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Review /『허삼관 매혈기 (許三觀賣血記)』by 余華

-너무나 중국적인 이야기라고?




이 책은 제목 그대로 허삼관이라는 사내가 피를 파는 이야기다. 허허, 피를 팔어? 주인공이 조금 가난한 것 같긴 해도 배경이 현대 같은데……. 워낙 인구도 많고 엽기적인 일도 자주 벌이는 나라니 뭐 그런가보다 하면서 읽었는데 1948년부터 시작되는 이야기다. 그런데 읽다 보니 이 매혈이라는 행위 자체가 소설적 허구일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까지 많은 소설을 읽어왔는데 너무 순진하게 믿은 것 같기도 하다. 뭐, 좋게 말하면 순수한 거구.


허삼관은 생사(生絲)공장에서 누에고치 대는 일을 하는 노동자다. 나이는 20대 중반, 그저그런 촌사람이다. 이런 허삼관은 어느날 우연히 삼촌에게 이런 말을 듣는다. 건장한 사내라면 누구나 반년에 한번씩은 피를 팔고 반년 동안 땅을 파도 벌 수 없는 돈 35원을 잠깐 동안 벌 수 있다고. 그래서 건장한 청년 허삼관은 매혈을 시작한다. ‘피땀 흘려서 번 돈’으로 결혼도 하고 인생의 위기마다 매혈로 모면한다. 이것으로 줄거리는 끝- 그런데 이상하다. 내가 하는 줄거리 요약은 늘 너무 간단하다;;


줄거리를 보면 살벌한 이야기일 것 같지만『허삼관 매혈기』엔 삶에 대한 진한 페이소스가 녹아 있다. 그러나 페이소스를 드러내는 방식이 무겁고 축축하지 않다. 적당히 희극적이고 우스꽝스럽지만 우습진 않다. 그래서 손에 착착 감긴다. 요즘 들어 책 읽는 속도가 현저히 떨어졌던 나마저도 단번에 읽었을 정도로.


특히 4에서 허옥란이 출산을 반복하는 장면은 코미디를 방불케 할 정도로 우스꽝스럽다. 일락이, 이락이를 출산하면서 출산시간이 점점 짧아지다 삼락이를 출산하곤 아기가 나온줄도 모르고 소리를 지르다 의사한테 면박을 당하는 장면은 독자를 실실거리게 만든다. 그러곤 허삼관에게 아이들 이름을 들어 시비를 거는 장면 또한 킬킬거리지 않을 수 없다. 위화는 코미디를 썼어야 해,라고 생각했을 정도니까.


이 책의 리뷰를 읽은 적이 있다. 너무도 중국적인 이야기라 보통의 사람은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요지의 리뷰였다. 그래서 작품을 보관함에 넣어만 두고 있었는데 공짜 캐시가 생겨서 주문했다. 책이 별로여도 아까울 것이 없을 테니까. 하지만 작품을 읽고 완전히 반했다. 책을 너무 늦게 주문한 것 같아 내 자신을 책망할 정도로. 물론 ‘너무도 중국적’인 이야기인 것은 사실이다. 허삼관의 성격 또한 많은 홍콩중국 영화에서 보았듯이 극단적인 면도 있지만 한편으론 느긋한 평범한 사람이다. 토종 중국인의 매혈여로, 어찌보면 받아들이기 쉽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 리뷰어는 작품의 이야기만 읽은 듯 하다. 이야기가 나타내고자 하는 숨은 그림을 보았더라면 저렇게 평하지 않았을 텐데. ‘너무도 중국적’인 사내의 엽기적인 삶을 통해 보여주고 있는 그림은 역설적이게도 평범한 삶의 행복이다.


