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나 지금이나, 나라와 민족을 막론하고, 인간에게 죽음만큼 두려운 것이 있을까.

세계 4대 문명 가운데 하나인 이집트 문명의 흔적에서 읽을 수 있는 주제도 결국 죽음을 두려워했고 영원한 삶을 기대했던 이집트인의 믿음이었다.

 

 

 

 

 

 

이렇게 꾸물꾸물한 날, 가방에 우산까지 챙겨넣고 나선 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이집트 보물전이다.

 

 

 

 

 

 

일요일, 게다가 방학 기간!

입장권 사는 줄도 길었지만 입장권 사고나서도 건물안에 들어가서 대기표 받고 꽤 오래 기다려야 했다.

 

 

 

 

 

 

이집트 보물이지만 이집트에서 온게 아니라 뉴욕에서 왔다. 브루클린박물관 소장품.

 

 

 

 

 

전시실 입구에, 포스터에, 입장권에 실려있는 사진이 바로 이 내관 (관속의 관) 이다.

무슨 관이 이렇게 화려하고 아름다울까.

 

 

 

 

 

 

 

 

 

 

 

관의 바닥에까지 이렇게 빠짐없이 그림이 그려져있다.

 

 

 

 

 

 

 

 

 

미라 제작 과정.

주검이 미라가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약 70일.

옆구리를 절개하여 모든 장기를 꺼내는데 심장은 꺼내지 않고 남겨둔다.

 

 

 

 

 

 

미라를 싼 수의마저도 이렇게 화려하다.

 

 

 

 

 

미라를 만드는 과정에서 주검에서 꺼낸 장기들을 보관하는 단지이다. "카노푸스 단지"

 

 

 

 

 

 

미라를 감은 붕대. 여기도 빼곡히 글자와 그림.

 

 

 

 

 

관에 넣어주는 것들은 매우 다양하지만 이 "사자의 서"라는 것은 특히 중요하다. 죽은자 (사자)가 사후 세계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주문을 외워야 하는데, 주문을 잘 외워서 사후 세계로 안전하게 들어가게 하기 위한 기원으로, 그 주문을 적어 관 속에 넣어주는 것이 바로 이 사자의 서 (Book of the dead)이다.

 

 

 

관의 구성.

오른 쪽이 미라, 왼쪽과 가운데 것이 관이다.

 

 

 

 

 

 

 

 

 

이집트인들은 동물도 신처럼 인간을 보호해줄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어서 사람의 주검을 미라로 만들때 동물도 함께 미라로 만들어 넣었다고 한다. 동물 미라는 고대 문명 중에서 이집트만이 가지는 독특한 문화유산으로서, 이집트인들이 동물을 사람과 동등하거나 신과 같은 존재로서 대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위의 사진은 고양이 미라를 넣은 관.

 

 

 

 

 

이것은 따오기 미라 (Ibis Mummy).

따오기는 지혜의 신 "토트"를 상징하기도 하는데, 관에 그려져 있는 여러 가지 그림 중에 빠지지 않고 꼭 등장하는 동물이기도 하다.

 

 

 

 

 

무척 많은 사진을 찍어왔으나 몇개만 골라서 올렸다.

 

기원전 유물이 어떻게 지금까지 보존되어 내려올 수 있는지 놀랍기만 하다. 기술도 놀랍지만, 인간의 죽음에 대한 두려움의 크기, 그것을 극복하고자 한 인간들의 믿음은 더욱 놀랍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죽음이 찾아온 순간 끝나는 것.

삶은 영원하지 않지만 죽음은 영원한 것일지도 모른다.

"무덤에서 잘 살아라"는 위의 싯구가 아이러니하면서도 뭉클하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qualia 2017-01-09 00: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다면 고대 이집트인들은 영혼/Soul의 존재를 믿었다는 건가요?

hnine 2017-01-09 00:15   좋아요 1 | URL
네, 실제로 영혼을 사람의 머리 위에 ˝새˝의 형태로 그려놓기도 하는데 이것을 ˝바 (ba)˝라고 한대요.

