이 없어 아픈 딸둘과 생을 버린 엄마. 생존의 가장 기초적인 토대마저 무너져버린 그들이 기댈 곳이 이 나라에서는 없었다. 과연 자살인가.

 

어느 아나키스트의 고백은 반쯤 읽고 던져두었다.

불행한 역사를 소재로 한 소설을 읽는 것은 괴롭다. 주인공이 행복하면 행복할수록 괴롭다. 그에게 닥힐 미래를 이미 알기에 괴롭다. 작가는 자신의 아버지의 실화를 바탕으로 스페인내전을 거쳐 전쟁, 파쇼와 우익 정권, 냉혹한 자본주의 세상에 끝없이 폐배하며 살아온 우리 윗세대의 이야기를 다룬다. 심장을 요동치게 하던 이상은 폐배했고, 좀비같이 일상을 살아내야했던 아비의 이야기다.

 

 

 

 

 먼저 간 동지가 남긴 신발을 불태우고

 

 

미래에 대한 낙관도 버리고

 

 

죽지않기 위해선 자신의 과거를 부정하고, 스스로조차 속여야하는 삶 속으로

 

 

 

 

 

 

노년에 이르러 양로원에서 극심한 우울증과 싸우다 자살하기까지

누구에게도 평가받지 못했던 전사

사회는 여전히 그들이 함께 꾼 꿈에 다가가지 못하고 있다.

 

역사는 그들의 투쟁을 기억하고 평가했다.

그러나 나는 현재의 그들의 삶이 더 충만하기를 바란다.

그들이 말할 곳이 있고, 신념을 저버리지 않고 일할 곳이 있고,

세상을 저버리기 전에 잡을 손이 있기를 빈다.

 

신념이 무엇이든 살 권리는 있는 사회를 원한다.

한번 실패해도 툭 털고 있어날 다시 한번의 기회를 원한다.

아직 떼지 못한 노란 리본은 숨죽이지 말라고 외친다.

 

 

모두 함께 나눈다면 - 박노해

70년대에 물오른 청년 노동자이던 나는 

근로기준법 지키는 공장에 다녀보는 것과 

박정희 유신독재의 장발단속 없는 세상에서 

맘놓고 머리 기르며 살아보는게 소원이라고 했다

그떄 친구들은 제발 꿈꾸는 소리 그만 하라고 했다

80년대에는 내놓고 노조 결성도 하고 민주 노총도 만들어서 

공단거리를 노동자의 환한 물결로 가득 메워보는 것과 

군사독재 몰아내고 선거로 우리 대통령 뽑아 정권교체 해보는  

독점재벌 해체와 안기부 해체 진보정당 창당이 소원이었다

그때도 사람들은 꿈꾸는 소리 그만하라고 했지만 

이제  들은 하나둘 이루어져 현실이 되고 있다

요즘 잠자리에 누워 한참씩 이런  꾸곤 한다

우리 아이들과 자전거를 타고 서울에서 평양까지 마음껏 달리고 

만주벌판으로 덮인 시베리아로 유라시아 초원을 거쳐 빠리까지 닿아

거기서 다시 횡단열차를 타고 서울역에 내리는  꾸곤한다

그리고 고르게 부자인 삶의  넘어서서 

벌어서 쓰고 나눠 쓰는 삶을 기쁘게 받아들여 

푸르고 건강한 생활과 많은 사랑과 친절과 

아름답고 기품있는 문화생활과 

소박하지만 알찬 행복감으로 

노동의 보람을 누리며 살아갈 때가 되었다고 

우리 노동자와 서민들이 손에 손에 뭉치를 들고 

지구형제들 보는 앞에서 총파업 시위에 나서는  꾸는 것이다

친구들은 다시 제발 꿈꾸는 소리 그만 하라고 

이제 나이 생각하고 발짝만 앞서가서 고생 그만하라 하지만

지난25 동안 자나깨나 사랑 하나 운동 하나에만 눈맞추고 살아온 내가 

하나 온몸으로 깨쳐온 진리가 있다면 

혼자서 꾸면  지나지 않지만 

모두 함께 나누어 꾸면 반드시 현실이 된다 

머리나 입으로만 꾼다면  지나지 않지만 

몸으로 자기 몫의 고통으로 받아 나가면 반드시 현실이 된다 

젊어서 한때 반짝 꾸고 말면  지나지 않지만 

생을 두고 끝까지 꾸어 나간다면 반드시 현실이 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2014-11-20 09: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살하는 사람은 스스로 짐을 짊어지지 못해서 떠나려고 하니
모두 타살, 아니 `살인`이라고 해야 옳지 싶어요.
사회와 정부가 살인을 저지른다고 해야 할까요...

무해한모리군 2014-11-20 16:07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함께살기님
나 자신의 삶을 어떻게 충실하게 꾸려갈 것인가 하는 고민이 많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