허삼관이 매혈을 시작한 이유는 남들처럼 결혼도 하고 집도 가지고 싶어서였다. 후에 다시 매혈을 시작한 것은 친자도 아닌 일락이가 일으킨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이락이가 아파서 다시 매혈여행을 시작했고 마지막에 매혈을 시도한 것은 맛있는 음식, 혹은 추억을 먹기 위해서였다. 이렇게 매혈로 이루고자 했던 것들은 예기치 않은 사건사고로 평안한 허삼관의 삶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저 남들처럼 평범하게 가정을 꾸리며 아이들을 양육하고 싶어서 목숨을 담보로 피를 팔았던 허삼관.


이런 허삼관의 모습에선 너무나도 당연히 우리네 아버지들의 모습이 겹쳐진다. 우리네 아버지들의 삶도 허삼관과 다르지 않을 것이다. 가족을 위해 간이고 쓸개고 모두 내어놓고 살아가실테지. 가족이라는 울타리가 전처럼 두텁지도 않아 언제고 허물어질지도 모르는데 아버지들은 그 울타리를 지키기 위해 허삼관처럼 살아갈 것이다. 물론 허삼관과 같은 형태는 아니겠지만 그와 유사하게 자신들의 피땀을 팔아가며 말이다.


진지하고 피상적인 이야기를 독특한 소재로 유머러스하게 그려낸 위화의 재능이 새삼 대단하게 느껴진다. 책을 덮으면 요란한 축제에서 빠져나온 기분이다. 삶이라는 질펀하고 요란한 축제. 그 축제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허삼관의 대사는 이렇다. “그걸 가리켜서 좆털이 눈썹보다 나기는 늦게 나지만 자라기는 길게 자란다고 하는 거라구” 과연 킬킬거리며 축제에서 빠져나오기에 적당한 대사지 않은가! 낄낄낄.

댓글(7)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06-09-05 14: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몇해전이던가, 읽었던 기억이 새롭네요. 리뷰, 당선 축하드립니다..^^
불쑥 들어와 인사드려요. 위화의 글을 좋아해요.

비연 2006-09-05 16: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 당선 축하드려요^^

푸훗 2006-09-05 18: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 메일 열었다가 적립금 5만원에 완전 흥분모드- 아, 위화를 사랑하지 않을 수가 없다니까요. 푸훗.

기인 2006-09-07 11: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처음뵙겠습니다. :) 저도 이 책 재미있게 봤어서 들렸습니다. 축하드려요~

동대장 2006-09-07 13: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정말 재미있죠......추카드려염...

칸츄리 2006-09-10 11: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상당히 재밌게 읽었던 기억이 납니다. 축하드립니다.

푸훗 2006-09-10 16: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 재밌고 좋은 책은 역시나 많은 사람들이 알아보는 모양입니다.
 
달려라, 아비
김애란 지음 / 창비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Review /『달려라, 아비』,김애란

-뭔가 독특한데 남는게 없어,


알라딘에서 베스트셀러다. 이름도 낯선 80년 생의 어린(...) 작가의 작품집. 독자평도 대체로 호의적이라 궁금하기 시작했다. 도대체 어떻길래 김영하의 추천이, 황순원 문학상의 일화가 책소개에서 독자를 유혹하고 있는 거지? 너의 정체는 무엇이냐, 김애란.

『달려라, 아비』제목을 처음 봤을 땐 등장인물의 이름이거나 영화 <아비정전>에서 모티브를 얻었거나 애완견의 이름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정작 아비는 아비(父)였다. 털이 슝슝 난 빈약한 다리를 마젠타색 반바지 아래에 드러내고 달리는 아비. 뭔가 독특한 분위기를 풍기고 있다, 이 작가.

이 작품집에서 중요한 소재는 부재(不在)이다. 아버지(「달려라, 아비」,「사랑의 인사」,「누가 함부로 해변에서 불꽃놀이를 하는가」), 형(「스카이 콩콩」)과 같은 가족이거나 당신(「영원한 화자」)의 부재일 때도 있고 잠(「그녀가 잠 못드는 이유가 있다」), 인간관계(「나는 편의점에 간다」,「노크하지 않는 집」),돈과 희망(「종이 물고기」) '따위' 온갖 것들의 부재일 때도 있다. 그런데 이렇게 작품마다 부재에 대해 다루고 있으면서도 전혀 무겁지 않다. 오히려 아닌 척 능청스럽게 이야기하고 있어 산뜻할 정도.

