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

1, 2 공주 마곡사
거리로 보면 동학사나 갑사가 집에서 더 가깝지만 대전으로 이사온 후 제일 자주 들른 곳은 아마 공주 마곡사일 것입니다.
종교와 무관한 방문인데, 여기만 오면 말이 많아지는 남편 덕이기도 합니다. 했던 말 하고 또하고.
눈이 제법 많이 오고 추운 날이어서 산사 주변 물이 꽝꽝 얼었더라고요.
3

4

5

3, 4, 5 안면도 꽃지 해수욕장
집에서 차로 두시간 넘게 걸리는 곳 안면도 바다.
지난 주말이었네요. 친정아버지 고향이라서 어릴 때 부모님과 함께 몇번 왔던 기억이 있고, 결혼하고서도 몇번 왔던 곳입니다.
집에만 있는게 너무 답답해서 별 목적없이 그냥 바다 구경하러 갔었어요. 점심도 준비해간 샌드위치로 차 안에서 먹고 30분 정도 바다만 보고 돌아왔는데, 그래도 좋았습니다.
갈매기, 따개비, 불가사리.
갯벌에선 할머니가 굴을 따고 계셨어요.
아버지 생전에 모시고 왔던 때가 생각나서 잠시 그리움에 젖기도 했네요.
6

6 대전문화예술의전당, 대전시립미술관, 이응노미술관
어제 목적지는 아래 사진에 있는 엑스포과학공원 한빛탑이었는데 가던 길에 여길 지나가게 되었습니다.
작년까지만해도 저의 즐겨찾기 장소였는데 코로나 이후로 발길이 뚝 끊겼지요. 이 세 곳이 조명을 받으며 나란히 한눈에 들어오기에 반가와서 사진을 찍게 되었습니다.
맨왼쪽 건물이 대전문화예술의전당이고, 가운데 지붕 하얗게 나온 곳이 대전시립미술관, 그리고 맨오른쪽 빗살모양 낮은 지붕 건물이 이응노 미술관입니다.
전시와 공연 외에도 각종 문화행사와 교육, 강좌 프로그램이 열리는 곳이라서 자주 가던 곳이었는데, 그렇게 알라딘서재의 로쟈님 강의도 신청해서 들었던 곳인데, 코로나 이후로는 발길이 뚝 끊겼어요. 곧 다시 저의 즐겨찾기 장소가 되기를, 그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여기를 지나 더 걸어가면 엑스포다리, 엑스포과학공원, 엑스포광장이 나옵니다.
7

8

9

10

11

12

13

7-13 엑스포다리, 엑스포과학공원 한빛탑
1993년에 '대전EXPO' 라는 행사가 있었지요. 엑스포과학공원은 그때 지어진 시설이고
한빛탑도 그중 하나입니다.
제가 대전에 이사오던 해 2006년만
해도 엑스포과학공원을 찾는 사람도 많았고 저도 아이 데리고 자주 가던 곳이었는데 갈수록 찾는 사람이 줄고 시설은 낡아가는데 개선되는 것 같지는
않고 점차 무용지물이 되어가나 싶어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었어요. 그런데 모처럼 엑스포광장 한빛탑에서 '미디어 파사드 (Media-facade)'라는 행사를 한다고 해서 반가운 마음에, 그리고 대체 어떤 내용일까
기대하며 찾아가보았습니다. 영상쇼이기 때문에 저녁 6시 30분에 시작해요.
한빛탑까지 가는 길, 조명받고
있는 엑스포다리를 걸어서 건너는 게 얼마만인지. 다른 곳도 대개 그렇지만 이 다리도 낮에 보는 것보다
밤에 조명받고 있는 것이 몇배 더 멋있었습니다.
미디어 파사드란, 건물등의
외벽에 빛과 영상을 이용한 콘텐츠를 보여주는 것을 말하는데, 93 m 높이의 한빛탑 외벽이 하나의 캔버스가
되어 첨단 디지털 영상을 보여주는 쇼입니다.
한빛탑 주위를 둘러보니 12번
사진 같은 작은 부스가 두개 설치되어 있고 그 안에서 한빛탑을 향해 레이저를 쏘아주고 있었습니다.
3차원 그래픽 영상에
음향까지, 정말 멋있었어요.
영상 내용은 대전을 대표하는 동식물, 대전의 사계와 명소, 아트 인 사이언스 등 주로 대전을 상징하는
것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에 낯익은 수묵화 그림이 현란하게 펼쳐지기에 보니까 이응노화백의 유명한 '군무'하는 그림이었어요. 그냥 평면으로 봐도 생동감이 느껴지는 그림인데 3차원 영상으로 보니까 감동이 새로왔습니다.
오래동안 존재감 없이 서있던 한빛탑이 조명을 받는 기회가 되었다는
것도 반가왔고, 새로 만들고 짓는 것도 좋지만 있는 시설물 잘 이용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난주만해도 눈 때문에 동네 뒷산인데도 올라갈때 아이젠을 신발에
하고 올라가야 했는데, 어제는 날이 풀려서인지 발에 밟히는 흙도 보송보송, 걷는데 땀도 났어요. 이번주에 또 한번 한파가 온다는게 믿기지 않을
정도였답니다.
시간은 갈 것이고 매일 가는 그곳에 할미꽃도 필 것이고, 나무에는 새싹이 파릇하게 올라오겠지요.
아직은 1월.
무사히 무사히 겨울을 잘 났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