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몸과 생각 평소에 존중 습관을 
 
아동 성폭력 예방 교육을 받아야 할 대상은 아이들이 아니라 어른이다.
아동 성폭력의 뿌리는 아이들을 존중하지 않는 문화에 닿아 있다. 여성을 상대로 한 성폭력이 남존여비의 오랜 인습에서 기인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따라서 예방법을 가르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예방의 문화를 만드는 것도 필요하다.

아이의 몸은 ‘전부’ 소중하다

흔히 예방 교육에서는 내 몸은 소중하기 때문에 남이 함부로 만지면 안 된다고 가르친다. 그러나 김영애 여성민우회 전문강사는 “어른들이 아이들 머리를 툭툭 치고 뺨이나 엉덩이를 손으로 때리는 것이 허용되는 문화에서 아이들한테 몸의 소중함을 가르치는 일은 무의미하다”며 “아이들은 결국 성기만 소중하다고 배우는데 엉덩이를 만지거나 팔을 쓰다듬는 등의 성추행은 인지를 못하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이의 머리, 얼굴, 팔, 다리, 성기 모두가 소중하다는 인식을 부모나 교사가 먼저 해야 하는 것이다.

아이들의 몸뿐만 아니라 생각도 존중해야 한다. 이는 교육의 기본이지만 아동 성폭력 예방에 특히 기여할 수 있다. 김 강사는 “아이들은 부모한테 성폭력의 위험에 노출될 뻔했던 상황을 얘기하지만 부모들은 괜한 소리라며 일축하는 일이 많다”며 “어떤 아저씨가 예쁘대, 옆집 오빠는 이상해 등의 말에서 위기를 포착하려면 평소에 자녀의 말에 귀 기울이고 자녀의 생각을 존중하는 문화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아이의 거부 의사를 존중하라

“싫어요, 안 돼요”라는 저항은 아동 성폭력 예방의 기초다. 그러나 평소에 부모나 교사들이 아이들의 거부 의사를 수용하지 않으면서 성폭력 상황에서만 저항하길 기대하는 것은 무리다. 김 강사는 “아빠가 술 먹고 들어와서 자는 아이를 깨워 얼굴을 비비는 것도 아이가 싫다고 하면 그만둬야 한다”며 “이렇게 사소한 부분에서부터 아이의 의사를 존중하는 문화가 있어야 진짜 위험에서 아이들이 제대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은 한국성폭력위기센터 전문강사는 “아빠의 친구한테 뽀뽀하기 싫어하는 아이한테 ‘뭐 그렇게 비싸게 굴어’ 하는 부모들이 있다”며 “좋은 느낌, 싫은 느낌을 구분하는 교육을 아무리 해도 이런 상황에서 부모가 싫은 느낌을 강요하게 되면 아이들이 혼란스러울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아동 성폭력 가해자의 78%가 아는 사람인 점을 고려하면 이런 강요는 더욱 위험하다는 게 전문가의 설명이다. (한겨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겨레, 임경선의 이기적인 상담실)

당신에겐 스스로의 힘으로는 어쩔 도리가 없는 상처가 있었다고 칩시다. 그리고 당신은 그 콤플렉스와 상처를 넘기 위해 열심히 이 악물고 노력해서 스스로를 성장시켰습니다. 번듯한 회사도 들어가고 돈도 모아 자기 집도 장만했습니다.

이건 정말 대단한 성취입니다. 그런데 여전히 마음속에 외로운 소년이 둥지를 틀고 앉아 있습니다. 콤플렉스를 극복하기 위해 얻은 그 성취는, 그 콤플렉스를 빨리 버리라고 어렵게 얻어진 건데, 정작 본인이 버리지 않으려 합니다. 자신의 트라우마를 소중히 하려는 심리가 작동하는 거죠. 왜냐, 그 상처를 소중히 하지 않으면 그 외에 소중히 할 만한 게 별로 없으니까. 물리적으로 남에게 보일 수 있는 것은 그것밖에 없다고 생각하니까.

하지만 상처를 자신을 설명하는 도구로 쓰면 왠지 안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듣는 사람 입장에서도 어찌되었던 ‘상처’ 이야기는 피곤합니다. 왜냐면 대개 ‘상처’ 그 자체가 환상이기 때문입니다. 그 상처 이야기가 잘 먹혀들기라도 하면 그것 역시도 문제이지요. 상처를 극복하거나 잊는 게 아니라 상처에 자꾸 의지하게 되니까요. 심지어 내가 나의 상처를 소중히 하는 것처럼, 나의 상처를 소중히 해줄 수 있는 ‘타인’을 찾게 되고 그것이 어떤 사람을 판단하는 기준점이 돼버리니까.

이때 자기연민과 자기애가 굳는 건 시간문제이지요. 이러면 사람 참 빨리도 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는 대단히 편파적이다. 그러나 편파적이 되는 과정은 대단히 공정하다." (김어준)

"공정하게 편파적인 것이 가장 공정한 것이며, 편파적으로 공정한 것이 가장 편파적인 것이다." (프레시안 마구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단순히 많은 것을 떠올리기 보다는, 발상이나 착상을 수습하고 밀고 나가는 능력이 중요하다."

(대학내일, 배명훈 소설가 인터뷰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회정의가 관철되는 곳에서 질서는 당연히 지켜지지만, 질서가 강조되는 사회에서는 사회정의 요구가 압살된다. 정권이 유별나게 법과 질서를 강조하는 이유는 다른 데 있지 않다. 가진 자들에게 법과 질서는 사적 이익의 창과 방패다." (한겨레, 홍세화 칼럼)

- 굳이 한국사회가 아니어도 충분히 적용 가능할 것이다. 윤리를 강조하는 가정에서, 학칙을 강조하는 학교에서, 회칙을 강조하는 조직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