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예술제 풍경-
나는 부산 비엔날레 바다 예술제가 열릴 때마다 부산에 살고 있는 것이 큰 축복처럼 느껴 진다. 2002년 부산 비엔날레 바다예술제가 열렸을 때도 일요일 하루를 시립미술관에 전시된 미술품과 바다예술제전시품을 보며 행복한 하루를 보내었다. 그래서 올해도 집에서 먹거리를 챙겨 들고 행복한 맘으로 나들이를 나섰다
한국 콘도 앞 쪽에 전시된 양혜경씨의 ‘고독’ 이라는 작품을 보며 관람을 시작했다. 멀찍이 떨어져 서 보니 이 작품이 파란 하늘을 찌를 듯 날렵하다. 작품 주변을 빙 돌며 바다와 하늘과 작품이 한데 어우러지게 사진도 찍고, 작품 옆에 서서 고독에 몸부림치는 포즈를 취하며 사진을 찍고 이리 저리 작품을 둘러보았다. ‘귀향’이라는 작품 가운데를 지나 장준석씨가 출품한 ‘하늘보기’ 앞에는 제법 긴 줄이 서 있다. ‘저 속에 무엇이 보이길래’ 궁금증이 인다. 줄지어 선 사람들이 궁금해서 복 나오는 사람들에게 묻는다
“뭐가 있어요?”
“아무 것도 없어요.”
그런데도 나도, 다른 사람들은 아무것도 없는 그 무엇이 궁금해 계속 줄을 서 있다.
드디어 내 차례 작은 구멍 속 렌즈를 통해 본 하늘은 글쎄?
‘바람의 속삭임’ 앞, 그런데 바람이 뭐라 속삭이지? 노란 노끈으로 만든 징 같이 생긴 것이 아래에 매달려 있는 위로 빨간 바람이 끊임없이 뭔가를 속삭이는데.
그런데 3분의 1정도 봤을 까? 작품이 많이 훼손 되었다. 아이들이 물장난을 하다가 젖은 옷을 벗어 작품에 걸어 말리는 사람들, 신발이랑 옷가지들, 가방 같은 걸을 올려 놓은 사람들, 작품에 주렁주렁 매달려 그네를 뛰는 아이들 자원 봉사자 한 명이 이리저리 오가며 말리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파도를 잡고 풍경을 잡고 사람들의 마음을 잡기 위해 만들었다는 ‘덫’은 재료로 쓰인 타이어가 늘어져서 바람이 빠지고, 찢기고 형태를 알아볼 수가 없다. 그 위에 여전히 어른 아이할 것 없이 올라가 굴리고 뭉개고. ‘그것이 가야할 길’ 위에는 초등 고학년이나 중학생 쯤되어 보이는 아이들이 아예 올라가 미끄럼을 타고 놀고 있고 무게를 견디지 못한 작품이 무너질 것 같이 위태롭다.
‘도약’ 이라는 작품은 아이들이 쉼없이 오르락 내리락 그 아이들 부모는 긴 다리에 매달리는 모습을 사진에 담느라 여념이 없다. 양 발등과 다리가 칠이 다 벗겨지고 군데군데 살점이 떨어져 나갔다. ‘도약’이 아니라 힘이 빠진 다리가 주저앉게 생겼다. 안타깝다
즐거운 나들이가 점점 안타까움과 짜증으로 바뀐다
학교에서 단체 관람을 오거나 집에서 개인적으로 아이들을 데리고 미술품을 관람하러 올 때 반드시 미술품을 관람할 때 지켜야 할 예절을 아이들에게 주지시켜 데리고 왔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