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사 지나 갑사 가기 중간 쯤에 있는 남매탑까지 올랐다.
봉우리를 목표로 삼는 것보다,
이렇게 무슨무슨 탑이나 폭포 등을 목표 지점으로 삼으면
궁금증을 안고 갈수 있어 좋다.
매표소 입구에서 동학사 까지 가는 길은 평평한 시멘트 길. 이런 길은 재미없다던 아이가, 남매탑으로 갈라진 길로 들어서 계속 되는 바위길을 오르게 되자 좀 힘들어 한다.
'탑이 남매처럼 두 개 나란히 있어. 그래서 '남매탑' 이라고 하는데, 엄마 고등학교 다닐 때 국어 책에도 이 남매탑에 관한 얘기가 나왔던 기억이 나.'
아이에게 말해 주며, 처음 부터 끝까지 바위 계단으로 이어진 산길을 1시간 좀 넘게 오르니 저 위에 탑이 보인다. 하나는 5층, 또 하나는 7층 석탑. 둘 다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데, 그 중 7층 석탑은 맨 아래 탑신이 배흘림으로 되어 있다. 탑신에서 보는 배흘림이라니.
오르는 길에 꽃은 진달래 한 그루 겨우 피기 시작한 것을 제외하고는, 온통 바닥에 깔린 현호색 일색이었다. 그 작디 작은 꽃이 얼마나 '열심히' 피어있던지.
현호색 꽃 모양은 다 비슷해 보이지만 반면 잎의 모양은 다양하다. 오늘 본 것은 모두 보라색 꽃이었는데 노란 색, 흰 색 꽃이 피는 현호색도 있다. 흔치 않지만.
몸을 움직여 땀을 흘리고 나서 기분이 안 좋아진 적은 별로 없는 것 같다. 아직도 내복을 입고, 그 위에 옷을 몇개나 더 껴 입고 집에서 나서서는, 산을 내려올 쯤엔 아이도 나도 옷 하나씩을 벗어서 들거나 허리에 묶고 있었다.
다음엔 은선폭포 쪽으로 한번 올라봐야겠다. 그때는 또 무슨 꽃들이 기다리고 있으려나.

현호색 Corydalis turtshaninovii
과 명 : 양귀비과
분포지 : 중 . 북부 지방의 산지
개화기 : 3~5월
결실기 : 7월
용 도 : 약용
이 풀은 대개 습기가 있는 산 속에서 높이 20센티미터 정도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이른 봄 다른 꽃보다 앞서서 피고 일찍 시들어 버리는 현호색은 꽃의 모양이 너무도 아름다워서 양귀비라는 이름이 붙여지기도 했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세 갈래씩 두 번 갈라진다. 잎의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분백색을 띤다. 3~5월에 연한 붉은 자주색의 꽃이 피는데, 줄기 끝에 대여섯 송이가 총상으로 달린다. 꽃잎은 4장이고 꽃은 한쪽으로 넓게 퍼지며 거(距)의 끝이 약간 밑으로 굽는다. 이 풀은 작고 일찍 피어 사람의 관심을 그리 끌지 못하지만 중요한약재로 쓰여왔는데, 특히 부인혈(婦人血)을 원활하게 하는 데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한다.
(출처: 네이버 지식i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