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중충한 날씨는 계속되었다. 비 내리는 흑해 연안의 어느 민박집에서 홀로 밤을 지새우던 시간을 뒤로 하고 아침 일찍 길을 떠났다. 카파도키아에 도착한 것은 보슬비가 촉촉히 내리던 한밤중이었다. 칠흙 같은 어둠 속에 희미하게 서있는 표지판을 뒤로하고 무작정 언덕을 올라 언덕 맨 끝에 자리한 숙소에 자리를 잡았다. 아무런 정보도 없이, 칡흑 같은 어둠 속에서 그저 발길이 닿는 대로 찾아간 숙소는 다음날 잊을 수 없는 풍경을 선사해 주었다. 눅눅한 날씨에 지친 나그네의 발길을 달래주려는 듯 오랜만에 나타난 햇살은 도저히 믿을 수 없는 풍경을 더욱 환하게 비추어, ‘아, 과연 이 곳이 진정 지구별에 존재하는 도시인가’ 하는 감탄과 함께 아침도 잊고 햇살이 정수리에 내리 꽂힐 때까지 달에 첫 발을 내디딘 암스트롱인양 언덕 구석 구석을 돌아다니게 하였다. 기독교인들이 박해를 피해 달아나 정착한 돌산의 동굴은 이제 여행자들을 맞이하는 숙소로 탈바꿈 되어지고 있었지만 언덕 위에서 바라보이는 마을 풍경은 경박스럽거나 소란스럽지 않은 아직 태동하지 않은 태고의 신비인양 조용하고 고요했다. 면허도 없이 빌린 오토바이를 타고 궤레메 외곽을 달리는 길은 또 다른 풍경을 떡 하니 꺼내놓았는데, 각양각색의 무지개 떡인 양 화려한 지층으로 축적된 로즈 밸리, 스머프 버섯집의 기원이 된 파샤바 등 도화지처럼 펼쳐진 풍경은 바람을 맞으며 달려가는 오토바이를 풍경 속의 한 점으로 만들어버리곤 했다.
<가파도키아 마을 풍경>
처음 여행을 시작할 때는 내가 잃어버렸을지도 모를 무언가를 찾아야 한다든가 아니면 내 영혼의 구석 어딘가에 덕지덕지 달라붙어있을 욕망의 덩어리를 버려야 한다든지 하는 의무감 비슷한, 어쩌면 강박관념이라 표현해도 좋을 무엇인가가 분명 존재한 듯 싶었다. 인도-네팔 45일간의 1차 여행을 마치고 남미와 중동을 저울질하다 중동으로 떠나온 이번 여행은 그저 두 발이 가져다 주는 자유로움을 따라 걷고 있는 듯 했지만 그래도 가슴 한 켠 어딘가에는 설명할 수 없는 덩어리가 문득 느껴지곤 하였다. 그런데 터키 카파도키아의 어느 동굴 호텔에서 그를 다시 만났다. "체 게바라", 오랜 세월 습관처럼 의미 없이 반복되는 삶이 지겨워질 무렵 여행을 떠나 삶의 이면을 다시 한번 바라보라고 등 떠민 이가 그였다. 그가 의대생 시절 오토바이 한대로 떠난 남미 여행이 나에게 길을 떠나도록 오랜 세월 재촉했고, 그 속삭임에 첫 발을 내딪은 것인데, 그의 여행기를 다시 읽으며 내가 길 떠난 의미를 다시 떠올려보게 된 것이다. 너무 큰 욕심은 부리지 않을 생각이다. 사실 욕심만으로 될 일도 아니지만, 나무는 겨울에도 자라고 있음을 나이테가 보여주듯 자유로운 길 떠남 어딘가에도 영혼은 조금씩 자라고 있을 것이다. 비 내리던 터키의 어느 시골 버스 안에서 창문 밖으로 그려지던 그리운 이들의 서늘한 눈매, 그것만으로도 지금은 충분히 충만하다.
<카파도키아 열기구 - 세계 열기구 3대 포인트중 한곳>
가끔은 나무를 흔드는 바람이 나를 부르는 손짓처럼 느껴지고 나뭇잎 사이로 쏟아지는 햇살이 거울로 희롱하는 햇살의 장난으로 느껴질 때가 있다. 그런 날은 내 몸을 감싸는 대지의 기운이 다 그런 듯 하여 일손을 놓고 하염없이 창밖을 바라보곤 했다. 피죤 밸리라 불리는 언덕은 간만에 모습을 드러낸 햇살에 녹기 시작한 눈이 질퍽거리고 있었고 아직 쌀쌀한 바람이 옷깃을 세우게 만들었다. 어제의 흔적인지 오늘 아침 먼저 내려간 이의 흔적인지 뭉그러진 발자국을 따라 조심스럽게 계곡을 내려가다 바람을 타고 실려온 소리에 사로잡혔다. 계곡 안을 부딪히며 메아리치는는 소리는 그 방향을 쉽사리 나에게 보여주지 않았는데 그나마 방향을 잡아갈 수 있었던 것은 그 알 수 없는 소리 속에 나의 마음을 이끄는 어떤 요소가 분명히 존재한 듯 싶다. 비탈진 언덕을 미끄러지며 올라 도착한 곳에서는 나를 이끌던 그 소리로 온통 가득 차 있었다. 교회 종소리보다는 경쾌하지 않고 절의 풍경 소리보다 묵직하지 않지만 초원을 쓰다듬는 바람과 어울리는 투박하지만 콧노래가 그냥 나올듯한 경쾌한 소리였다. ‘멜하바’를 외치며 웃음으로 나를 맞아주던 어느 늙은 목동이 이끌던 양떼의 풍경 소리였다. 어느덧 눈이 녹기 시작한 푸른 초원을 배경으로 울리던 양들의 합창은 잊을 수 없는 감흥를 선사해주었다.
< 카파도키아 양치기>
땅덩이 넓은 대부분의 나라들이 그렇듯이 터키 또한 야간 버스 시스템이 훌륭하게 갖춰져 있다. 여행 시간 확보를 위해 주로 야간 버스를 타고 이동하였는데 몸이 적응하니 밤이 선사하는 아름다운 감흥에 젖어 들곤 했다. 지저분하고 깨진 창문 사이로 새어 든 바람으로 얼어 죽을 뻔한 인도의 야간 버스와는 달리 터키의 야간 버스는 천국을 향해 가는 어느 길 위에 있는 듯 편안하다. 차장은 제복을 말끔하게 차려 입은 터키 청년들인데 주로 간식을 챙겨주거나 중간 경유지에 내려야 하는 손님을 일일이 챙겨주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가끔 잠이 들었다 깨어나면 몸을 뒤척이는 작은 소리도 놓치지 않고 어느새 차장이 옆에 다가와 손을 내밀라고 한다. 잠결에 손을 내밀면 레몬 향이 가득한 스킨을 손에 뿌려주는데 아직 의식이 채 들어오지 않은 상태에서 손 위의 레몬 향을 맡는 것은 색다른 경험이다. 향기로운 꿈을 꾼 느낌이랄까. 그 버스 안에서 꿈과 의식의 거리는 머리와 손의 거리에 불과했다. 자다 깨다를 반복하며 꿈과 레몬 향 사이를 오고 가노라면 마치 레몬밭 사이를 헤매다 꿈으로 돌아가는 느낌이었다.
<카파도키아 명물 항아리 케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