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 25 | 2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관촌수필 문학과지성 소설 명작선 6
이문구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0년 2월
평점 :
품절


충청도 남부 사투리가 전라도 사투리와 비슷한 구석이 있다는 걸 새삼 느꼈다.

소설 속 그들의 인생은 두엄 냄새가 나는 것 같은, 그러나 불쾌하지는 않은 사투리처럼 그렇게 다가왔다. 이름들이나 나열해 보자.

선비 할아버지와 공산당 아버지, 옹점이, 대복이, 석공, 유천만과 그 아들 복산이...

 

옹점이 집 수색하러 온 순경한테 따지듯 내뱉던 이 대사가 가장 기억에 남는다.

 

"워떤 용천(나병)허다 올러감사헐 것이 그런 그짓말을 헙듀? 찢어서 젓 담글 늠, 그런 것은 안 잡어가유?"

 

대복이가 전쟁 중에 출정을 나갈 때 정거장에서 벌어지는 환송식의 아비규환을 묘사한 장면은 그 어느 기록화면보다도 처절하고 실감나게 느껴졌다.

 

무찌르자 오랑캐 몇천만이냐 대한 남아 가는 데 초개로구나...... 가슴을 치고 통곡하는 노파, 아무개를 숨넘어가게 부르고 몸부림치는 노인, 땅바닥에 데굴데굴 구르며 머리칼을 쥐어뜯어대는 아낙네, 제지하던 헌병에게 떠다박질려 고꾸라지며 코피가 터진 여자, 헌병의 가랑이를 붙들고 늘어지며 대신 나를 데려가라고 사정하는 노파, 헌병 구둣발길에 넘어졌다 일어나서 얼굴을 쥐어뜯으려고 덤비는 노파...... 전우의 시체를 넘고넘어 앞으로 앞으로...... 우리 학교 전교생은 목통이 터져라고 노래를 부르고, 호루라기 소리, 경찰관의 고함과 호통 소리, 떠난다고 울어대는 기적 소리, 젖먹이 아이들 우는 소리, 중고등학생들이 불고 치는 북소리 나팔 소리...... 동이 트는 새벽 꿈에 고향을 본 후 배낭 메고 구두끈을 굳게 매고서...... 노래를 불렀다. 기차가 움직이면 더욱 큰 소리로 노래를 불렀다. 만세를 부르고 박수를 쳐대고...... 기차가 엿가래 휘어지듯 산모퉁이를 돌아가버리면 아무도 없는 빈 철길을 맨발로 뛰어 쫓아가며, 아무개를 부르다가 치맛자락을 밟고 넘어지고, 다시 일어나 만세만세를 외쳐대던 백발 노파의 울부짖음, 너울너울 춤을 추다가 정신이 돌아버리던 허연 노파의 허연 눈동자...... 우리들은 만세와 군가만을 신나게 불러 대었다. (167-168)

 

내 부모 세대의 삶들이, 그들의 애환이 담긴 글들이었다.

나와 다른 시간과 공간에서 살았던 이들의 삶과 감정들을 읽어낼 수 있는 책이 흔치 않다.

낯선 낱말들 때문에 조금 더디게 읽히긴 했지만 한 시대의 (사실보다도 더 실감나는) 진실을 여실히 느껴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다 읽고 나니 그 옛날 대학 다닐 때 정말 재미나게 읽었던 임철우의 <그 섬에 가고 싶다>는 이 소설에 대한 오마주가 아니었나 하는 생각마저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eremy Thatcher, Dragon Hatcher: A Magic Shop Book (Paperback)
Coville, Bruce / Sandpiper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귀엽고 그림 잘 그리는 6학년 남자애가 어느날 이상한 마법 가게에서 용의 알을 얻어서 부화시킨 뒤 키운다는 얘기다.

 

용과 제레미는 의사소통을 텔레파시로 한다. 그러나 그 텔레파시는 언어가 아닌 그림(형상)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니 때로는 어떻게 그림으로 자기 의사를 표현할지 난감해 하는 장면이 자주 나온다.

용은 제레미와 제레미를 좋아하는 여친 메리한테만 보이고 다른 사람들에겐 보이지 않는다.

 

나는 이제 동심을 완전히 잃었나 보다.

별로 길지도 않은 이 책에 거의 몰입할 수가 없었다.

그냥 손에 잡았으니 마무리해야 한다는 의무감으로 읽었다고나 할까.

이야기 구조가 단순히 알을 획득하고 용을 키우고 헤어지는 거라 좀 싱거운 느낌이다.

마지막에 제레미가 용과 헤어질 때도 전혀 감정이입이 안됐다.

하지만 아이들은 재미나게 볼 수도 있겠다.

