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 손바닥이라는 말.
감탄하며 되새겨 보는 말.

더 알고 더 모른다고
자만하지 말고
비굴할 것도 없느니

그것이 결국
부처님 손바닥이거늘

------------------------------------

예전에 읽은 공 지영의 소설 중,
절망에 빠진 주인공이 그 절망을 위로받을 요량으로
자신보다 더 열악한 처지에 있다고 생각되는 사람들은 어떻게 사는지를 보고 싶어한다.
시장의 가판에서 생선 장사를 하는 아주머니,
저런 사람들은 어떻게 매일매일 구차한 삶을 극복하면서 살아갈까.
그런데 막상 그 아주머니는
자신의 삶이 어떠한지, 행복한지, 불행한지
그런 것 생각할 틈도 없이 살더라는 것.
절망에 빠졌을 때,
절망에서 헤쳐나올 수 있는
어떤 특별한 비결이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
그저 살아내는 것
포기하지 않고 주어진 시간을 열심히 살아내는 것
소설의 주인공이 알아낸 것은 그것이 전부였다.

----------------------------------------------

아이가 나에게 대들고 반항하는 모습에
어제는 뭐라고 표현할 수 없을 만큼 마음이 아팠고
'내가 착각속에 살고 있었어...'라는 말만 혼잣말처럼 되풀이 했다.
오늘 아침, 운동을 하면서,
그리고 일하러 오가는 왕복 30분 여 거리를 걸으면서 생각해보니
아이의 그 모습은 바로 내가 아이에게 보여준 내 모습에 다를 바 없다.
그동안 내가 그렇게 아이를 다그치고 화 내고 일방적으로 야단쳤을 것이다.
반성한다.
'애정'과 '훈육'의 균형. 이것이 가정 교육의 기본인데,
우리집은 아이 아빠가 워낙 훈육 없이 애정공세만 퍼붇다 보니,
따끔한 훈육 part 는 전부 엄마 담당이 되어버렸다.
이건 남편과 얘기를 해봐야 할 부분이다.
밤새 잠을 설치고 아침에도 나몰라라 하고는
아침도 안 차려주고 나와버렸다.
한시간 쯤 후에 들어가보니
남편이 밥 데우고, 국 데우고, 달걀 부쳐서 아침을 해 먹인 흔적이 있다.
남편에게 고맙기도 하고, 또 한편
난 이래서 또 나쁜 엄마 되었고, 남편은 착한 아빠 되었네...하는 점

아이를 키우면서 내 성격이,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내 '고집'이 수십번 꺾이고 바뀐다.

-- 아이가 제목을 대면서 찾아달래서 얼마전에 찾아준 노래이다. 나는 기독교인은 아니지만...--

 


댓글(7)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세실 2008-06-05 15: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 글 읽고 있노라면 우리집 풍경이랑 오버랩됩니다.
가만 생각해보면 제 맘에 여유가 없을때 아이에게 더 짜증내고 다그치게 됩니다.
맞아요. 엄마는 거울. 님 우리 따뜻한 엄마되도록 노력해요. 님 잘 하시면서.....

hnine 2008-06-05 21:39   좋아요 0 | URL
아, 저희 집에서만 있는 풍경은 아닌거죠?
따뜻한 엄마가 되려면 어찌 해야할까요. 구체적인 행동지침 좀 한수 가르쳐주세요.

세실 2008-06-07 08:06   좋아요 0 | URL
소리 지르지 않으려 노력하기, 잔소리 하고 싶은거 참기, 아이가 말할때 하던일 멈추고 눈 맞추면서 들어주기,이야기 나누기, 자주 꼭 안아주기, 뽀뽀해주기, 함께 놀기(요즘 카드 이용한 도둑잡기,베개싸움 즐겨하고 있습니다), 칭찬해주기, 엉덩이 두드려주기.....또 뭐가 있을까요?

하늘바람 2008-06-06 04: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남편분 멋지네요 비교왕

hnine 2008-06-06 06:03   좋아요 0 | URL
아닌 것 같은데 ... ㅋㅋ ^^

Arch 2008-06-06 16: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분이 무조건적인 애정을 쏟는게 좋다고 하던데(어디서 읽었더라) 그랬더라 통신이긴 하지만. 두분 다 훈육을 하면 아이가 맘을 붙일데가 없잖아요. 아이들과의 관계만큼 그때그때 다른게 또 있을까요.

hnine 2008-06-06 20:58   좋아요 0 | URL
아이들 교육에 관한 의견이 참 다양하긴 하지요. 그래서 부모의 소신이 중요하다고 하나봅니다. 시니에님, 조카들 돌보시면서 나름 깨달으신 것들이 많으실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