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먼 북쪽
마르셀 서루 지음, 조영학 옮김, 무라카미 하루키 후기 / 사월의책 / 2014년 12월
평점 :
며칠전에 읽었던 [숨통이 트인다]도 생각나고 [더 로드] 그리고 영화 [매드맥스]도 생각난다. 이 모든 걸 떠나서, 그냥, 이 책 자체 만으로도 아름답고 고요하다. 이러저러한 것들을 떠올리지 않아도 그러니까 소설, 그 자체로도 완벽한 것이다.
글이 안써져서 더이상 덧붙이지를 못하겠고, 그러니까, 진짜 좋은 소설이란 말을 꼭 하고싶다!!
책 뒷편에 실린 무라카미 하루키의 후기를 보면 작가가 이 소설을 쓰게 된 계기에 대한 설명이 나와있다.
그는 그때 체르노빌 근교에 사는 '갈리나'라는 이름의 여성을 취재했다. 원자력 발전소 폭파 사고 현장에서 반경 30킬로미터 안쪽 지역으로는 사람의 접근을 일절 금지하는데, 그녀는 그 금지령을 무시하고 고향의 작은 마을로 돌아가 농사를 짓고 산다. 이곳에는 그런 사람들의 수가 적지 않아, 그들을 '복귀 거주자'라고 부른다. 그녀는 오십대 후반의 과부로 홀로 소와 닭을 치고, 방사능에 오염된 땅에서 양배추를 키웠다.
.
.
.
"2004년에 체르노빌을 다시 방문했을 때, 나는 이런 식으로 생각하기 시작했다. 만일 사태를 되돌려보면 어떨까 하고. 현대 사회에서 갈리나는 그저 무지한 여자일지도 모른다. 그녀는 인터넷도 휴대전화도 스시 레스토랑도 모른다. 하지만 영락해버린 세게에서는, 기근과 역병과 전쟁, 혹은 체르노빌에서 일어난 것 같은 공업 사회가 불러온 재난으로 곤궁의 처지에 몰린 세계에서는 또 제임스 러브록이라는 학자의 무시무시한 예언이 묘사하듯 대변동이 일어난 세게에서는, 내가 알고 있는 전문 지식 같은 것은 아무런 가치도 가질 수 없다. 어느 버섯을 먹어도 될지 판단하는, 양배추를 재배하는, 음식을 보존하는, 이런 유의 지식을 모르면 살아남기가 매우 어렵다. 또 남성보다는 여성이 보통 오래 살므로, 이 행성에서 인류라고 하는 존재의 마지막 모습에 체르노빌 '거주 금지구역'의 원시적 생활에 가까운 것이 되는 것은 아닐지. 내 머리에 퍼뜩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사람들이 떠난 땅은 다시 야생이 힘을 되찾고 있었다. 여자들은 이미 아이를 낳을 수 있는 나이가 지나버려 후대를 품지 않고, 오염된 땅에서 작물을 키우고 있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후기, p.324-325)
봉지마다 파종 기한 날짜를 스탬프로 찍어두기는 했지만 어차피 허튼 짓이다. 씨앗은 나름대로의 힘이 있다. 서쪽 사막에는 씨앗 상태로 100년 동안 비가 오기를 기다리는 식물들도 많다. 그저 다시 꽃 피울 날만 기다리는 것이다. 직접 본 적은 없지만 비가 100년 만에 내렸는데도 바위와 모래가 온통 꽃과 식물로 뒤덮였다는 이야기를 여러 번 들었다. (p.35)
상상해보라. 3만의 도시 인구 중 이제 여자 둘과 태아 하나만 남았다. 그런데 이상한 일은, 지금이 훨씬 더 좋다는 사실이다. (p.37)
나는 종묘상에 건너가 몇 시간씩 텃밭에 뿌릴 씨앗을 골랐는데, 갈색의 작은 봉지 씨앗들 덕분에 뭐든 미래에 대한 희망을 덤으로 얻을 수 있어 무척이나 행복했다. (p.39)
영양실조로 허약할 대로 허약해진 데다 한곳에 오랫동안 웅크리고 지낸 터라, 열 발짝을 주기로 발을 내딛기가 힘들었다. "몸이 약해 빠졌어." 사람들은 그렇게 말하곤 하지만 내 생각은 다르다. 몸은 강한데 마음이 물러터진 것이다. 다 포기하고 눈 속에 누워버리라고 부추기는 쪽은 늘 마음이다. 자기 몸이 얼마나 강한지는 오직 여자듣만이 안다. 당장은 고통으로 온몸이 산산조각 날 것 같지만 절대 그렇지 않다. (p.131)
누군가를 향한 상실감이 너무도 혹독해 그 고통에 허리를 부여잡을 때가 있다. 때로는 마치 해돋이나 창문 색깔처럼 상실감은 함께 살아가야 할 삶의 일부이기도 하다. 조상이 물려준 세상이 갑자기 끝장났을 때 우리는 저마다의 방식으로 종말과 맞서야 했다. 내게도 상징적인 일들이 있었다. 그 중 하나가 세탁이었다. 리넨 천을 빠노라면 어딘가 차분하고 일상적인 기분이 들었던 것이다. 행군 중에는 당연히 깨끗한 리넨을 볼 수가 없었다. 방식이 색다르긴 해도 줄푸가에게는 그 대상이 옛날 차였을 뿐이다. (p.1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