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이 역자의 번역을 신뢰하지 않는다. 한 번 마음이 삐딱해졌기 때문일까? 


"가슴풍만하고 성기당당한"... 원래 이런 말이 있나? 나만 모르나?

여러분, 이 말의 영어가 짐작이 되나요???


내 대안적 번역이 물론 틀릴 수도 있다.




19쪽 18행: 전문가 회의 -> 학회 학술대회(professional meetings)


23쪽 17행: 가슴 풍만하고 성기 당당한 존재를 -> 좋은 신체(능력, 재능)를 타고난 존재를


가슴 풍만하고 성기당당한? "well-endowed"가?

이 뭔 변태적 번역인가? 



41쪽 13행: 그는 더 나아간다. -> 그녀는 계속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44쪽 15행: 그러나 늑대와 개의 대립은 농담조가 아니다. -> 그런데 이 늑대와 개 대립 이야기는 재미없다 (농담인 것 같은데 거슬린다). 


47쪽 19-20행: 지상의 생명체는 형상으로든 일시적 존재로든 -> 지구 생명체의 형태와 시간성(temporality)은

=> 역자가 temporal과 temporary를 혼동했음; temporal이라는 말을 모를 수도.. 


63쪽 16-17행: 먼지를 -> 오물을


63쪽 24행: 살아있는 자본의 체제에 -> 생명자본 체제(the regime of Lively Capital)에


74쪽 22행: 인간의 노예가 -> 인간 노예가


123쪽 2행: 검증된 삶 -> 검사되는/시험되는 생명(examined lives)


131쪽 16행: 개 이빨을 -> 송곳니를


139쪽 1행: 개 활동가들이 있는 광경이나 -> 개활동가들의 현장이나


141쪽 16행: 리스트서버 -> 리스트서브


196쪽 6행: 책략가 -> 트릭스터(trickster)


315쪽 2행: 사체-절도는 -> 신체 강탈/전용(body-snatching)


341쪽 1행: 시골 캘리포니아주 -> 캘리포니아주 시골


348쪽 1-2행: 떠돌이 고양이들이 추적용 번호를 부여받고 백신 접종 의무가 있다는 것 외에 커뮤니티 칼리지[전문대학]의 학생과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우선 간단한 대답으로는 양쪽 모두 역사적인 상황 속의 테크놀로지 속에서 내부-작용을 통해 "교육"된다는 점이다.


What do feral cats have to do with community college students, besides having numbers assigned to them for tracking purposes and being required to get vaccinations? The short answer is that both classes of beings are "educated" through their intra-actions within historically situated technology. (281)


추적용 번호가 부여된다는 것과 백신 접종 의무가 있다는 것 말고도 길고양이와 커뮤니티칼리지 학생의 공통점이 있다면 그것은 무엇일까? 우선 간단한 대답으로는 두 집단 모두 역사적으로 위치지어진 테크놀로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내부-작용을 통해서 "배우는" 존재라는 것이다. 


348쪽 6행: 가축 -> 집에서 키우는 동물(domestic animals)


350쪽 11-12행: 분리주의자와 미국이 지원하는 마닐라 혁명운동 양쪽 모두의 억압에 의해 죽었다.


... students who were mostly dead a few years later from the repression of both separatist and revolutionary movements by the US-supported regime in Manila. (p. 283)


-> 미국이 지원하는 마닐라 정부가 분리주의 운동과 혁명운동 양자 모두를 탄압하는 과정에서 살해당했다.


360쪽 2~12행: 나는 이 대리자를 ... 열림 속에 있는 것이기도 하다.


-> 사실 나는 이 대리자를 "퀴어"라 부르고 싶고, 보통의 이성애자들에게도 이게 별 문제가 되지 않을 것 같다는 사실에 약간의 전율을 느끼기도 한다. 그런데 내가 거기에서 그친다면, 피치니니는 자신의 작품 이미지 사용을 허가한 것을 분명히 철회할 것이다. 여전히 이 대리자는 소화불량에 양분을 공급하는 창조물로 남아있다. 그것은 적절한 장소와 기능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일종의 소화불량이다. 사실 퀴어 이론이 말하는 전부가 장소와 기능의 적절성에 대한 것이다. 그것은 제자리에서 벗어난 양육의 속삭이는 달램(mutter)/문제(matter)이다. 이 양육의 달램/문제가 바로 소위 재생산이라는 여성을 정의하는 기능의 (충분조건은 아닐지 몰라도) 필요조건의 조각(cut)이다. 제자리에서 벗어난다는 것은 대개는 위험에 처하는 것임을, 그러나 때로는 개방된 공간, 그러니까 아직은 가치와 의도가 대못을 쳐서 폐쇄하지 않은 공간에서 자유롭다는 것임을 뜻한다.  (p. 292)




380쪽 27행

백정 -> 정육업자(butcher)


butcher는 오늘날 정육점 주인이나 점원을 다 가리키는 말인데...

프랑스 센강 하류에서 고기 잘라 파는 사람을 "백정"이라고 번역하면 어떡하나? 그 사람이 도살을 하건 안 하건, 이건 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초록비 2024-02-07 05: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 well-endowed 번역에 웃고 갑니다. 오래 기다리던 번역인데 한마디로 엉망진창이로군요.

에로이카 2024-02-08 03:48   좋아요 0 | URL
네, 여러모로 아쉬운 번역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