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 쌉싸름한 초콜릿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8
라우라 에스키벨 지음, 권미선 옮김 / 민음사 / 200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스페인어 배우기시작한지 몇달 되었다. 나랑 상관없는 언어란 생각에 그냥 지나치던 단어들이 하나 둘 눈에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수중에 가지고 있는 책 들중 스페인어 제목의 책들에도 관심이 더해지기 시작했다. 익숙한 제목이나 아직 못읽은 책 중 <달콤 쌉싸름한 초콜릿>을 꺼내들었다. 원제가 como agua para chocolate. 여기서 como는 ~처럼, agua는 물, para는 위한, chocolate 초콜릿. 직역하면 '초콜릿을 위한 물 처럼', 다시 말하면 '초콜릿을 녹이기 위한 물처럼 팔팔 끓는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정확한 의미를 위해 해설을 찾아보니 초콜릿이 부글부글 끓어오르는 것처럼 더 이상 참을 수 없는 심리 상태나 상황을 의미하는 말이라고 한다. 소설 속 두 남녀 주인공 티타와 페드로의 상황과 맞아 떨어진다. 

작가 라우라 에스키벨은 1950년 멕시코 태생. 애초 영화 시나리오를 염두에 두고 이 작품을 썼는데, 주위의 만류로 영화 아닌 소설로 발표 되었고 그녀에겐 첫 장편소설이 되었다. 소설이 대중의 인기를 얻는데 성공적이었고 소설로 나온지 3년 뒤 결국 영화로도 만들어지고 영화 역시 큰 성공을 거둔다. 

책의 구성은 일년 열두달 이름으로 장이 나뉘어져 있고 각 장은 그달의 요리 레시피로 시작한다. 1월의 요리는 양파와 초리소, 정어리 통조림, 고추가 들어가는 크리스마스 파이. "양파는 아주 곱게 다진다."라는 문장으로 시작한다. 티타가 요리를 하고 있는 장면이다. 요리를 하고 있는 티타는 딸 셋 집안의 막내딸로서 막내딸은 독신으로 남아 엄마가 살아있는 동안 엄마를 돌봐야한다는 전통을 따르느라 사랑하는 페드로와 사귀는 것 조차 엄마로부터 허락을 못받고 집안의 요리사 역할이나 잘 하도록 강요받는 꽃다운 시절을 보내고 있다. 티타의 상대 페드로는 티타와 결혼 못할 바에 가까이서 평생 티타를 보며 살고 싶다는 마음에 차선책으로 티타의 둘째 언니 로사우라와 결혼을 하게 되고 결혼한 상태에서 티타와의 몰래 사랑을 아슬아슬하게 이어나간다. 

자기의 꿈과 욕망을 오로지 부엌이라는 공간에만 제한받은 티타에게 부엌과 요리는 그녀에게 허락된 이 세상 전부이다. 

티타는 삶의 즐거움과 먹는 즐거움을 혼동했다. 부엌을 통해 알게 된 사람에게 바깥세상을 이해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14)

정성들여 요리를 하고 그 요리를 먹어주는 부엌 밖 가족들의 인정에 의해서만이 그 가치가 평가될 뿐이다. 그녀가 만든 음식이, 또한 그녀의 인생이.

티타의 고뇌와 고민, 진심, 사랑 등 그녀가 그 음식을 만드는 동안의 기분 상태는 그녀가 완성한 음식의 제2의 맛으로 반영되는 이상한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음식과 요리는 그녀가 자신의 감정과 기분을 표현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자 출구였던 것이다. 

이 작품에서 부엌은 문학으로, 성은 음식으로 연결된다. 여성에게 허용된 제한된 공간 부엌은 여성의 온갖 욕구가 표현되는 공간이며, 여성의 욕망과 사랑이 구체적인 음식으로 탄생한다. 이 음식은 만든 본인을 위해서라기 보다 나 아닌 타인에게 제공되는 것. 당시로서는 참신한 주제로 새로운 페미니즘 문학을 구축했다는 평가와 동시에 지나치게 여성적이라는 평도 있다는 것이 아이러니다. 

