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퍼핏 쇼 ㅣ 워싱턴 포
M. W. 크레이븐 지음, 김해온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3년 4월
평점 :
(스포일러를 쓰지 않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성공했다. 이 리뷰는 여러분 미래의 퍼핏 쇼 독서를 방해하지 않을 것이다. 친절해 … 샤라라랑~)
영국 컴브리아 지역의 환상열석에서 불에 탄 시신들이 연달아 발견된다. 그 시신들은 살아 있었을 때 심한 고문을 당했을 것이고 불에 탔을 것이다. 피부를 날카로운 것으로 긁어 고문을 했던 것도 그렇고 육체를 불에 더 잘타게 촉진제를 부은 것도 너무 고통스러웠을 것 같아서, 소설의 초반 이 시신과 시신에 남겨진 흔적을 보고는 으, 이렇게 잔혹한 고문과 화형이라니, 어떤 미친놈이 또라이처럼… 이라고 생각했다. 아마 그간 읽어왔던 많은 형사, 프로파일러들이 등장했던 책처럼, 추리와 미스터리 책들이 으레 그랬던 것처럼, 이 소설 속 등장하는 범죄자이며 가해자인 인물도 소시오패스에 싸이코패스이겠거니 생각했다. 범인은 언제나 그런 보잘것 없는 놈이고, 이제 어떻게 그(들)를 잡느냐가 관건일 것이었다.
액션/추리/스릴러/미스테리로 분류되는 장르들의 소설을 내가 즐겨 읽는 까닭은, 그 안에 담겨진 이야기 때문이다. 크게는 범죄가 나오지만, 그 범죄를 추적해 범죄자를 잡는 과정에서 가해자와 피해자 그리고 그를 쫓는 경찰들과 프로파일러, 가해자와 피해자 주변의 사람들까지, 그들이 살아온 삶과 그로 인해 형성된 성격들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렇게 다양한 인간을 잘 보여주고 캐릭터도 생생하게 드러난다면, 그야말로 잘 쓰여진 추리 소설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내게 추리 소설을 읽는 재미는 '범인은 바로 너지!'를 추적하는 과정에 있는게 아니라, 그 범죄가 일어나고 벌을 받게 되기까지 참여한 모든 인간과 그들로 구성된 구조, 삶의 이야기 속에 있었다.
환상열석의 시신들중 하나에는 흔적이 남겨져 있었다. 그 지역의 경사 '포'의 이름이 적혀있었는데, 포로 말하자면 이전 수사 과정에서 엄청난 실수를 해 정직중이었다. 그런 포가 이 사건에 소환되는데, 과연 가해자는 그를 '왜' 불러낸것일까. 이 연쇄살인에 포는 어떤 연관이 있다는 것일까? 다음 피해자를 가리킨 것일까, 아니면 포가 어떻게든 관련되어 있는 살인이라는 것일까. 알지 못한 채로 이 수사에 포가 참여하게 된다.
소설의 처음부터 흥미로운 캐릭터가 등장한다. 상당히 높은 아이큐의 소유자, 열여섯에 대학에 입학해 박사학위를 두 개나 딴 여자, 그러나 친구가 하나도 없는 괴짜. 통계와 데이터로 모든 걸 다 추측해낼 수 있는 '틸리'가 '감'으로 증거를 따라 다니는 '포'와 파트너가 된다. 성별도 성격도 경험도 당연히 그동안의 삶의 과정도 모두 상반된 이 둘이 파트너가 되지만, 그러나 그들은 좋은 호흡을 자랑하며 이 수사에 함께 임한다.
