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이 있는 대전에서 시아버님 산소가 있는 평택까지, 보통 두 시간이면 가는데 이번 추석날은 5시간 걸려 갔다.

남은 연휴동안엔 아파트 주변 산책하며 사진도 찍고, 가까운 미술관에도 잠깐 다녀오기.

 

 

 

 

이 식물의 봄, 여름 모습을 기억한다.

달개비, 또는 닭의 장풀.

 

 

 

 

지금  이 모습으로도 너는 여전히 달개비, 또는 닭의 장풀이야.

 

 

 

 

 

명아주. 키가 이렇게 큰 명아주는 처음 봤다 싶을 정도로 훌쩍 자라 있었다.

6.25땐 이것도 뜯어 먹었다고, 엄마가 늘 말씀하시던 그 명아주인데 이렇게 자란 건 억세서 못 먹었을 것 같다.

 

 

 

 

 

 

꽃 오래가기로 유명한 배롱나무도 이젠 이렇게 열매로 남고.

 

 

 

단풍이 꽃보다 더 아름다운 대표적인 예가 되는 화살나무.

 

 

 

예전엔 도토리를 말리시더니, 같은 자리에서 이번에 고추를 말리시는 분이 계시네.

 

 

 

 

고추 옆엔 땅콩이.

 

 

 

 

 

 

 

이른 바 버섯의 계절.

 

 

 

정읍에선 지금 구절초 축제가 열린다던데, 난 그냥 우리 집 앞 정원에서.

 

 

 

 

 

 

 

어떻게 이 여리여리한 식물에 Cosmos란 이름이 붙었는지. 한번 찾아본다고 하고 늘 잊어버린다.

 

 

 

 

 

 

 

 

 

 

극사실주의 전시가 열리고 있는 대전시립미술관으로.

극사실주의에 관심이 있는 편은 아니었으나,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서울이라면 골라서 갈텐데, 이럴 때 지방에 사는 아쉬움이 살짝 드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극사실주의는 영어로 뭐라고 할까? Extreme Realism 이라고 주워 섬기다가 그건 절대 아닐 것 같다고 생각하는데 가는 길에 본 깃발에 써있다 Hyperrealism 이라고. 아, 그렇구나.

나중에 도슨트의 설명을 들으니 이 분야의 미술을 Photorealism 이라고 부르기도 한단다. 그래, 그게 더 귀에 익다.

 

 

 

미술관 들어가는 초입에 있는 동상. 

나 저 자세 안되어서 중학교 체육 시험 볼때 애먹었는데.

아직도 못한다 ㅠㅠ

 

 

 

 

놀라셨나요?

극사실주의 작품이란 바로 이런 것.

 

 

 

 

 

 

여기서부터 의문이 들기 시작한다.

이렇게 그대로 옮겨 놓는 것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 이것도 창작 행위라고 부르는 근거는 무엇일까?

 

 

 

 

 

 

 

너 낳아놓으니 딱 저만하더라, 옆에 있는 아이에게 한 마디 해주고.

 

 

 

 

나무 가지고 만든 것 같은데 나무가 아니란다.

 

 

 

 

 

꼼짝 안하려고 하는 이 두 남자 끌고 나오느라 휴...

 

 

도슨트의 설명에 의하면 별로 예술성 없어보임에도 극사실주의가 사람들에게 호소력이 있는 이유는 우선 복잡하지 않고 별다른 난해한 해석없이 친숙하게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이란다. 이 세상이 워낙 복잡해져가다보니 어느 한 구석에서는 이렇게 복잡하지 않고 그대로 보여주는 것들이 사람들의 호응을 얻는 모양이다.

그런데 나 개인적으로는 그리 큰 감동을 받지는 못했다.

 

작년, 재작년 추석 무렵 찍은 사진들을 다시 들춰 보니 비슷비슷한 대상들이 담겨 있다.

내년 사진엔 좀 다른 곳, 다른 풍경, 다른 대상을 내 카메라에 담고 싶다는 생각, 너무 안 움직이고 살고 있다는 생각을 했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2015-10-04 00: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hnine 2015-10-04 06:44   좋아요 1 | URL
추석연휴 다음에도 공휴일이 징검다리처럼 있어서 10월 강물도 금방 건널것 같죠?
좀 쌀쌀해지긴 했지만 요즘 낮은 정말 좋은 날이어요 그냥 실내에 있기는 아까운.

Joule 2015-10-04 05: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근데 두 남자 모두 신발이 아주 예뻐요.

hnine 2015-10-04 06:47   좋아요 0 | URL
왼쪽 남자는 저날 그나마 점잖은 신발을 신고 나왔어요. 두 사람 모두 평소에 발가락 가두는 신발은 잘 안 신거든요. 저 사진은 제가 찍은 기억이 없는데 어느새 찍어놓았는지 모르겠어요 분명 제 아이 소행이어요.

세실 2015-10-04 08: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극사실주의답게 참 사실적이네요. 여백의 미, 생각할 시간을 안주네요. 좀 섬뜩한 느낌도 들고...저도 별로ㅎ
배롱나무 열매 처음 봐요^^

hnine 2015-10-04 08:25   좋아요 0 | URL
예, 실제보다 더 실제같다고 할까요.
저는 사실 저 전시보다 지금 청주에서 하고 있는 비엔날레 가고 싶었어요~ 오늘도 친정 다녀와야해서 시간이 안 나니 전시 끝나기 전에 갈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배롱나무 열매는 지금 많이 볼 수 있더라고요. 와중에 아직도 꽃도 지지 않은 나무도 있고요.

stella.K 2015-10-04 18: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가을이 이렇게 오다니...
이제 올해도 석달도 안 남았어요. 흐흑~

사진 멋지네요. 극사실주의라고는 하지만 진짜 같아요.
좋은 사진 보여주셔서 감사.^^

hnine 2015-10-04 21:57   좋아요 0 | URL
stella님, 지금 좋은 전시들이 참 많아요.
전 오늘 아버지 산소 다녀왔는데 가는 길에 논에 벼가 노랗게 익어가는 모습을 아주 가까이서 보고 왔어요.
벼가 익어 고개 숙인 모습 보고도 요즘은 뭉클뭉클합니다. 마음이 경건해지고요.
며칠 전에 본 영화 에베레스트를 보면서도 든 생각이지만 자연만큼 우리에게 변함없는 기준이 되고 말없는 가르침을 주는게 있나 싶어요.
2015년의 가을을 만끽해보시길! stella님의 방식으로...

2015-10-05 02: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10-05 05: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몬스터 2015-10-05 15: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이 참 따듯하고 다정해요 hnine님. 꼼짝 안하려고 하는 두 남자.....에서 빙그레 미소 했어요.

hnine 2015-10-05 17:29   좋아요 0 | URL
몬스터님, 벨파스트행 비행기 타셨나요? 마음은 좀 어떠신지.
저는, 말도 마세요. 예전에 한국 한번 다녀서 돌아갈땐 완전 우울 모드에, 펑펑 울기도 하고, 누가 억지로 가라고 하는거 아니니 누구에게 말은 못하고, 자기 회의감에,...완전 바닥을 다 훑고 겨우 겨우 허기적 대며 일어나곤 했어요.
몬스터님은 저보다야 나으시겠죠? 기운 내시고, 벨파스트에서 몬스터님을 기다리고 있을, 또다른 나의 한 부분들을 생각하시고, 무사히 잘 돌아가시기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