티타와 페드로의 사랑은 어떻게 결말이 나는지, 이 소설의 화자는 티타와 어떤 관계인지는 소설의 마지막에 밝혀진다.

페미니즘문학인지 까지는 모르겠고 읽는 재미는 충분했던 소설이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12-15 00:3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에이치 나이님 이 작품 혹쉬 영화로 보셨나요?

영화에서 원제목에 맞게 como agua para chocolate 상태로 두 남녀의 사랑이 쇼콜라 녹아 내리는 온도 처럼 끓어 오릅니다!

멕시코 문학의 최고봉은 아니지만

스페인어 중급으로 올라 가시면 이책 원서로 꼭(오더블)로 공부 하시면 정말 다양한 동사와 형용사를 배울 수 있습니다 ^^

hnine 2021-12-15 08:27   좋아요 1 | URL
영화는 안봤지만 scott님께서 말씀하신대로 어떤 분위기일지 짐작은 가요. 원제 제목처럼 초컬릿이 끓어오르는 열정의 사랑. 우리 말 제목에서는 그런 분위기까지 느껴지지는 않지요.
저 혼자 하는 스페인어 공부라서 과연 중급 까지 지속할 것인지 저도 의문이랍니다. 이 책 원어로 읽어볼 수준이 되려면 아직 멀었고 지금은 그림책 작가 Anthony Browne 의 <나의 엄마> (Mi mama)를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보는 수준이어요 ^^
youtube 찾아보면 정말 공부할 자료가 엄청나더군요. 어느 것 하나라도 잘 붙잡아야지 그렇지 않으면 오히려 자료의 늪에 빠지고 말 것 같은.
도움 말씀 감사드립니다~

stella.K 2021-12-15 15: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페미니즘이래요? 저도 그런 거 같지는 않은데...
하긴 여자의 관점에서 쓰고 잇으니까 그렇게도 볼 수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하네요.
재밌게 읽긴했지만 딱히 끌리는 작품은 아니었어요.

hnine 2021-12-16 08:07   좋아요 1 | URL
페미니즘 문학이라고 보는 견해도 가능하겠지만 제가 보기엔 그러기에 좀 약해보인다, 너무 소극적인 대응에 그쳤다, 이런 저의 또 하나의 의견일 뿐이지요. 리뷰 제목을 너무 삐딱하게 붙였나요? ^^
저는 요리에도 관심이 있어서 레시피를 눈여겨 봤는데 재료부터 상상의 범위를 넘어서더군요. 크리스마스 파이에 정어리 통조림이 들어가는 것이라든지. 한편으론 소꼬리는 우리 나라 사람들만 먹는줄 알았는데 멕시코에서도 소꼬리 수프라고 해서 먹더라고요. 아무튼 재미있는 책이긴 했어요.

페크pek0501 2021-12-24 13: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작가 이름보다 제목이 더 알려진 작품 같습니다.(저에게만 그런가요?)ㅋㅋ

나인 님, 즐겁게 성탄절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

hnine 2021-12-25 05:17   좋아요 1 | URL
그렇죠? 영화로 만들어져서 더욱더 그렇기도 하고 제목 부터가 들으면 기억에 남을 제목이라할만해서 저도 읽은 것으로 착각하기도 했답니다. 제가 좋아하는 영화중에 ˝초콜렛˝이라는 영화가 있기도 하고요 (줄리엣 비노쉬 나오는).
남미 문학은 제가 아직 많이 못읽어봐서 그런지 낯설면서 새롭고 흥미롭고, 더 읽어보고 싶게 만드는 매력이 있는 것 같아요.
오늘 성탄절인데 성탄절 느낌이 잘 안나긴 하지만 그래도 이렇게 인사 나누다 보면 느낌이 살아나겠지요?
페크님, 메리 크리스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