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취는 숙취고 독서는 독서지. 헌해를 떼내는데 알코올의 힘을 빌리고 새해를 이리 맞아도 되나 하면서 이 하루를 보내며 다짐대로 새해 첫 책을 펼쳤다.
📎
"그는 자신이 [결국] 무엇에 도달하게 될지를 알고 있기 때문에, 즉 자신의 아침, 자신의 구원, 자신의 아침놀에 도달하게 될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긴 암흑과 이해하기 어렵고 은폐되어 있으며 수수께끼 같은 일을 감수하는 것이 아닐까?......"
ㅡ 니체 『아침놀』(니체 전집 10 )
이거 참 흥미롭군.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또예프스끼 『지하로부터의 수기』와 왜 때문에 닮은 거지??
도스또예프스키 『지하로부터의 수기』는 1863년에 쓰기 시작했고, 니체는 1880년에 『아침놀』 작업에 들어갔다. 지하생활자는 '이성과 합리주의ㅡ공리주의적 윤리학과 공상적 사회주의ㅡ에 강한 비판'의식으로 수기를 이어가고 있는데, 단적으로 "19세기의 영리한 인간은 도덕적으로 절대 어떤 성격을 가져서는 안 될 의무가 있다고 말한다." 도스또예프스키의 작품은 <우리들 중 누가 솔직하게 무엇이 악이고 무엇이 선인지 알고 있는가>라는 주제의식을 늘 깔고 있었기에 니체의 도덕 비판론인 『아침놀』과 맥이 닿을 수밖에 없다. 작년에 도스또예프스끼 5대 장편 다 읽고 한동안 도스또예프스키 안 볼 줄 알았더니 딴 책 읽다 또 걸리네ㅜㅋㅜ);;;
책을 꾸준히 읽어온 사람이라면 누구나 격려와 힘을 얻게 되는 작가와 책이 있을 것이다. 내겐 니체와 도스또예프스끼가 그런 것 같다. 니체가 칸트 『순수이성 비판』이 도덕의 유혹에 사로잡혀 지성과 철학을 '존엄한 도덕적 건축물'로 세운 것을 열렬히 비판하는 걸 보니 시원 안절부절 그렇다ㅋ; 올해 『순수이성 비판』읽으려 했는데 비판서부터 먼저 보고 있으니 이래도 되나ㅋㅜ);;;
뒹구르르~ 새해 첫날은 좋아하는 선인장 베개에서 책 파티닷~~~ 첫날부터 부지런한 사람이 되지 않을 테닷~ 이제까지 계속 그랬잖아-_- 안 부지런 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