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크로나이즈드 바다 아네모네 난다시편 1
김혜순 지음 / 난다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총 균 쇠 - 인간 사회의 운명을 바꾼 힘
제레드 다이아몬드 지음, 강주헌 옮김 / 김영사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 역사를 탐구하는 학자 재러드(재레드다이아몬드는 생리학자로 출발하여 인간이 걸어온 길과 인간이 만든 문명의 운명을 탐구하는 데 삶을 바쳤다다이아몬드의 저작들은 과학자의 분석과 이야기꾼의 서사가 결합된 독특한 작품이다그의 책에서는 수천년의 시간을 가로질러 인류가 남긴 발자취가 펼쳐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지적 세계 - 언어, 철학, 의미의 탐구 역사도서관 31
크리스토퍼 셀렌차 지음, 곽차섭 옮김 / 길(도서출판)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르네상스(Renaissance)’는 프랑스어로 부활, 재생, 거듭남을 뜻한다. 이는 14세기 중엽부터 16세기 중엽에 이르는 2세기 동안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시작하여 유럽으로 퍼저나간 문화 혁신의 큰물줄기였다. 중세 말 피렌체가 르네상스를 잉태한 여건은 유럽의 금융·무역 중심지로 쌓은 경제적 부(물적 토대)와 절대군주가 없는 도시 공화국 전통(정치적 환경덕분이었다그때까지 유럽을 지배해온 기독교 신앙과 신학 중심의 세계관을 넘어 고대 그리스·로마의 언어·예술·철학·인간관을 재발견하고 꽃피운 사상과 문예, 또는 그 시대를 일컫는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지성사를 견인한 지적 흐름은 휴머니즘이었다. 당대 휴머니스트들의 핵심 관심사 중 하나가 언어 문제, 정확히는 라틴어의 성격과 위상이었다. 말과 글을 통해 고대 그리스·로마에서 인간의 정신을 되찾고자 했던 르네상스 지식인들로선 오염된 라틴어가 아닌 제대로 된 라틴어를 복권하는게 매우 중요했다이 책은 당대 지식인들의 철학과 사상을 휴머니즘에 초점을 맞춰 조망하고 그 지성사적 의미를 분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약 전쟁 - 우리는 왜 이 전쟁에서 실패를 거듭하는가
요한 하리 지음, 이선주 옮김 / 어크로스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집중하지 못하고 산만해지는 것이 흔히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기기에 대해 자제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개인의 실패라고 한다. 저자는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집중력 문제가 현대 사회의 비만율의 증가와 유사하다고 설명한다. 정크푸 드를 중심으로 한 식품 공급 체계와 생활 방식의 변화가 비만을 증 가를 만든 것처럼. 집중력 위기의 광범위한 증가도 현대 사회 시스 템이 만들어낸 유행병과 같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저자는 인간 의 주의력을 빼앗는 꼼수를 발견한 실리콘밸리의 반체제 인사. 강 아지에게 ADHD를 진단한 수의사. 심각한 집중력 위기에 빠진 리 우의 빈민가. 놀라운 방식으로 노동자들의 집중력을 회복한 뉴질랜 드의 한 회사까지 종횡무진한다. 이러한 광범위한 집중력의 위기에 수면의 부족, 독서의 붕괴. 테크 기업들의 주의력 조종과 약 탈 등 12가지 원인이 작용한다는 것을 발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쁜 삶의 기술 - 즐거움을 잃어버린 시대의 행복 되찾기
로베르트 팔러 지음, 나유신 옮김 / 사월의책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은 더 건강하게, 더 오래, 더 안전하게 살아야 한다는 강박 속에 갇혀 있다. 저속 노화를 실현해야 한다는 집착으로, 혹은 매일 갓생살고, 짠테크와 투자로 악착같이 돈을 모아야 한다는 강박으로 우리는 스스로의 삶을 옭아맨다. 우리는 돈, 건강, 자기 관리만을 쫓느라 삶에 대한 진정한 감각은 잃는다.

 

금욕과 자기검열은 미덕이 되고, 웃음과 낭비는 무가치하거나 비난받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이렇게 삶을 지키려는 태도가 오히려 삶의 가치를 지워버린다. 단순히 안전하게 오래 사는 것만으로는 그 어떤 의미도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저자는 금욕과 성과의 집착을 벗고 우아함과 관대함, 허비와 향유를 기꺼이 받아들일 수 있는 태도에 있다고 한다. 건강 관리도 좋고, 재산 축적도 중요하지만, 과연 그러한 일들이 우리 삶을 오히려 잃게 만들고 있는 건 아닌지 생각해 보는 여유가 필요하다. 


의외로 잠시 오늘의 계획을 멈추고, 내 오랜 친구를 만나러 가고 싶어질 수도 있다. 가치 있는 삶을 위해 기꺼이 이 오늘을 허비하고 싶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