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은 소리로 아들을 위대하게 키우는 법
마츠나가 노부후미 지음, 이수경 옮김 / 21세기북스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사실 이런 내용의 책이 한권쯤 있었으면 해왔다. 남녀가 서로 다른 별에서 왔다고 하는 유명한 책이 괜히 유명해졌겠는가. 그렇다면 자식을 키우는 부모의 입장에서 아들과 딸을 대하는 방법 또한 같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일본 최고의 교육 설계사라는데 '기적의 과외 선생'이라는 별명이 붙은 사람이라는데서 단순히 아들을 어떻게 키워서 좋은 대학 보내자는 내용 아닌가 염려스러웠는데 내용은 기대 이상으로 도움이 되는 것들이 많았다. 이런 책은 책에 대한 느낌을 장황히 적기 보다는 필요한 부분을 메모하는 편이 나중에 봐도 더 좋을 것 같아서 몇 부분을 요약해본다.
-'많이 놀아본 아이가 공부도 잘한다'
:저자가 오랫동안 남학생들을 지도하면서 깨달은 점은, 사내 아이들은 어렸을 때 충분히 놀았던 아이일수록 공부를 잘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논다는 것은 직접 몸을 움직여 활동하는 것을 말한다.
-유아교실에서는 아이들의 흥미를 끌어내기 위해 다양한 놀이 요소를 담아서 교육하지만 대부분 어른이 정한 규칙에 따르고, 미리 정한 각본이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한다. 이런 환경에서 '생각지도 못한 일'이라 '갑작스런 사건'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우연한 사건으로 인한 예상 밖의 재미를 맛보고 다양한 감정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 당한다.
-당장 하지 않아도 될 일까지 잔소리를 하지는 말되, 주의를 준 일은 단호하게 시켜야 한다. '부모가 한번 주의를 준 일은 당장 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용서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만들어 반드시 끝내게 한다.
- 아들에게는 '화'보다는 '차가움'이 통한다.
- 엄마가 "안돼!"를 자주 하면 아무것도 안 되는 아들이 된다.
- 아들의 질문에 전부 답해주지는 마라.
- 아무리 솔직하고 착한 아이도 자기도 모르게 나쁜 일을 저지를 때가 있다. 특히 사내아이는 여자 아이보다 호기심이 많기 때문에 사소한 잘못을 잘 저지르고, 여자아이처럼 '해선 안되겠다'는 것을 직감으로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충동을 억제하지 못한다. 만일 분명 나쁜 짓을 한 것 같은데 아이는 아니라고 잡아뗄때 부모는 어떻게 해야할까? 무조건 아이를 믿는 것이 최선은 아니다. 거짓말은 하면 절대로 안 된다고 지나치게 강요하는 것도 좋지 않다. 진위가 분명치 않은 일이 일어났을 때, 부모는 만드시 사실 관계를 확인해야 믿겠다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 그래야 아이도 분별없는 짓은 하면 안 되겠다고 긴장한다.
-외동아들을 둔 엄마는 외동딸을 둔 엄마 이상으로 아이에게 집착한다. 너무 잘해준다고 해야할까? 태생적으로 남자에 비해 여자가 꼼꼼하기 때문인지, 확실히 아들은 딸보다 야무지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외동아들을 키우는 엄마는 아이가 어릴 때부터 지나치게 간섭한다. 외동 아들을 키운다면 절대로 허락할 수 없는 일 이외에는 가능한 한 간섭하지 않는 것이 좋다. 마마보이에게 매력을 느낄 여자는 없다는 것을 누구보다 엄마 자신이 잘 알고 있을 테니까.
-'공감'은 교육의 기본.
- '아름다움을 찾을 줄 아는 아들로 키워라.'
: 세상을 아름답다고 느끼고, 또 스스로 아름다움을 찾아낼 줄 아는 아이는 좌절해도 다시 일어설 수 있다. 아니, 쉽게 절망하지도 않는다.
- '아들의 사소한 이야기에도 귀 기울여라.
: 시시한 일을 좋아하고 농담을 좋아하는 사내아이는 늘 부모가 어떤 반응을 보일지 기대한다. 아이는 부모가 자신의 이야기를 재미있게 들어주고 자기 농담에 웃어주었다는 사실에 기뻐한다. 아이가 말할 때가 바로 들어줘야 할 때이다. 도대체 부모말고 누가 그 이야기를 들어준단 말인가.
- 남자 아이에게 말을 할때는 이성적이어야 통한다.
이중에 어떤 부분은 아들에게만 적용되는 얘기가 아닐 수도 있고, 또 모든 아들에게 다 통하는 얘기가 아닐 수도 있다. 확실히 남자들은 여자들과 구별되는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저자가 이 책에서 가장 많이 하고 있는 말은, 본격적인 공부는 중학교에 들어간 후 14살 부터 해도 되니 그 전에는 실컷 놀고 많이 경험하도록 하라는 것이다. 물론 본격적인 공부를 위한 기초마저도 되어 있지 않으면 안되는데, 그 기초에 해당하는 것은
국어 능력과
계산력이라고 한다.
자라는 과정에서 소위 모범생, 착한 딸로 성장한 경력이 있는 엄마들이 특히 읽어보면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