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잔티움의 첩자 행복한책읽기 SF 총서 8
해리 터틀도브 지음, 김상훈 옮김 / 행복한책읽기 / 2005년 7월
평점 :
절판


 처음 저는 이 책에 꽤 실망했었습니다만(이 책의 소년스러움과 증류주의 역사적 팩트가 부실한 점에 각별히), 이 책을 다시 읽고 나서 그냥 버리기는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이 책에 대한 기존의 견해를 철회한 것은 아닙니다. 다시 읽어도 이 책은 제 취향에는 지나치게 소년 지향으로 느껴지고, 그 점이 좀 우스꽝스러울 때도, 견디기 힘들 때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다이디타운]을 '자신이 무엇을 쓰는지 정확히 알고 있는, 장르에 빠삭한 작가의 매력' 이 있다고 평가한다면 이 [비잔티움의 첩자]에 대해서도 같은 평가를 해 줘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 것 뿐입니다. 역사의 그 중요한 모든 장면에 주인공(혹은 '나')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소년스러움, 주인공을 고독하고 슬픔에 찬 에이전트 B로 만들기 위해 갓 생긴 가족을 가차없이 없애 버리는 등의 소년스러움, 이 모든 것은 사실 냉철하고 유능하고 미남은 아니지만 성적 매력이 있는 스파이가 '실은 아직도 장난끼 있는, 소년 같은 남자'로 그려지는 첩보소설의 전통에 입각한 걸로 생각할 수 있을 겁니다.

 여전히 좀 괴롭지만 A. J. 퀸넬의 소설들을 줄줄이 읽어제낀 저같은 놈이 이걸 못 견딘다면 말이 안 되긴 합니다. 저는 이런 종류의-[비잔티움의 첩자]나 [Man on Fire]같은-, 겉으로 크게 드러나는 허풍스러운 남자다움은 차라리 좋아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어느 정도까지는. 작가가 어느 정도 진지하게 쓰고 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최소한 사태가 유머를 잃지 않고 있다는 생각이 들거든요. 이걸 다시 읽으면서 제가 다아시 경 이야기들보다 이 쪽을 더 좋아한다는 걸 깨달았는데, 일단 이 소설에 등장하는 비잔티움-콘스탄티노플이, 저의 순진한 코스모폴리탄적 환상을 부추기는 공간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 소설 속의 비잔티움도, 우리 세상의 비잔티움도, 부끄러워하면서도 도저히 좋아하지 않을 수는 없습니다. :]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09-02-12 22: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색다른 견해시네요.저도 이책을 읽었지만 그 정도까지는 생각하지 못하고 그냥 단순한 대체 역사 소설이구나하고 생각했거든요.그리고 이책 판매가 안되서인지 행복한 책읽기에서 절판한다고 하니 그냥 가지고 계세요.sf는 시장이 작아서 절판되면 그만이거든요.
그리고 A. J. 퀸넬의 크리시(?)를 읽으신 분이 계시네요.불타는 사나이정도는 읽은 분이 계신데 시공사의 시리즈 5권을 다 읽으신 분은 별로 못뵙거든요.내용이 좀 마초스럽긴 하지요.
어디서 읽은 기억이 나는데 A. J. 퀸넬는 필명으로 어디서 숨어서 이런 소설을 쓴다고 하네요^^

eppie 2009-02-16 14:01   좋아요 0 | URL
^^; 언제부터인가 그냥 원서를 구해 읽으면 된다는 생각에, 책꽂이 공간이 모자라면 절판된 지 오래된 책도 덥석덥석 버리거나 누군가 줘버리게 되었어요. [토탈호러]나 [코스믹 러브]도 그런 식으로 남에게 줬던 것 같은 기억이 나네요.

실은 단편집이 까다롭지요. 한 편이라도 좋아하는 게 들어 있으면 내놓기가 어려워지니...제 경우엔 미스터리 취향은 배배 꼬였는데 비해 SF 취향은 비교적 단순하고 솔직해서 SF는 그렇게까지 구하기 어렵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던 것 같아요.

[크리시] 시리즈는, 앞의 두 권 [Man On Fire]와 [The Perfect Kill]이 [퍼펙트 맨], [퍼펙트 킬] 이라는 제목으로 나왔을 때 처음 봤어요. 그 후에 시공사에서 크리시 시리즈 다섯 권이 다 나와서 재미있게 봤지요. :] 이 정도로 대놓고 마초짓을 하는 건 유쾌하게 볼 수 있어요. 물론 이 시리즈도 뒤로 갈 수록 완전 막장에 대체 왜 이러지 싶은 전개가 되었지만...처음 두 편은 확실히 걸작이었다고 생각해요.

퀴넬은 실제로 크리시 시리즈에 나왔던 고조gozo 섬에 살고 있다고 하지 않나요? 찾아보니 본명은 Philip Nicholson이라는군요.

카스피 2009-02-16 15: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그렇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