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미선생의 도시락 3 - 내일의 식탁
키타하라 마사키 글, 오사무 우오토 그림 / 대원씨아이(만화) / 2010년 2월
절판


사람이 먹을 음식에 몸에 좋지 않다는 농약을 왜 치게 될까요?
그건 농업도 산업이 되면서, 공산품처럼 균일할 수 없는 농산품에게 균일한 상품가치를 요구하게 되면서 부터 였습니다. 그러다보니 상품성이 떨어지는 농산품들은 고스란히 농민들의 재고가 되었지요. 거기다 나라에서 대량 기계농을 장려하면서 많은 농민들이 그런 설비를 갖추려고 큰 빚을 지게 되었으니, 상품성 있는 농산물을 많이 생산하는 것이 무척 중요하게 되었어요.

또 우리나라의 식량자급률은 10%가 안된다고 하는데,(쌀제외시 5%, 포함시 25%정도 급격히 낮아지고 있음) 이 많은 인구가 먹고 살자면 적은 땅에 높은 소출을 보는 것도 중요하게 되었으니 무조건 약을 치는 것을 나쁘다고만도 할 수 없지요.

매끈하고 실한 상품을 좋아하는 소비자의 풍토 또한 약을 칠 수 밖에 없게 하고 있다네요. 실재로 큰 뜻을 가지고 유기농업을 했던 농가들이 높은 상품가치를 가진 상품만 사는 소비자들 덕에 엄청난 재고 부담만 지고 실패하고, 또 소비자는 소비자대로 유기농은 무척 가격이 높아서 엄두를 낼 수 없게 되었어요.
또한 제철먹거리, 올해 산출이 많은 것을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공산품처럼 자기가 원하는 것만 소비하려고 하는 자세도 농민들의 농사를 점점 어렵게 하고 국내 유기농품의 가격을 올리는 원인이지요. 먹거리를 상품으로 보다보니 이런저런 문제들이 다 생기는 듯 합니다.

요즘에 유기농 시장을 보면 자기 입에 들어가는 것에 약만 안치면 된다는 이기적인 소비행위인 경우를 보게 됩니다. 수입 유기농산물은 약은 안쳤지만 대량 기계농이거나 먼거리를 이동해왔으니 얼마나 많은 기름을 썼겠습니까? 왜 멀리서 왔는데 터무니 없이 싼지 조금만 더 생각해 보며 먹을 거리를 사야겠습니다.

비싼 유기농산물 사먹는 것에 집중할 것이 아니라 우리땅, 내 주변에서 나는 제철 먹거리를 내 손으로 정성들여 만들어 먹는 것이 더 건강한 식생활이라고 생각됩니다.
기왕이면 생협이나 직거래로 만드는 사람이 누군지 알고 한해 소비할 량을 미리 약속해주면 더 좋겠지요? 또 단위당 열량 효율이 낮고, 엄청난 곡식들을 먹어치우는 육류가 아닌 채식위주의 식단으로 바꾸어 가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무엇보다 뭐든지 돈으로 사서 하려는 마음, 몸이 편한 방식으로만 살려는 마음에서 벗어나서 삶의 작은 부분부터 번거롭지만 정성을 쏟아보면 어떨까요? 생각해보면 먹는 것 만큼 삶에서 중요한 것도 많지 않잖아요.


댓글(4)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꿈꾸는섬 2010-02-13 07: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먹거리가 참 중요하죠. 우리동네에도 얼마전부터 생협이 생겼는데 도통 나서지질 않아요. 아파트에 들어서는 장을 주로 이용했었거든요. 그나마 대형마트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더 많아 장들어오는분들도 장사가 너무 안돼서 우리 아파트 들어오는 걸 꺼려하신다네요. 그래서 전 좀 열심히 팔아주는 편인데, 올바른 소비를 하는건지 또 생각하게 되네요.

무해한모리군 2010-02-14 22:15   좋아요 0 | URL
꿈꾸는섬님 참 대단하세요. 저는 혼자살림도 그러기가 쉽지 않은데.
어떤 재료를 썼든 엄마가 요리해준 밥상 자체가 건강에 가장 좋은 것이라 생각합니다. 몸건강 마음건강 모두요!

마녀고양이 2010-02-16 11: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얼마전에 두레 생협에 출자해서 가입했거든요.. 생협이 맘이 편하더라구여. 자잘한 것들은 집앞 마트와 아파트 장터에서, 유기농 채소나 과일, 선물 세트는 생협에서 사는데 생협은 일주일에 한번 배달해주고 생산자 직거래라서 기분 좋더군요.

무해한모리군 2010-02-16 11:24   좋아요 0 | URL
네 무엇보다 저는 소비와 가격을 '약속'해준다는 점에서 생협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생산자들에게 일정한 량과 가격을 사전에 보장해주니 얼마나 마음 든든하겠습니까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