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인 C. 부스 <소설의 수사학>보다 훨씬 쉽고 실용적이다. 완결된 단편(한국 기준 200자 원고지 70장 ~ 80장) 10편 이상 써 본 중급자라도 자신의 안 풀리는 머릿속과 문제점과 관련해 점검해 볼 내용이 많다. 제임스 조이스 <율리시즈> 같은 소설을 쓰자면 어쩐지 <소설의 수사학> 정도는 너끈히 읽어치워야 될 거 같지만 그건 의학 공부하면 모두가 산부인과 수술이 가능할 거라고 생각하는 것과 비슷하다. 이론과 실전은 다르고 달라야 한다. 일정한 수입이 있음 원하는 바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을 거 같았지만 돈 버느라 허송 세월 하느라 꿈을 놓친 수많은 사람들이 생생히 걸어 다니고 있지 않은가. 몸에 상황 전광판이 없어 사방에 안 알려줘서 다행일 지경이지.
이 책과 비슷한 시기에 나온 <그럼에도 작가로 살겠다면> 같은 아포리즘 책은 인용할 게 많아 에세이스트나 비평가, 리뷰어들에게나 유용하지 적어도 소설 창작자에는 큰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 ‘잘 될 거야, 잘 될 거야‘ 아편 같은 주문으로 플라시보 효과만 보고 실제 치료할 부분은 내버려 두는 것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난 잘 할 수 있어!‘, ‘당신도 할 수 있다‘ 긍정과 A4 용지를 가득 채우는 실행은 분명 다른 문제다. 긍정의 에너지가 삶을 더 낫게 만든다고 알려져 있지만 사실 딱 그렇지도 않다. KOREA 《SKEPTIC》 창간호 보면 캐럴 태브리스는 낙관주의자가 비관주의자보다 수명이 길다는 주장이 틀렸다는 연구결과와 낙관주의의 폐해를 알리고 있다.  문학은 오히려 오기와 부정의 에너지가 더 컸지 않나? 우리는 비극에서 더 많은 걸 배워왔다. 그것도 옛말인가. 운동하는 소설가들을 봐라! 운동도 습득과 연습의 행동력이라구! 머릿속에 천일야화 뺨치는 게 있어도 지상에 한 페이지도 없음 암 것도 아니다.

이 책은 자기 계발서로 소개해도 좋을 것 같다. 연습 사항들을 따라가다가 소설보다 도를 깨우치러 옆길로 샐지 모르지만(내가 종종...) 그렇다면 애초에 그 사람은 소설을 쓰려던 사람은 아녔다고 봐야지.
‘밖에 나가서 대상이 새롭게 보일 때까지 관찰하고 기록해 보라‘든지 ‘눈을 뜨고 있는 시점과 감고 있는 시점을 각각 써보라‘ 등등 이건 네루다의 우편배달부가 시를 터득해가는 과정과 마찬가지다ㅎ 그래서 시가 중요한 것. 시는 대상을 다르게 보는 관점을 가장 많이 배울 수 있는 분야다. 소설이 추적이라면 시는 투시에 가깝다고 할까. 시인이라는 뛰어난 선생들이 적은 시집 값에 많은 걸 가르쳐 준다. 생활은 궁핍한 자들이 구세군 역할을 하다니 아이러니지 아이러니야. 시를 안 읽는 사람들에게서 나는 공통적인 걸 느낀다. 그것은 뭐랄까. 이걸 소설로 쓰자구~ <시먼 자들의 도시> 비슷하게. 이렇게 고리타분한 생각 연계로는 11번 째 소설도 실패 보장합니다.

이 책 읽는 순간부터 마구 소설이 쓰고 싶어진다. 바라던 바다!
나는 어쩌자고 이러고 있는지 이건 뭐하자는 글인지 어휴....



댓글(8)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겨울호랑이 2017-09-26 08:0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 ˝글, 그림, 사진 : AgalmA ˝ 이렇게 만들어진 작품도 멋질 것 같습니다^^: 여태껏 그리신 1일 1그림을 바탕으로 plot을 구성하면 상당히 독특한 작품이 될 것 같네요.구성이 많이 어렵겠지만요...

