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그네 오늘의 일본문학 2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누구나 저마다의 이유로 강박, 불안감 등을 안고 산다. 때로는 그 강박과 불안감을 야기하는 사태를 마주할 용기가 없어서, 혹은 단순히 싫어서, 그것을 대체할 수 있는 대상에 몰입함으로써 위안감을 얻기도 한다. 그러나 정작 해야할 일을 미루면서 딴 일에 몰두한다고 해도 삶의 궤도를 완전히 바꾸지 않는 한, 원래 그 해야할 일, 진도가 나가야 하는 일이 진행되지 않는다면 그 몰입의 성과가 주는 위안이란 금새 초라해지기 마련이다. 자신이 정작 해야할 일은 다른 대상에 몰입해 있는 순간에도 나의 뒤통수를 끊임없이 „“아보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그 대체적인 몰입 행위가 끝이 났을 때에도 그 눈길을 마주할 자신이 없다면 다른 몰입대상을 찾게 될 것이고, 이러한 강박회피 또한 문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지나친 강박과 불안에 시달리는 것도, 그 반대의 강박-불안로부터의 지나친 회피도 어느 정도가 넘어서면 정신질환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신질환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기준은 다소 주관적일 수밖에 없겠지만, 그 불안함이 한 사람이 다른 사람들과 사회생활을 함께 해나가는 것이 불가능한 정도로까지 발전할 경우, 대체로 의사들은 정신질환 판정을 내리는 것 같다. 물론 정신질환이 아니라 성격이상인 경우에도 다른 사람들과 생활하는 게 힘들 수 있고, 이런 점을 고려한다면, 약물 치료가 가능한 것은 확실히 정신질환이고 그렇지 않은 것은 정신질환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는 결론으로 점프할 수도 있겠다.

 

비타민 주사라는 위약(placebo) 처방만으로 환자들을 진료하는 이라부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공중그네]는 이 애매한 경계에 있는 환자들을 등장시킴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자신도 일종의 유사-정신질환을 갖고 있고, 자신의 불안함에는 당연히 이유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한다. 그렇다면 답은 하나, 그 불안의 근거를 회피하지 말고, 마주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름 자신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 내에서 주변으로부터 인정받던 사람들이, 이러저러한 이유로 자신감을 잃게 되고, 이라부를 찾아온다. 환자들이 보기에도 별로 미덥지 못한 이라부는 환자들의 전문 영역에 대한 근거 없는 자신감과 자부심을 보이며, 아이 같은 순진무구함과 열정으로 도로 표지판에 장난낙서를 하고, 공중그네에 도전하며, 소설을 쓰겠다고 난리를 친다. 이라부는 환자가 갖고 있는 것 (전문성)을 갖고 있지 못하지만, 그들에게는 없는 것(자신감, 즐거움, 주변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움)으로 충만하다. 분명 저자는 독자들이 이라부가 아닌 환자들에게 감정이입할 것을 예측했을 것이다.

 

그런데 난 그게 잘 되지 않았다. 아마도 그 환자가 갖고 있는 것 (전문성)이 내게는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난 그것을 획득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그 과정에서의 좌절을 마주하기가 싫기 때문에 그 불안과 강박을 회피하는 쪽을 택한 것이 아닐까 하는 데에까지 생각이 미쳤다. 문득 든 생각은 이거다. 불안과 강박을 회피할 것이 아니라 선택해보면 어떨까? 그것들이 선택할 수 있는 것인가? 문제는 하기 싫은 일상의 과제에 전력하는 것을 선택했을 때 그것이 불안과 강박으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게 하는 것들자신감, 성취감, 도전정신, 즐거움을 갖는 것 같다. 그래.. 그래보자..

 

책은 재미있다. 그렇다고 별 대단한 내용이 있거나 그렇지는 못하다. 책을 읽고 나서는 나오키상이 그렇게 대단한 상은 아니구나 그런 생각까지 했다. 지하철에서 시간 떼우며 읽기 좋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aits 2007-06-08 01: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강박회피, 저 부르셨어요? ㅎㅎ '공중그네' 리뷰마저도 에로이카님이 쓰시니 진지한 레포트가 되네요.^^ 그래도 지하철에서 책 읽는 재미를 되찾으신 게 좋아보여요!

에로이카 2007-06-08 11: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 나어릴때님도... 새삼 반갑네요.. 쓰다보니 좀 이상한 글이 되어 버렸어요.. 이런 책을 읽은 것은 하도 오랜만이라.. 앞으로는 자주 보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