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기차역, 노숙자는 낡은 시집을 읽으며
기차가 들어오고 나가면 무심코 눈길을 주었다.
나는 염치 불구하고 시집 제목을 훔쳐보았다.
<불가능에게로>
시인의 이름은 너무 희미해서 읽을 수가 없었다.
기차는 철로에 앉은 비둘기들을 몰아내며 들어왔고 비둘기들은 도시의 눅눅한 하늘로 흩어졌으며 나는 기차를 탔다. 차창 너머로 보랏빛 시집 제목이 보였다. 내 목적지인 것 같았다.」
허수경 시인 <누구도 기억하지 않는 역에서> 뒤표지에 있는 글이다. 이 시집도 보랏빛이다.
강화로 가는 막차를 타기 1시간 전에 나는 이 시집을 빼 들었다.
이 시집을 다시 읽을 시간이 지금이 될 거라고 생각하지 못했다. 간다고 말은 했지만 강화로 가고 있다는 걸 지금 실감하듯이.
˝안 하고 싶습니다˝ 란 말을 뱉어놓고 나는 목적지를 정한 건지도 모른다. 어디로. 가고자 한 목적지가 정확하게 이것이었을까. 깜깜한 바깥을 내 속처럼 바라보고 있다.
밤이고, 길 위이며, 매 순간 낯선 사람 낯선 공간을 스쳐 지나간다. 이 이동은 누구도 기억할 필요 없는 나에게서 나에게로 가는 길이다.
오늘은 「포도나무를 태우며」시가 유독 밟힌다. 이 시의 표현을 빌자면, 나라는 존재는 미래에 죽은 나를 위한 음복 같다.
김포를 지난다. 자정 전엔 도착할 것이다.
내리기 전에 더 더 시를 읽자.
시는 아무것도 구할 수 없지만 지금을 구할 수는 있다.
포도나무를 태우며
서는 것과 앉는 것 사이에는 아무것도 없습니까 삶과 죽음의 사이는 어떻습니까 어느 해 포도나무는 숨을 멈추었습니다
사이를 알아볼 수 없을 만큼 살았습니다 우리는 건강보험도 없이 늙었습니다 너덜너덜 목 없는 빨래처럼 말라갔습니다
알아볼 수 있어 너무나 사무치던 몇몇 얼굴이 우리의 시간이었습니다 내가 당신을 죽였다면 나는 살아 있습니까 어느 날 창공을 올려다보면서 터뜨릴 울분이 아직도 있습니까
그림자를 뒤에 두고 상처뿐인 발이 혼자 가고 있는 걸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물어봅니다 포도나무의 시간은 포도나무가 생기기 전에도 있었습니까 그 시간을 우리는 포도나무가 생기기 전의 시간이라고 부릅니까
지금 타들어가는 포도나무의 시간은 무엇으로 불립니까 정거장에서 이별을 하던 두 별 사이에도 죽음과 삶만이 있었습니까 지금 타오르는 저 불길은 무덤입니까 술 없는 음복입니까
그걸 알아볼 수 없어서 우리 삶은 초라합니까 가을날이 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