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에서의 일이다.
프랑스에서 박사후 과정 연구원으로 세달동안 내가 있던 연구실로 파견나와 있던 Isabelle을 연구실 사람들은 별로 좋아하질 않았다. 특별한 이유가 있었던 것은 아니고, 내가 보기엔 그저 타지 사람들에 대한 경계심 플러스, 객식구로서의 자신의 신분을 의식해서 Isabelle이 의식적으로 더 연구실 사람들에게 상냥하게 군다거나, 더 어울리려 든다거나, 그런 타입이 전혀 아니었기 때문일까, 또 굳이 이유를 생각해보자면 나중에 알게 되었지만 영국과 프랑스 사람들은 참으로 성향이 다르더라는, 내가 길지 않은 기간이지만 겪어 보고 알게 된 것, 그것도 이유가 될지는 모르겠다.
어느 날, 크리스마스 파티 비슷한 자리에서 영국식 유머에 대한 얘기였는지 아무튼 무슨 얘기인가가 오가던 중 우리 연구실의 최고참인 테크니션 영국인 할머니 (인자한 할머니 보다는 터프한 할머니에 가깝다) 가 그나마 친절하게 Isabelle에게 "너희 프랑스 사람들과는 참 틀리지?" 라고 말했더니 Isabelle의 대답, "당신이 프랑스 사람을 알아?"
허걱~
아래 영화 소개를 보며 문득 그날 일이 한 장면처럼 떠올랐다.

홍상수 감독의 영화를 아직 한편도 보질 못했으면서 내 머리속에는 어떤 선입관이 언제부터 미리 들어와 앉아있다.
보고 싶은 영화로 찜.
위의 Isabelle은 애초 예정했던 세달 기간이 6개월로 연장되어 우리 연구실에 있는 동안 나랑 참 친하게 지냈다. 우리는 서로 동갑이기도 했고, 성격이 매우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내 주장을 강하게 내세우지 않는 (못하는) 나의 그 멋없는 성격과, 지극히 합리적이면서 변덕이 심하지 않으며, 영화와 박물관, 미술관 다니기를 좋아하는 그녀의 성향이 다행히 조화를 잘 이룬 덕이었다. 어디다 내 놓아도 꿋꿋하게 잘 살아나갈 것 같은, 씩씩한 그녀의 눈에 어느 날 갑자기 눈물이 맺히며, 예전에 한동안 사귀던 연인이 왜 갑자기 자기를 떠났는지 아직도 자기는 그 이유를 알지 못한다고 말하던 모습이 생각난다.
벌써 10년 전의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