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화 쓰는 법 - 이야기의 스텝을 제대로 밟기 위하여 ㅣ 땅콩문고
이현 지음 / 유유 / 2018년 2월
평점 :
내포독자는 단지 독자의 수신에만 도움이 되는 게 아니다. 작가의 발신, 즉 동화의 기준점이 되어 준다. 작품의 성패와 수준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32)
그 한 사람의 어린이 마음을 움직이는 이야기를 써야 한다. 그 한 사람의 내포독자는 작품의 기준점이 되어 줄 것이다. 작가가 길을 잃지 않도록 북극성처럼 한자리에서 반짝반짝. (p.33)
내포독자가 명확할수록 이야기는 구체화된다. 생명력을 얻는다.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이야기가 된다. 단 한사람을 위한 이야기니, 단 하나밖에 없는 이야기가 될 가능성이 커진다. (p.36)
누가 알려준 것도 아닌데 나는 글을 쓸 때면 단 한 명을 생각하고 썼다. 그 사람이 읽을 것이다, 그 사람이 읽어줄 것이다, 그 사람이 읽어줬으면, 하는 마음으로 썼다. 다른 사람들도 이렇게 글을 쓰는건지는 알 수 없었지만, 나는 언제나 머릿속에 누군가를 생각하고 글을 썼다. 내 생각은 이래, 내 느낌은 이래, 내가 하고 싶은 말은 이거야. 언제부터 그런식으로 글쓰기가 시작된건지 모르겠지만, 아주 오래전부터 지금까지 그렇게 해오고 있다. 그리고 내가 이미 해오던 그 방법이 글쓰기에 좋은 방법이라는 것을, 글쓰기를 알려주는 책들로부터 알게 됐다. 어? 그렇게 쓰라고 하네? 나는 이미 그러고 있었는데? 역시.. 스스로 깨우치는 천재적인 끼가 보인다... 라고 나는 나를 평가했더랬다.
그러나 소설, 이야기를 쓰는 일에까지 그것을 적용할 생각을 못했다. 언제나 이야기를 쓰고 싶었다. 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았고, 그것을 언젠가는 소설로 쓰고 싶다고 생각했지만, '언젠가는'은 오래전부터 지금까지 계속 '언젠가는'으로 남아있다. 어떻게 시작해야할지 도무지 알 수가 없었다. 그저 부지런히 소설을 읽고 읽고 또 읽었는데, 그러다보면 작가들에게 감탄하곤 했다. 이 어려운 걸 이 사람들은 어떻게 해냈을까. 어떻게 캐릭터를 만들고 어떻게 이야기를 전개하는걸까. 어쩌면 내가 할 일은 그저 읽는 것에만 있는지도 몰라, 쓰는 건 다른 사람이 해야한다. 나는 그렇게 생각하며 어릴적부터 소설 쓰고 싶다는 생각을 자꾸만 '언젠가는'으로 미뤄왔다.
'이현'의 [동화 쓰는 법]은, 제목 그대로 동화를 쓰는 법에 대해 알려주는 책이다. 그런데 와- 이 책이 처음부터 참 좋다. 꼭 동화를 쓰기 위해서가 아니라, 이야기를 쓰고 싶은 사람에게도 피가 되고 살이 되는 책이다. 그리고 이 책을 몇 장 읽지도 않고서부터 나는 이야기를 써내는 것의 가장 중심축을 알게 됐다. 내가 쓰는 글-소설이 아닌-, 일기 같은 글에서 항상 누군가를 염두에 두고 썼다면, 소설에도 역시 그러하면 된다는 것. 작가는 그렇게 글 쓰는 이가 염두에 두는 사람을 '내포독자'란 용어로 표현한다. 아, 왜 내가 그걸 몰랐지? 왜 소설에도 그걸 적용하면 된다는 것을 몰랐지? 그래, 내포독자! 소설에서도 역시 나는 단 한 사람을 염두에 두고 쓰면 되는 거잖아! 그렇다면 그 사람만 생각하며 방향을 잃지 않고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나는 이 책을 얼마 읽지도 않았는데 벌써부터 이야기를 쓸 수 있겠다는 자신감을 얻게 된다.
