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광합성 인간 - 낮과 밤이 바뀐 시대에 우리가 잃어버린 생체리듬과 빛의 과학
린 피플스 지음, 김초원 옮김 / 흐름출판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몸은 정교한 기계처럼 빛의 주기에 따라 변화한다. 이 책은 현대인들이 가로등과 불빛과 스마트폰 화면, 교대근무 같은 것들로 자신의 생체시계를 망가뜨리고 있음을 말한다. 일조량과 건강의 관계를 깊이 연구한다. 낮의 부족한 빛과 밤의 과도한 빛은 우리의 일주기 리듬을 혼란스럽게 한다. 


실내에 오래 머물수록 밤낮의 경계는 모호해져 우리 몸은 밤낮을 구별하기가 어려워진다. 유별난 시간에 먹고 운동하는 습관까지도 우리의 생체시계를 태초의 모습에서 멀어지게 하고 또 어지럽게한다.


오전에 20~30분 동안 집중적으로 햇볕 쬐기, 규칙적인 식사시간 지키기, 인공조명에 노출되는 시간과 강도 조절하기, 영양제 활용, 카페인 줄이기 등 작은 노력으로 생체리듬을 되살리는데 도움이 된다고 강추한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25-09-10 07: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좀 다른 내용이긴 한데 예전에 미래의 식량난으로 인간들이 먹을 것이 부족해지자 식물들처럼 광합성만으로 살아갈수 있게 DNA를 조작하는 실험을 하는 과학 소설을 읽은 기억이 납니다.

목동 2025-09-10 13:10   좋아요 0 | URL
식의약처 승인된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유전자변형생물체) 농산물로는 콩, 옥수수, 면화 등이 있죠. 그 외 유전자변형 미생물, 유전자 변형동물이라는 용어도 있습니다.

목동 2025-09-10 13: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을이네요. 남성들이 민감해지는 이유는 일조량 감소로 인한 호르몬 변화와 심리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일조량이 줄면 행복 호르몬인 세로토닌 분비가 감소, 멜라토닌 분비 패턴이 변화,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농도도 낮아져 무기력감, 우울감, 감정 변화 등을 느끼기 쉽다고 합니다.
 
먹는다는 것, 살아간다는 것 -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는 먹는 것의 철학
후지하라 다쓰시 지음, 노수경 옮김 / 유유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