AgalmA 2017-09-26 13:47   좋아요 2 | URL
잔뜩 펼쳐 놓기만 하고 이러다 ˝오대수(오늘만 대충 수습)로만 끝날 거 같아 참-_-.....
불같이 끓어오르다 필라멘트가 끊긴 듯 팍 식는 습성을 고쳐야 해요. 그러면서 다 놓지도 못 하죠. 웃긴 중생입니다. 그래서 남 비웃을 수 없어요)))))

단발머리 2017-09-26 09:3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럼에도 작가로~~> 저도 읽고 있는데 Agalma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작가란 무엇인가>를 기대했던 나의 예상은 틀린 것으로...

소설쓰기 혹은 글쓰기 책 읽다보면 항상 그 얘기가 나오는 듯 해요. 도를 아십니까.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 이런 책도 기억나고 하네요.
좋은 정보,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_~~~^^

AgalmA 2017-09-26 13:59   좋아요 0 | URL
<그럼에도...>에 <파리 리뷰> 내용도 더러 보이더군요. 에세이풍 작가의 말은 ‘그래, 나도 할 수 있어!‘ 의욕만 고무시키고 끝날 공산이 커요. 실천적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짜야 오래 갈 수 있지요. 이 과정을 몇 차례 겪어보고 나서야 내가 뭐가 필요한 거구나 깨닫게 되죠. 깨닫고 실행단계로 들어가면 다행이고 헤매다 밥 벌어 먹고 살아야지 이게 뭐 하는 짓이람! 하면 고급독자 주택지로 이동하게 되죠. 한때 나도 문청이었는데... 교복을 쓰다듬으며.
<뼛속까지...>는 글쓰기 완전 초보자에게 적합한 책인 듯. ‘나는 왜 글을 쓰는가‘ 자기 적합성 판단하는 단계랄까요. 그래서 ‘도닦기‘ 상태가 되죠. <뼛속까지...> 문장들이 너무 오글거려요;;; 정말 유명 강사의 자기계발 강연 같음ㅎ))))

fledgling 2017-09-26 12:1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Agalma님의 가벼운 구어체 스타일 리뷰도 넘 재밌네용~~

AgalmA 2017-09-26 14:02   좋아요 0 | URL
독백인 건지 방백인 건지 코미디였지요; fledgling님 재밌게라도 해드렸으니 이 글은 그나마 쓸모가 있었네요ㅎ;;

희선 2017-09-27 02: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소설을 쓰는 게 도를 깨우치려는 건 아닐까 싶기도 하네요 무언가 알고 싶은 게 있어서 깊이 파고드는 사람도 있으니까요 그걸 소설로 쓰는 거죠 그걸 알고 하는 사람도 있지만 나중에 아는 사람도 있을 것 같아요 자신이 쓴 소설이 늘어나면... 자신이 그걸 생각하고 쓰지 않았지만, 뭔가 하나의 줄기 같은 게 있을지도... 책을 읽고 쓰는 것도 비슷한 걸 쓰기도 합니다 그건 좀 다를지도 모르겠군요

뭔가 마구 쓰고 싶게 하는 책이 있는 듯해요 글쓰기 책은 더하지 않나 싶습니다 단편소설쓰기도 다르지 않겠네요 하지만 마음만 앞선다는...


희선

AgalmA 2017-09-27 20:36   좋아요 1 | URL
습작 초창기 땐 자기 일상, 과거, 생각들이 모조리 쏟아져 나옵니다. 어찌 쓸 지 잘 모르는 때니까요. 자기성찰을 자동적으로 하게 되죠. 이 단계를 넘어서야 습작이 아닌 진짜 소설적인 게 됩니다.

시 쓰는 사람들이 시집 가장 많이 볼 걸요? 글 쓰고 싶은 사람들이 글쓰기 책 많이 보듯. 일종의 장작이죠. 불씨를 꺼뜨리지 않으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