액션/추리 소설이 아니라도, 소설은, '어떤' 이야기를 '왜' 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고, 나는 생각한다. 어떤 이야기를 왜 하느냐가 바로 작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관심과 사고일 것이다. 작품에는 어쩔 수 없이 작가의 사상이 들어가고, 독자인 나는 그걸 읽으면서 그에게 동의하느냐 설득하느냐 혹은 반목하느냐로 작품의 재미가 결정될 것이다. 좋은 문장은 당연히 소설에 있었으면 좋겠고 나는 확실히 좋은 문장에 이리저리 흔들리고 매혹당하는 사람이지만, 그러나 작가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완전히 매력적이라면, 좋은 문장쯤은 건너뛰고 갈 수도 있다. 《퍼핏 쇼》가 내게는 그런 책이었다. 만약 이 책이 이 이야기가 아니라 다른 이야기를 했다면 나는 별을 넷을 주었을 것이다. 사실 별점이 뭣이 중한디… 그러나, 다섯을 줄 수 밖에 없었으니, 그건 'M. W. 크레이븐'이 하고자 하는 《퍼핏 쇼》의 이야기가, 그 이야기속에 담긴 사상이, 내가 가진 사상과 닮아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니까,
폭력에 폭력으로 대응해서는 안된다는 말에 나는 우선 고개를 끄덕일 것이다. 폭력에 폭력으로 대응한다면 아마 폭력은 절대 끊어지지 않겠지. 그런데 자, 이 책을 읽다 드러나는 폭력을 만나면 어떻게 되느냐하면, '폭력에 폭력으로 대응하는 것이 왜 안돼?' 가 되어버리는 거다. 아니, 그럴 수도 있지, 이건 이래야 하는거 아니야? 가 되어버리는거다. 분명 잘못된 건데, 그리고 그러지 않는 쪽이 낫다는 걸 아는데, 그런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하는 걸 이해하게 되는거다. 우리는 또 정치적으로 올바른 사람이 되기 위해, 그리고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해 '가해자에게 서사를 주지 말라'고 말한다. 나 역시 당연히 그렇게 말하는 사람이다. 그렇지만, 그 말에도 모든 가해자가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가해자에게는 서사를 주고 어떤 가해자에게는 주지 않는 것은 누가 결정하는 일일까? 그건 아마도 그 사건을 맞닥뜨린 제삼자가 할 일은 아닐 것이다. 피해자가 결정하는 일일까? 글쎄 그것도 잘 모르겠다. 왜냐하면, 정의가 불의가 될 수도 있고 피해자가 가해자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그렇다. 세상일은, 사람이 사는 일은 겉으로 드러나는 면으로는 결코 알 수 없는 것이라서, 한 사람이 어떤 행동을 보고 하게 되는 말과 그러나 그 이야기의 다른 면까지 알게된 후에 하게 될 말이 다를 수 있는 거다. 내가 이렇게 장황하게 이야기하는 이유는, 내가,
가해자를 응원했기 때문이다. 어느 순간부터 이 미친 또라이 가해자를 안타까워했기 때문에. 이제 그쯤에서 멈추라는 말 대신, 내가 다른 말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책을 마저 다 읽지 못하고 범인을 쫓는 과정의 포와 틸리를 보고난 후 잠들었는데, 새벽에 벌떡 일어나서 나는 가해자가 누군지 갑자기 알았다. 아니, 정확히 가해자를 맞혔다는 건 아니다. 다만, '그 살인을 저지른 사람은 이 사람이어야 해, 그래야 맞아!' 가 되어버린 것이다. 내가 범인을 맞히고 싶어서가 아니라, 이것이 이야기이고 결국 삶이며 그 안에 사람이 있었기 때문이다. 고통의 흔적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이 이야기에서 가장 고통 받은 사람은 누구일지를 깨달은 까닭이다.
폭력에 폭력으로 대응해서는 안된다는 사실을 작가도 안다. 그래서 등장 인물의 입을 통해서도 여러번 얘기한다. 포가 괴로운 까닭은 잘못임을 알기 때문이고,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간을 돌린다면 자신은 같은 '실수 아닌 실수'를 다시 할 것이기 때문이다. 작가는 반복해 얘기해주고 있다. 이것은 정의가 아니야, 그렇지만 이렇게 할 수 밖에 없었어, 라고. 독자인 내가 가해자의 편이 되어서 고개를 끄덕이고 있다면 과연, 정의는 무엇이고 불의는 무엇인가. 정의는 선이며 언제나 나는 정의와 선의 편에 서야한다고 생각하지만, 그러나 정의와 불의로 감춰진 인간을 맞닥뜨리면 그러나 정의가 선인가를 고심하게 되고, 불의는 정말 불의인가를 고민할 수밖에 없다. 어떤 불의는 불의가 아닐 수도 있다는 자명한 진리를, 퍼핏 쇼는 보여준다.
최근 내가 읽은 추리/스릴러/형사물 중에 가장 좋은 책이었다. 처음 인물들이 등장할 때부터 마음에 쏙 들었는데 그들이 사건을 쫓는 과정도 흥미진진하고 무엇보다 그들 하나하나가 가진 이야기들과 그리고 이 잔혹한 사건이 가진 이야기가 마음에 든다. 내가 잘못하는 거라는 거 나도 알아, 그렇지만 그래도 이건 아니지 않아? 를 묻는 것도 그렇다. 응징이 어느 틈에 나에게 정의가 되었다. 나는 포가 마지막 버튼을 누르기를 간절히 바라면서, 그리고 (스포일러가 될까봐 말하지 않겠지만)어떤이의 간절한 '생'을 바라면서 소설의 마지막장까지 내처 읽었다.
다음 시리즈가 얼른 번역되어 나오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