처음 몇 작품은 작가의 재능에 감탄하고 시기하기를 반복하면서 읽었다. 내 또래의 여성이 문단에 혜성처럼 나타나 족적을 남기고 있는 것이 대단해 보이고 김영하의 추천과 문학상의 일화는 전설(?)처럼 느껴질 정도였다. 하지만 계속 읽어나갈 수록 반복되는 소재에 지루해졌다. 신선하고 산뜻한 문장들이 지루함에 휩쓸려 작품 위를 둥둥 떠다녔다. 결정적으로 머릿 속이라는 세트에서만 쓰여진 글이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어 7.938% 정도의 부족함이 보였다.

그러나「나는 편의점에 간다」와「종이 물고기」는 좋았다. 일상의 반복과 현대인의 생활습관을 가미해 일종의 반전을 보여준「나는 편의점에 간다」는 특히 마음에 들었다. 현대인이 맺는 인간관계에 대한 허상을 전혀 의외의 곳에서 발견하는 묘미가 있다. 머릿 속 세트의 기운도 가장 덜 한 편이고. 비슷하게 인간관계에 대한 부재를 이야기한「노크하지 않는 집」은 예상 가능한 공포영화를 본 것 같아 맥 빠졌는데 말이다.「종이 물고기」는 한때 테레비에서 유행한 쇼프로에서 빌린 듯한 소재(포스트잇)라 처음엔 떨떠름 했지만(머릿 속 세트의 포스가 가장 강한) 돈이나 희망같은 통속적인 것들을 이야기하는 방식이 신선했다.

아직 내겐 장점보다는 단점이 65% 정도의 우세인 작가라 누구에게나 추천할 수는 없다. 하지만 어린 작가이고 65%의 단점이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남아있기 때문에 한번쯤 읽어보지 그래, 라고 부추길 수 있는 작가이긴 하다. 깔깔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데메테르 Green Tomato(그린 토마토) - 30ml
데메테르
평점 :
단종


낯설다.

늘 붉게 잘 영근 토마토만 보아와서 일까. 알라딘 데메테르 이벤트에서 그린 토마토향이 당첨되었을 때 조금은 쌜쭉했다. 토마토향이면 더 좋을텐데, 하고. 하지만 현재, 그린 토마토향을 수령하고 뿌려본 느낌은 오호~ 이거 괜찮은데!

그린 토마토, 하면 영화 <후라이드 그린 토마토>가 제일 먼저 생각난다. 잔잔하고 긴 여운을 남기던 영화. 죽은 남편의 누이와 튀긴 토마토를 팔면서 일어나는 소소한 일상, 삶에 대한 소중함, 사랑과 우정을 보여준다. 풋풋하고 싱그러운 그린 토마토 같던 그녀들이 완숙하게 영근 붉은 토마토가 되는 긴 여정을 다루면서 말이다.

데메테르 그린 토마토향은 계절적으로 여름에 잘 어울린다. 상큼하고 약간은 톡 쏘는 것 같은 향이 파코라반 오리지널과 비슷하기도 하다. 향이 조금은 자극적이라 나이든 세대보단 젊은 세대에게 그 중에서도 대학 신입생과 사회 초년생에게 잘 어울릴 것 같다. 자극적이라곤 했지만 기분 나쁠 정도로 독한 향이 아니라 곁을 스치면 프레시한 향이 확 느껴져 한번쯤 돌아볼 것 같은, 그런 자극이다.

어쨌든 올 여름 향수는 데메테르 그린 토마토다. 이벤트 샘플이라 양이 넉넉찮아 아껴서야 하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나한 홍보진 아이크림 - 30ml
소망화장품
평점 :
단종


어머니께 드릴려고 구입했다.

