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땐 위로받을 수 있는 한국가요가 없었어요. 전 그런 게 필요했거든요. 연애 이야기가 아닌 가사. 그러다 중3 때, ‘루징 마이 웨이’, 길을 잃었다. 첫 작곡. 속에서 나오는 말들을 무조건 다 썼어요. 나는 대화가 안 되는 애니까. 대화하는 게 힘드니까. 노래로 표현하고 노래로 말을 하자.” 작곡은 어떻게 하나. “그냥 멍하니 생활하다 어느 순간 머리에 계속 맴도는 멜로디가 있어요. 흥얼거리게 되고. 그걸 한 달 동안 달고 있다가 곡이 돼요.” 쓰지 않을 수 없어서 쓰는 거구나. “정말 그래요. 그냥 나와요.” 작곡 배울 생각은 안 했나. “작곡을 배우면요, 작곡 배운 사람들의 느낌이 나더라고요. 전 그냥 자유롭게 쓰는 게 좋아요.” 혹시 신데렐라, 그거 나중에 보니 고칠 데 있던가. “손댈 곳 없어요. 왜냐면 그 순간에만 만들어질 수 있던 거예요. 그게 완벽하고 그렇다는 이야기가 아니라 좀 빈틈이 있고 뭔가 부족하더라도 그 상태로 충분해요.” 그렇지. 그 순간을 고스란히 담고 있으니까. 고유하지. “맞아요.” 똑똑한 놈.
내가 표현하고 싶고 고민하던 것들이 이미 40년 전에 다 이루어져 있다는 걸 알고 정말 충격받았어요. 잠시지만 음악을 하는 것이 옳은 것인가 생각도 했어요. 이미 모든 것들은 이루어져 있는데. 물론 지금의 것을 표현하자고 생각을 다잡았지만. 모든 곡들이 다 훌륭해요. 그 앨범이 내 인생 최고의 앨범이에요.
제가 밖에서는 그런 유대감을 나눈 사람이 없어요. 그런 걸 해본 게 이번이 처음이었어요. 이 사람들이 처음이었어요. 하지만 이 사람들은 밖에 나가면 그런 관계를 이미 맺고 있던 사람들이 있잖아요. 친한 친구들, 사람들. 전 이 사람들뿐인데. 이제 밖에 나가면 달라질 테니까. 그게 너무 슬펐어요.” 그런데 말이야. 모든 것에 대가가 있지. 좋은 것조차. “맞아요. 이런 것도 배웠어요. 사람들은 필요한 부분을 취하는구나. 각자 필요한 부분을 상대방에게서. 그런데 전 그런 게 익숙하지 않았어요.”
근데 음악만 아는 사람, 멋없다. 사람이 음악을 위해 존재하는 게 아니거든. 음악이 사람을 위해 존재하는 거지. 음악 이외 관심 가는 건. “역사. 다큐멘터리. 옛날 흑백 사진. 오래된 풍경. 그런 거. 아, 남대문 불탔을 때 정말 엉엉 울었어요. 당장 서울로 올라가 남대문 앞에서 노래를 부르자. 존 레넌의 이매진.”(폭소)
이 아이, 시기와 질투, 배신과 이별, 곡해와 비난, 실패와 좌절, 그 모두를 겪게 될 게다. 삶이, 그러하니까. 안전했던 자신만의 공간은 속절없이 침범당할 것이고 옳고 그름은 더 이상 선명하지 않을 것이며 어디까지 불가피한 비즈니스인지 어디서부터 불순한 타협인지 그 경계는 모호해질 게다. 때로 있는 그대로의 자신과 요구받는 자신 사이에서 하릴없이 배회할 것이며 때로 명백했던 모든 것이 한순간에 무너져 내리는 경험들을 맞이하게 될 게다. 그때, 그렇게 모든 게 불안하고 불분명하고 불완전할 때, 모든 이의 조언과 충고와 도움이 세상 모든 방향으로 갈라질 때, 이 아이가 기억해낼 수 있었으면 한다. 장재인을 장재인 되게 한 힘은 애초 장재인 안에 있었다는 걸. 그러니 오로지 자신에게만 귀 기울이면 된다는 걸. 이 말이 하고 싶어 만났다.
(한겨레/ 김어준, 장재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