 

도서관 사서가 이별을 슬퍼하는 제레미한테 한 얘기만 기억에 남는다.

 

"Nothing you love is lost. Not really. Things, people-they always go away, sooner or later. You can't hold them, any more than you can hold moonlight. But if they've touched you, if they're inside you, then they're still yours. The only things you ever really have are the ones you hold inside your heart." (1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재승의 과학 콘서트 - 개정증보판
정재승 지음 / 어크로스 / 201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10년이 지나 개정판까지 나온 이 책을 이제서야 읽었다.

 

책 속에서 되풀이 되어 나오는 낱말이 '프랙털'과 '카오스'인데, 잭슨 폴록의 그림을 프랙탈 이미지로 설명하고 있다.

'프랙털'이란 말은 예일대 수학과 교수였던 브누아 만델브로트가 만든 용어이다.

아무리 작은 스케일에서 들여다보더라도 미세한 부분들이 전체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무한히 되풀이하고 있는 양상은 자연의 패턴들이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고 이것을 '프랙털'이라고 부른다는 것이다.

 

한참 전에 시각문화교육 관점에서 쓴 미술교과서에 나온 내용이 기억났는데, 다시 보니 프랙털에 대한 정확한 서술은 아니었던 듯싶다.

어쨌거나 한국 미술에도 프랙털 구조가 있다고 한다면 아프리카 사람들이 만든 전통 가옥 구조나 사하라 사막의 강풍을 막기 위한 천막 설치 등에서 프랙털 구조가 발견된 것과 같이 전 세계에서 매우 희귀한 사례가 될 것이다.

 

 

전 세계 사람들은 여섯 다리 건너 다 아는 사이다, 백화점에 창문이 없고 거울이 많은 이유 등과 같은 내용은 익히 들어온 거라 쉽게 느껴졌지만 복잡계 경제 이야기와 금융 공학은 사전 지식이 좀 필요하다 싶은 단락이다.

다행히 지난해 연말에 경제사 책 쉬운 거 하나 읽었으니 망정이지 뭔 말인지 못 알아들을 뻔했다.

 

그리고 '브라질 땅콩 효과'는 정말이지 나도 살면서 직관으로 깨달았던 자연 현상이다.

삽질을 많이 하다 보면 입자가 작은 흙은 아래에 깔리고 굵은 흙이나 자갈이 위로 드러난다는 걸 알게 된다.

이런 걸 연구하는 분야가 '알갱이 역학'이란다.

 

 

4악장에서 다루는 소음, 사이보그, 크리스마스(산타), 박수 부분은 좀 어려운 수식들이 등장하여 어려운 느낌이었지만 내용의 대략을 이해하는 데에는 지장이 없는 정도였다.

10년 전 책에는 없을 커튼콜 부분에서는 (박수로 끝내고 커튼콜로 에필로그를 삼는 자의식이 좀 거슬리기는 하지만) 천장이 높은 곳에서는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다는 얘기가 솔깃하다.

나중에 집을 지을 일이 혹시 있다면 참고해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의식과 전쟁 : 고대 국가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74
박대재 지음 / 책세상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인자'와 '작인'이라는 사회학 용어를 배웠다.

작인은 사회구조의 강제에 구애받지 않는 행위자의 능력을 가리킨단다.

삼국은 4세기 이후 중앙집권 국가로 전환했다는 기존의 가설을 부정하고 신라 중대 7-8세기를 제외하면 대부분 분권국가의 형태였을 거라고 주장한다.

또 불교가 중앙집권 국가가 성립할 수 있었던 사상적 배경이 아니라 중앙집권 이후에도 불교 이전의 전통적 의식체계가 남아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전통적인 정치사 위주의 역사 서술도 중요하지만 문화사, 사회사 등 다양한 방법으로 역사를 이해해야 한다는 이야기는 경청할 만했다.

 

 

 

책에서 발췌

 

 

인자(Agent): 개인, 집단
작인(Agency, 作因): 사회과학에서는 사회구조와 대비되어 정의됨. 사회구조의 강제에 구애받지 않는 행위자(들)의 능력을 가리킴. 작인에 따른 분석은 인간의 의도(전략), 자유의지, 선택을 강조하며 ‘개인’을 분석의 중심에 놓는다. (16)

근래의 종합적 구조주의에서 개인은 사회구조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구조를 재생산, 변형(구조화)할 수 있는 작인을 가진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17)

또한 기존 패러다임은 국가의 동인으로, 체계(구조)의 운영에 요구되는 물질요소(자원, 인구, 무역, 생산, 영역, 재정)를 지나치게 강조하면서 사회를 구성하는 인자(개인, 집단)의 ‘심성Mentality’과 관련된 인지(認知), 상징, 신앙, 의식(儀式) 등 비물질적인 요소에는 주목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게 된다. (17)