케이스도 황금색으로 아주 고급스럽고

화장품 용기도 이미지보다 더 고급스럽다.

샘플도 아주 깨끗하고 안전하게 포장되어 있고

추가로 화장솜도 25매 1상자가 와서 기분이 좋다.

그리고 어제 오전에 주문했는데 방금 왔다.

오~ 이것이 고객만족!!

어버이날 선물로 구입한 것인데 20% 할인까지 받아

저렴하게 구입해 이제 화장품 사는 쇼핑몰도 알라딘으로 옮겨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 - 대부에서 왕의 남자까지 영화 속 명장면 명대사
이보아.장상용 지음 / 열대림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Review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대부에서 왕의 남자까지 영화 속 명장면 명대사)』,이보아 외

-영화를 읽으려고 책을 사니?



사람이 변하고 사랑이 변하는 것은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알게 되는 쓰디쓴 진리가 되어 버렸다. 어찌보면 너무도 당연한 순서인데 어린 시절엔 알고 싶지도 않고 인정하고 싶지도 않았던 진리, 변하는 사랑.

영화 속에서 사랑은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달콤한 사랑, 쌉싸롬한 사랑 혹은 미련한 사랑 등 사랑은 같은 모습일 수가 없다. 붕어빵을 언뜻 보면 모두 같아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 보면 소의 양, 소가 들어간 모양, 빵이 익은 정도, 빵의 색깔 등 어느 것 하나 '똑같은' 것이 없다. 사랑도 그렇다. 비록 그 형태는 같을 지라도 그 속에 녹아 있는 이야기는 모두 다른 법이다.

이런 사랑을 영화 속 명장면, 명대사로 요약해서 본다? 상당한 장점이다. 그리고 영화 <봄날은 간다>에서 유지태가 철없이 내뱉던 대사를 제목으로 차용한 것도 흥미를 유발시킨다. 그럼에도 내가 이렇게 평점을 형편없이 준 까닭은 이렇다.

영화를 '너무' 많이 보여준다는 것이다. 주말이면 공중파에서 내보내는 비디오 정보 프로그램과 다를 것이 없다. 아, 하나 있다. 이 책에선 결말까지 모두 공개한다. 물론 명장면, 명대사가 왜 뛰어난 것인지 이야기 하려면 영화의 흐름과 주인공의 심리, 결말까지 제공해야 한다는 것에는 동의한다. 하지만 본디 영화라는 것은 읽으려고 만든 것이 아니다. 그야말로 '보여주려고 만든 것'인데 이렇게 모두 까발려진다면 이 영화들을 누가 보고 싶을까? 뭐 대상독자가 이것들을 모두 본 사람이면 괜찮겠지. 그런데 그게 가능하냐고~!

책을 팔아보겠다고 최신영화(몇 주 전까지 극장에서 상영된)까지 포함한 것도 감점요인이다. 기획단계에서 출판사와 작가는 수지타산을 맞춰야 했을 것이고 당연히 화제작의 상품성을 고려했을 것이다. <왕의 남자>라는 제목이 포함되는 동시에 사람들의 시선이 머무는 것을 계산했겠지. 뭐 이 책이 순수예술서적도 아니고 이윤을 내기 위한 상업서적이라는 것을 인정하긴 하지만 맘에 안드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이 책에 많은 장점이 있다는 것을 모르는 건 아니다. 짧은 시간에 같으면서도 조금씩 다른 사랑을 구경할 수 있다는 점. 젠체하지 않아 쉽고 편하게 읽으며 시간을 때울 수 있다는 점. 만약 연애를 하고 있다면 책과 영화를 이용해 로맨티스트가 될 수 있다는 점. 영화를 보며 놓쳤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다는 등 장점도 많다. 하지만 이 많은 장점을 무색하게 만드는 커다란 단점이 이책을 형편없게 만든다.

책시사회로 읽은 것이니 이정도로 평가한거지 만약 구입했었더라면 읽고 일주일은 후회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