그 자신감은 이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더해진다. 이 책의 작가인 이현은 어떻게 하면 동화를 잘 구상하고 진행해나가며 마무리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친절하게 잘 알려준다. 그 과정들 속에서 어떤 책들이 좋은 혹은 나쁜 예시가 될 수 있는지 다른 많은 책들을 언급하며 설명하는 통에, 중간중간 북플에 들어가 책들을 검색하고 '읽고싶어요'도 체크해야 했다.
내포독자로 시작해서 주인공과 인물 그리고 사건과 플롯, 설정과 절정과 결말에 이르기까지 이야기 한 편을 시작하고 끝내며 또 책으로 나오는 과정까지를 순서대로 짚어주는데, 매 꼭지마다 도움이 된다. 어떤 부분들은 이미 알고 있었고(책을 많이 읽어야 글을 잘 쓸 수 있다는 것), 어떤 부분들은 내가 미처 모르고 있었다(절정에서는 잠시 멈춰줘야 한다는 것). 교양을 쌓자는 생각으로 읽기 시작한 책인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책이다. 글쓰기에 관련된 책을 읽고 실질적으로 '으악 크게 도움이 된다'라고 생각한 적은 별로 없었는데, 이 책은 다르다. 동화 쓰는 법 이라고 하지만, 비단 동화뿐만이 아닌, 모든 이야기에 적용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쓰기의 방법들이 실려있다.
이야기를 쓰고 싶은 사람이라면 반드시 이 책을 읽어보면 좋겠다. 처음부터 끝까지 도움이 될테니.
게다가 작가가 자신의 이야기(동화)를 완성하기 위해 노력한 과정들은 반짝반짞 빛난다. 으스대며 천부적인 재능이라 잘난척 하고 싶지만, 사실은 자기가 많이 노력했다는 말로 마무리를 하는데, 나는 스스로 노력을 하고 또 노력 했다는 걸 인정하는 사람들이 그렇게나 좋은 것이다.
왜, 학창 시절에 그런 아이들이 수두룩하지 않은가. '어제 공부 하나도 안했어' 라고 말해놓고 100점 받는 아이들... 너도 놀고 나도 놀았는데 너는 백점이고 나는 칠십오점이면 나는 돌대가리 너는 천재냐. 좀 솔직해지자 우리...
4개국어를 하는 친구에게 언젠가 '너는 어쩌면 그렇게 외국어를 잘해?'물었을 때, 그 친구는 내게 '나는 미친듯이 외웠어, 지금도 사전을 찾아봐' 라고 한 대답이 너무 인상깊었다. 그런데 이현도 이 책에서 얘기한다.
나는 매번 그렇게 동화를 써 왔다. 단 한 번도 쉬웠던 적이 없다. 헤매지 않은 적도, 힘들지 않은 적도 없다. (p,158)
단 한 번도 동화를 쉽게 써본 적이 없는 사람이기 때문에 결국은 동화 쓰는 법에 대한 책까지 쓸 수 있었던 게 아닐까. 내가 읽어본 글쓰기 책 중 가장 도움이 되는 책이다. 그러나 앞으로 이야기를 쓰느냐 하는 것은 전적으로 내 몫이다. 이 책은 제 역할을 다 충분히 해냈다.
내 몫만이 남아있어, 내 몫만이...
실제로 누가 동화를 읽든 냄비 받침으로 쓰든 동화의 본질은 달라지지 않는다. 동화는 어린이 독자를 위한 서사 문학이다. 애초부터 ‘어린이‘를 존재해 왔다. 동화는 어린이를 위한, 그러니까 ‘수신‘의 장르다.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가 아니다. ‘너에게 전하는‘ 이야기다. 소설은 동화와 다르다. 소설은 수신이 아닌 발신의 장르다.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다. 물론 소설가도 독자를 의식하겠지만 그건 현상일 뿐, 소설의 본질은 전달이 아닌 ‘표현‘이다. - P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