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을 이틀 앞두고 당일치기로 강릉에 다녀왔다.
차례를 우리 집에서 모시는 입장에서 추석이나 설 연휴에 장보러 마트가는 것 외에 다른 어딜 간다는 건 꿈도 못 꾸고 살았는데 올림픽이 뭔지,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올림픽인데 당일로라도 보러 갔으면 좋겠다는 아들의 제안때문, 아니 '덕분'이었다.
평창에서 하는 경기는 밤 경기 밖에 표가 없어서 그날로 돌아와야 하는 우리는 강릉 경기장에서 저녁 7시에 하는 여자 스피드 스케이팅 표를 인터넷으로 구입하고 강릉으로 출발.
하늘이 잔뜩 흐려있건 말건, 다녀온 다음 날 하루는 앉을 사이 없이 차례 음식 몰아서 해야하건 말건, 일단 명절 연휴에 바깥 바람 쐬러 나간다는 것만으로도 숨통이 트이는 기분.


평창 휴게소, 강릉 휴게소 푯말을 보고 감격하는 내 자신이 참 딱하기도 했다. 난 그동안 창살없는 감옥에서라도 살아왔던 건가? 그런 감옥이 있다면 그건 아마 내 손으로 만든 감옥이겠지 라고 생각하니 괜히 더 억울하고 더 한심하고.
나보다 연세 많으신 분들이 하시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다. 여행은 가슴이 떨릴때 해야지 다리가 떨릴때 하면 아무 소용 없다고. 몸이 건강할때, 다니는 것이 힘에 부치지 않을때 하라는 얘기다.

좌석에 앉아서 경기가 시작되기를 기다리면서 찍어본 경기장 전경.

훌륭하다!
우리 좌석 옆에 네덜란드 응원단이 많이 와 있었는데, 단체로 감귤색 옷을 입고 있어 눈에 확 띄었다. 등 뒤에 새겨넣은 저 사람이 누굴까 궁금했는데 궁금증은 경기가 시작하면서 바로 풀렸다. 이번에 네덜란드에서 출전하는 여자 스피드스케이팅 선수인데, 강력 우승 후보였나보다. 그런데 경기 중반까진 이 선수가 1위이다가 최종적으론 네덜란드 출신 다른 선수가 올림픽 신기록을 기록하면서 1위를 하고 이 선수는 4위에 그쳤다. 2, 3위는 모두 일본 선수가 차지, 우리 나라에서 출전한 김현영, 박승희 선수도 열심히 했으나 등위에 들지는 못했다. 열심히 해준 우리 선수에게도, 또 우승한 다른 나라 선수에게도 아낌없는 박수와 환호를 보내주었다.


트랙을 다 돌고 모든 선수들이 한 바퀴를 더 돌면서 인사를 한다.
그때 찍은 우리 나라 김현영 선수.

바깥쪽 트랙을 돌고 있는 선수가 박승희 선수.
트랙의 직선 코스와 코너에서 선수의 손놀림, 발 동작 등 몸 자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이번에 처음 알았다. 왜 그래야 하는지도.

금메달 획득한 네덜란드 선수.
우리가 앉은 좌석이 네덜란드 응원단 좌석과 가까이 있어서 앞에 와서 국기 들고 답례하는 모습을 가까이서 찍을 수 있었다.
보는 대상이 그 무엇이든 현장에서 직접 보는 것은 기운과 의욕을 덤으로 준다. 잡념과 망상을 잊게 해준다.
경기를 다 보고 셔틀을 타고 주차장으로 와 집으로 향하는 시동을 건지 4시간 넘게 달려 집에 도착한 것은 다음 날 새벽 2시.
1988년 우리나라에서 올림픽을 개최할때 나는 대학교 4학년. 온 나라가 올림픽으로 들썩 거렸지만 지금도 그렇지만 그때도 스포츠에 대해 잘 모르고 잘 못하는 나는 별로 즐기지 못했었다. 그저 무사히 잘 끝나기만 바랐던 기억이 있는데 나이 오십이 넘어 본 이번 2018년 올림픽은 잊지 못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