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한달 4주에 걸쳐 셰익스피어 서거 400주년 기념 4대 비극 특강을 들었다.

집에 가지고 있어 먼저 읽어놓은 <햄릿>을 제외하고 다른 세 작품은 강의 전에 주문해서 읽을 시간이 없어서 아파트 작은 도서관에서 급한대로 구해 읽었는데 빌려 읽은 책 두권이 알라딘 검색으로 상품 넣기가 안된다. 할 수 없이 복사해서 붙여넣기 해놓는다.

비록 교과서 세계문학이라고 되어 있긴 하지만 요약본 아닌, 엄연한 전역판이라서 불만 없이 하루 전에 빌려다가 다 읽고 강의에 들어갔고, 오셀로는 마침 같은 장소에서 연극을 상연하고 있기에 그것도 챙겨 보는 열의, 아니 재미를 느꼈던, 알차고 좋은 시간이었다.

 

 

       

 

 

추정되는 집필 시기가 1599년에서 1606년 사이, 햄릿-> 오셀로 -> 리어왕 -> 맥베스 순서이다.

1564년에 태어나 1616년까지 살다간 세익스피어는 태어난 날과 세상을 떠난 날이 4월 23일로 같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존 인물이다 아니다, 아직도 종종 논란이 되고 있는 세익스피어는 처음부터 글을 쓰던 사람이 아니라 극단에 소속된 배우였다가 연극 대본까지 쓰게 된 사람.

5막으로 되어 있는 햄릿은 세익스피어의 다른 작품에서와 마찬가지로 첫 장면부터 관객의 시선과 호흡을 끌어모으는 대사로 시작한다. "거기 누구냐? (Who's there?)"

그 유명한 "약한 자여, 그대의 이름은 여자이니"라는 대사가 나오는 것도 햄릿. 햄릿의 첫 독백 중에 나온다.

햄릿이 복수를 주제로 하고 있다면 오셀로는 사랑과 질투의 비극이다. 왕이 아닌 일개 장군이 주인공으로 나온다는 점에서 다른 세 작품에 비해 약간 함량 미달이라고 보는 사람도 있다는데, 이 오셀로가 질투, 흑백의 결혼과 인종 편견, 이아고의 악마성, 그 밖에 동성애를 작품 분석의 주제로 보는 의견도 있다는 말을 듣고 뜻밖이면서 과연 그럴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든 그렇지 않든 한 작품을 이렇게 여러 견해로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 더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사람 사이에 일어나는 일에는 정답이 없지, 답이 하나가 아니란 말이야.

리어왕의 주제를 자식에겐 유산을 절대 일찍 물려줘서는 안된다 라고 한들 누가 뭐라고 하겠는가. 처음에 아버지로부터 너는 아버지를 얼마나 사랑하느냐,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받고 "Nothing!" 이라고 대답해버리는 막내딸 코딜리어의 그 말은 이 작품 전체의 주제가 이래도 저래도 인생은 무상하다는 것을 암시한 것이라는, 좀 더 고급스러워 보이는 주제에 한치도 뒤지지 않는다. 그걸 너무 늦게, 제 정신이 아닌 상태에 이르러서야 알아버린 리어왕의 최후는 불행했다.

맥베스 왕보다 어쩌면 그 부인이 더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보일 정도로 맥베스의 야심에 불을 붙이는 것은 맥베스 부인이다. 부인의 사주에 넘어가 맥베스의 악마성은 극에 달하고, 그것을 벌주는 것은 그 누구도 아닌 맥베스 자신의 양심이었다. 인간의 가장 밑바닥에 남아 마지막에 존재감을 드러내는 것은 "양심"이라는 것. 세익스피어의 작품에서 그것은 종종 유령이나 환영으로 나타난다.

 

참고로, 위의 네 작품을 4대 비극으로 꼽은 것은 세익스피어 자신이 아니라 후대 영국의 평론가 에드워드 다우니라고 한다 (받아적은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이름인지 모름)  → 검색해보니 Edward Doughtie (에드워드 다우티)가 맞는 것 같습니다

4주에 걸친 강의를 다 듣고 돌아오는 밤길이 못내 아쉬웠다.

원래는 이 모든 작품들이 산문이 아닌 운문의 형식으로 쓰여졌는데, 우리말로 해석되는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평이한 산문으로 변신할 수 밖에 없음도 역시 아쉬웠다.

Fair is foul and foul is fair (고운 건 더럽고 더러운 건 곱다).

맥베스에서 마녀들의 주문에 나오는 대사인데, 이런 식의 라임 혹은 댓구를 알면서 읽을 수 있다면 두배는 더 재미있을텐데 말이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nama 2016-10-02 16:2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대학 시절, 햄릿을 원서로 공부할 때는 번역본 주욱 늘어놓고 어떤 번역이 그럴듯한지 비교한 다음에 번역글 한 줄, 원문 한 줄 해석하며 읽었지요. 시험은 햄릿의 독백을 원문으로 암기하여 쓰는 것이었는데 제대로 외운 적이 한 번도 없었답니다.

hnine 2016-10-02 19:01   좋아요 1 | URL
아, 전공 수업은 그런 식으로 진행되는군요! 지금 제가 서양고전문학 강의를 듣는게 있는데 (평생교육원이요 ^^) 교수님께서 원문을 먼저 주욱 읽으시고 우리말로 해석해주시고, 그러시더라고요. 저는 듣고 있으면서도 어디 하고 계신지 놓치기 일쑤예요 ^^ 그래도 안하던 분야라서 신기, 재미로 잘 듣고 있어요. 햄릿뿐 아니라 세익스피어의 다른 작품 속에도 새길만한 문장들이 많더군요. 원문으로 암기하여! 허걱...

숲노래 2016-10-04 06:5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한국 시를 외국말로 옮기거나
외국 시를 한국말로 옮길 적에는
나라마다 결이 달라서
그 결을 살릴 수 있어야 하는데
이 대목을 놓친다면 `운문 같은 셰익스피어`를
뜻만 밝혀 주는 번역으로만 건드릴 수밖에 없으리라 느껴요.
그러니, 시를 쓰는 마음으로 번역을 해야
말맛이 살 텐데,
한 가지가 더 있어요.
셰익스피어는 영어로 문학을 할 적에 `새로운 말을 수없이 지으면`서 살찌웠으니
한국말 번역도 이 같은 넋을 헤아릴 수 있어야 할 테지요

hnine 2016-10-05 19:11   좋아요 1 | URL
시를 쓰는 마음으로 번역을 해도 외국어이기 때문에 어려움은 어쩔 수 없다고 봅니다.
지금 읽고 있는 아이네이스 경우에도 역자가 그렇게 모험에 가까운 시도를 하고 있는데 읽는 사람으로서 이중의 고충을 겪기도 하거든요. 외국어라도 라틴어를 영어로 번역할때는 시처럼 번역이 가능하지만 우리말처럼 완전히 다른 언어권 언어로 번역할때는 원전의 말맛을 살려 번역하기란 참 어려운게 사실인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읽는사람이 더 공부를 해가며 읽어야할텐데...최소한 저는 그런 충실한 독자가 되지 못한 것 같네요.

yamoo 2023-10-24 10:1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우와! 카테고리가 제 서재와 비슷합니다요!!!ㅎㅎ
정말 반갑네요..^^

hnine 2023-10-24 11:24   좋아요 1 | URL
그런가요?
오래 전 올린 글에 댓글을 달아주셨네요.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