근세의 정치 이론에 따라 국가는 종교(형이상학)와 공존 고리를 잃어버렸고 인간의 종교는 단지 국가의 구조에 예속되어 있을 뿐이며 국가는 종교를 이용해 국가의 구조와 권력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인식되었다. (20)

민족고고학 Ethnoarchaeology
민족역사학 Ethnohistory
민족 ‘Ethno’은 근대 국가의 민족(nation)과 차이가 있다.
‘민족Ethno’이란 혈연, 문화(관습·신앙·언어), 역사(전통) 등을 공유하는 사회집단을 의미 (22)

분권국가는 독립적인 중앙집권과 강제적인 권력에 기반하지 않고 중앙에서 부분적으로 독립된 지방의 정치 집단들로 구성되며, 이들은 정치제도와 군사력의 강제에 의해서가 아니라 의식Ritual(신앙)의 이데올로기와 혈연을 통해 중앙의 국왕에 묶여있다. 국가를 ‘단일한Unitary’ 구조로 이해하는 중앙집권 국가 모델과 달리 분권국가 모델은 중앙과 지방 세력, 정부와 정치 집단 사이의 상호관계를 다양한 각도에서 역동적으로 파악하려 한다. (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소년을 위한 경제의 역사 즐거운 지식 (비룡소 청소년) 3
니콜라우스 피퍼 지음, 알요샤 블라우 그림, 유혜자 옮김 / 비룡소 / 200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투기에 대해 생각하게 만드는 글.

결국 돈은 버는 이들은 투기를 조장한 이들 뿐.

 

 

 

튤립은 16세기에 콘스탄티노플을 통해 유럽에 처음 소개되었다. 꽃잎이 터번처럼 생겼다고 해서 터키에서는 이 꽃을 터번이라는 뜻의 '툴리반드'라고 불렀다. 유럽 인들은 튤립을 이국적이고 비싼 꽃이라고 생각해서 앞다투어 정원에 튤립을 심었다. 튤립은 점점 부의 상징이 되어 많은 사람들이 무리를 해서라도 튤립을 사고 싶어 했다. 그즈음 주식으로 사람들의 살림이 넉넉해지자 튤립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할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그들은 지금 튤립 뿌리를 사 두었다가 나중에 튤립 값이 올랐을 때 되팔면 큰돈을 벌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사려는 사람이 많아지자 튤립 뿌리의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기 시작했다.

주식과 달리 튤립 뿌리는 눈으로 볼 수 있는 물건이어서 귀족이나 상인뿐만 아니라 수공업자, 농부, 하인 들까지 모두 투기 열풍에 휩싸였다. 증권 거래소에서는 튤립 증권이 거래되었고, 온 국민이 손가락 하나 까딱하지 않고 부자가 되기를 기대했다. 가격이 최고점에 이르렀을 때는 튤립 뿌리 하나가 2,500굴덴이나 했다. 그 돈이면 호밀 두 수레, 살진 황소 네 마리, 큰 돼지 네 마리, 양 열두 마리, 맥주 네 통, 포도주 두 통, 치즈 1,000파운드, 침대, 은으로 만든 잔과 양복을 살 수 있었다.

이런 튤립 열풍은 3년이나 계속되었다. 그러다가 1637년 어느 날, 몇몇 사람들이 생각처럼 높은 값에 튤립 뿌리를 팔 수 없음을 깨달았다. 기겁을 한 사람들은 가장 유리한 가격에 자기가 가진 튤립 뿌리를 모두 팔아 치웠다. 그제야 사람들은 튤립 뿌리가 정원에 심는 용도 말고는 전혀 쓸모가 없다는 것을 이해했다. 많은 사람들이 엄청난 혼란에 빠져 들었다. 팔려고 하는 사람은 많은데 사려는 사람은 없어 튤립 뿌리의 가격은 하루가 다르게 떨어졌다. 특히 나중에 돈을 벌면 이자를 갚을 수 있다는 생각에 빚을 얻어 튤립 뿌리를 산 사람들의 피해는 이만저만 큰 게 아니었다. 많은 사람들이 재산을 잃고 파산했다.

역사 속에서 투기 열풍은 늘 이와 비슷한 과정을 거치며 진행된다. 처음에 누군가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내면 많은 사람들이 열광적으로 참여하고 뒤이어 더 많은 사람들이 돈을 벌기 위해 끼어든다. 그러나 비누 거품이 사라지듯 열기가 식으면 시장은 혼란에 빠지고 사람들은 파산하고 만다. (115-1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 25 | 2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