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의 뇌과학 - 반려견은 어떻게 사랑을 느끼는가
그레고리 번스 지음, 이주현 옮김 / 동글디자인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의 뇌과학>(동글디자인) 인간이 기쁨을 느낄  활성화되는 부위인 ‘꼬리핵 개의 뇌에서도 발견됐다도파민 수용체가 밀집한 부위로인간의 꼬리핵은 음식과 사랑  긍정적 자극에 반응한다낯선 사람의 냄새에 반응하지 않던 개의 꼬리핵은 주인의 체취를 맡았을  뚜렷하게 활성화됐다개가 주인의 냄새를 기억하고거기서 기쁨을 느낀다는 증거였다저자가 반려견 캘리와 함께 실험하며 눈을 마주 보는 순간에도 캘리의 뇌에서 꼬리핵이 활성화됐다.


<와일드>(글항아리) 최근 철학, 신경학, 동물행동학 등 전문가들은 동물도 의식이 있다는 강력한 과학적 근거가 있다고 선언했다.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 및 조류도 의식을 갖는다는 보고가 꾸준히 쏟아진다. 제러미 벤담 이후 '윤리적 주체'에 대한 논의는 인간뿐만 아니라 쾌락과 고통을 느끼는 모든 존재로 확장됐다. 하지만 동물은 정치적 목소리를 낼 수 없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25-08-13 10: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개와 늑대는 유전적으로 거의 동일하다고 합니다.다만 늑대중 일부에서 인간에 호의를 늨끼는 돌연변이 유전자가 발현하고 이게 세대를 거치면서 개로 진화한 것이라는 글을 본 기억이 납니다

목동 2025-08-13 20:23   좋아요 0 | URL
그러네요. 개처럼 오랜 시간 동안 깊은 유대감을 형성하며 인간과 함께 살아가는 동물은 드물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