qualia 2017-01-09 01:12   좋아요 0 | URL
아하, 그렇군요. 고대 이집트인들이 믿은 영혼/Soul이 정확히 어떤 개념의 영혼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저는 고대 이집트인들을 비롯한 수다한 고대인들의 영혼 존재 믿음에는 어떤 근원적 진리가 내재하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한마디로 말해 영혼 존재에 관한 고대인들의 믿음은 결국 옳았다는 것으로 판명나지 않을까, 과학적으로도 충분히 밝혀질 날이 오지 않을까 생각한다는 것이죠. 어제 인터넷 뉴스에도 나온 것 같은데요. 인간은 아직도 전체 우주의 5% 정도밖에 파악하지 못했다고 하는군요. 나머지 95% 정도는 암흑에너지, 암흑물질 등등으로 추정할 뿐 아직 감도 잡지 못한 상태라고 합니다. 요컨대 현재 지구인들의 저런 과학 수준 가지고 (흔히 과학 맹신주의자들이 그러하듯이) 영혼 존재론을 허무맹랑한 미신 정도로 치부하는 것은 커다란 오류라는 것이죠. 물론 이런 논리로는 영혼 존재론이 진리라는 것도 입증할 수 없습니다만, 영혼 존재론에는 우리의 마음/의식 자체라는 가장 강력한 근거가 있다는 것입니다. 얘기가 다소 동어반복적인 오류, 혹은 하나 마나 한 소리 같은 느낌이 들긴 하는데요. 복잡해지고 어려워지는 것 같아서 이 정도로 그치겠습니다. 아무튼 고대 이집트인들의 영혼론은 정확히 어떤 유형의 영혼론인지 알아봐야겠습니다.

hnine 2017-01-09 08:36   좋아요 0 | URL
저도 과학을 전공하긴 했습니다만 과학을 공부해보면 오히려 과학 지식으로 설명이 안되는, 빙산의 아래같은 방대한 미지의 분야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드는 것 같아요. 과학은 과학으로 설명될 수 있는 분야만 다루기로 한다고, 일반생물학 개론서 첫장에 명시하는 것도 있거든요. 그런데 과학 지식으로 우주, 영혼 같은 것을 모두 설명하려고 한다는 것은 시도 자체야 해볼 가치가 있겠지만 결론을 내리는 것은 위험하고 과학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도 아니라고 생각해요.
이집트 유물을 보면서 처음엔 아, 어떻게 이렇게 수천년 보존될 수 있는 기술이 가능할까 감탄하다가 나중엔 그런 기술이 가능케한 이집트인의 정신 세계, 그들의 믿음이 경외스러워졌어요.


oren 2017-01-09 00: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사진들을 보니 2008년에 이집트로 여행을 갔을 때 ‘카이로 박물관‘에서 실컷 보았던 숱한 ‘미이라‘가 다시금 떠오르는군요. 그리고, 거기서 직접 봤던 투탕카멘의 황금마스크를 대할 때의 격한 흥분과 감동도 다시금 생각나고요.

hnine 2017-01-09 06:51   좋아요 1 | URL
미라도 종류와 형태가 무척 다양하더군요. 부자이냐 아니냐에 따라 관의 재료, 종류, 크기, 방법, 같이 묻는 껴묻거리도 달라지고요. 사진이 너무 많아 다 못올렸는데 이집트에 직접 다녀오신 oren님 기억 속엔 훨씬 더 많은 자료들이 들어있을 것 같아요 ^^
투탕카멘의 황금마스크는 저 아주 어릴때 소년중앙 부록으로 나온 것을 처음 보고서 와! 와! 놀랬던 기억이 나요. 그게 벌써 몇십 년 전인데 아직도 이렇게 생각이 나네요.
그리스 로마 신화도 다 모르고 있지만 이집트 신화에 대해서는 정말 많이 모르고 있다는 것을 이번에 전시 보면서 깨닫기도 했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이름들, 토트, 오시리스, 이비스, 등이 이집트 신화 속의 신의 이름이라는 것도 모르고 있었어요.

stella.K 2017-01-09 13: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갔다오셨군요. 그렇지 않아도 궁금했는데.
저는 서울인데도 못 가고 있습니다.ㅠ

hnine 2017-01-10 00:30   좋아요 0 | URL
오히려 먼데 사는 사람이 볼 확률이 높을 때가 많답니다. 작정하고 나서기 때문인데 서울에 살면 언제든지 금방 나설 수 있기 때문에 마음 급할 것 없으니까요. 더구나 아직은 그리 춥지 않아서 다닐 만 했어요. 긴 줄 서있는 동안에도 별로 춥지 않았고요.
이번 전시 기간동안 혹시 못가시면 뭐 직접 이집트나 뉴욕 브루클린 뮤지엄에 가셔서 보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