쪼그리고 앉아 담배를 피우는 택시 운전사, 텃밭의 잡초를 제거하는 소설가 고 박경리 님,  밀짚모자와 면장갑을 끼고 잔디밭의 잡풀을 제거하는 고 박완서 님도 있다. 쪼그리고 앉아 밭을 매는 시골 어머니의 두건을 둘러 쓴 모습이 떠오른다. 도시로 이사 온 어머니의 첫 일거리는 남의 집 밭때기 김매기었다. 


  마음을 내려 놓고 한 참을 멍허니 담배를 피우거나 농사 일에 몰입한다. 시골에는 삼밭이 있다. 눈을 부비며 부시시 기상한 군인은 아침 구보를 하지만 촌 아이는 채소밭에 물을 주거나 아침 찬거리로 상추를 뜯어 오라는 어머니의 부름을 받는다. 헛간 구석에 있는 토끼장에 풀을 넣어 주기도 한다.

  자전거를 타고 들길과 강둑을 지나, 좁은 산비탈 길을 지나면 상추와 콩 그리고 마늘과 파를 심은 쪽밭을 보곤 한다. 울타리 없는 쪽밭을 향한 흑심은 죄스럽다. 언젠가 나의 쪽밭을 갖고 말겠다는 야심을 품어 본다. 

  단독 주택의 작은 화단에 넝쿨장미 한 구루와 접시꽃 서 너 접이 피여난다. 가끔 연탄재도 뿌려 준다. 거창한 정원은 아니지만 텃밭겸 작은 정원 노릇을 한 어린 시절의 골목집을 기억한다. 화단앞에 쪼그리고 앉아 솟아나는 채소 싹를 보았었다. 요즘은 도시농업이 유행이다. 건물의 옥상이 좋은 텃밭 공간이다. 텃밭 정원을 가꾸는 즐거움은 크다.

  몇 평 안되는 땅을 자신의 의지와 노동으로 천국을 만들어 가는 사람은 어린 왕자와 같다. 우리의 마음속에는 작은 쪽밭 정원이 살아 있다. 습관의 참맛을 기대해본다.  '15.5.21.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5-05-21 08: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5-22 00:2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