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을 마치고 한잔의 룰루랄라에서 삼천오백원짜리 카스 한병을 마시며 주인장이 저자에게 싸인 받은 습지생태보고서를 읽었다.
이 치료에 들어간 돈 1백2십만원. 누군가 혼자 살려면 먹는 낙이라도 있어야 한다는 말에 시작한 이치료가 이렇게 대단한 공사가 될 지 나도 몰랐다. 대견하다 이제 치과에 다닐 만큼 돈을 번 내 자신이. 사는 낙을 추구하려는 내가..
나는 최규석처럼 가난을 그저 자연스럽게 받아들이지 못했을까.
부럽더라.. 이런저런 곳을 둘러보면서 공부할 수 있는 친구들이.. '너 더 공부해봐라'는 졸업학기 때 선생이 해주던 말이 아직도 가끔 귀에 맴돈다. 그래 정치경제학 해봤어야 밥 굶었겠지.. 최작가가 가난을 두려워하지 않고 벌기위한 수단으로 자기 일을 이용하지 않는 모습이 얼마나 멋지던지.. 나는 두려웠고 생활을 택했다. 후회하지 않는다. 이젠 치과도 다니고, 뜯어먹던 친구들한테 한 턱 낼수도 있고, 엄마 가방도 사줄 수 있고, 반듯한 집에서 잘 수 있고, 내 컴퓨터도 있으니까.
나는 외모에 신경쓰지 않아서라고 말했지만 언제나 행사티에 민복바지가 꼭 좋아서만 입었겠는가. 때로는 나도 곱게 차려입고 싶던 날도 많았더라. 한벌뿐인 정장과 하나 뿐인 정장 백(한달 백만원 벌던 사촌동생이 취직했다고 없는 돈에 동대문에서 사다줬던)을 들고 출근하던 첫날, '아 내일은 뭘 입지.. 왜 남자들처럼 정장 한벌을 주구장창 입으면 안될까' 절로 한숨쉬어지던 날들.
나는 없다는게 참 부끄럽고 감추고 싶고 그랬다. 비록 빌어먹어도 고개 빳빳이 들고, 없어서 얻어먹는게 아니라 단지 술값을 너무 많이 쓴거라고 구차한 거짓말을 했던 참 모냥새 빠지는 녀석이었다.
그래서 조카들에게 뭔가 해줄때 기분이 좀 이상하다. 누군가에게 뭔가를 받는게 너무 자연스러운 그 모습이, 뭔가를 요구하는게 너무 자연스러운 그 모습이 내겐 어색하다. 그래도 근검이니 절약이니 하는 말로 훈계를 할 만큼 꼰대는 아니니 얼마나 다행인가.. 그저 다를 뿐이고, 결코 그 느낌을 알 수 없으리라..
아 그냥 궁상맞지 않은 가난의 이야기가 내 허영을 톡톡하고 건드렸나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