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경향일 (葵傾向日)
'규'가 해바라기 규.
'해바라기는 해를 향하여 기운다'
목표를 향하여 한눈 팔지 않겠다는 의지로 내멋대로 의미를 붙인 후 매일 쓰는 수첩 첫장에 커다랗게 저 네글자를 써놓았었다. 목표가 확실하던 대학교 4학년때 일.
이젠, 기존에 확신하던 것들도 정말 그럴까? 그게 과연 그렇게 중요할까? 무슨 의미? 이러고 회의하는 나이. 그저 지나온 길의 흔적으로 보이는 말일 뿐이다.
이젠 그냥 꽃이라서 좋아, 해바라기를 보러 공주 금강 둔치를 찾았다.

해바라기 피는 과정샷 1번. 이런 봉오리 단계를 거쳐서~

해바라기 과정샷 2번 ^^

해바라기 과정샷 3번

해바라기 과정샷 4번. 이렇게 활짝 핍니다!

해바라기면서 이렇게 해를 등지고 있는 (^^) 해바라기도 있고

이렇게 웃고 있는 스마일 해바라기도 ^^
(울고 있는 해바라기도 물론 있었는데 사진으로 찍진 않았다. 우는 모습의 꽃은 어딘지 안어울려서)
하지만 뭐니뭐니 해도 가을은 국화라고 해야할 것이, 이날 본 꽃들이 해바라기를 제외하곤 모두 국화과 식물.

코스모스
→ 국화과






백일홍
→ 국화과

백일홍도 모양이 다양하다.

이것은 백일홍 꽃이 피기 전의 '총포'인지.
도감을 찾아봐야겠다.


공산성 올라가는 길의 구절초
→ 국화과



마무리는 공산성 돌 표면에 붙어 있는 '돌꽃'으로.
공주는 충청남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의 하나이다. 웅진이라는 옛이름때문에 도시 여기 저기 곰돌이 인형, 그림 등을 볼 수 있고, 공산성은 UNESCO지정 세계 문화 유산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