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승의 과학 콘서트 - 개정증보판
정재승 지음 / 어크로스 / 201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10년이 지나 개정판까지 나온 이 책을 이제서야 읽었다.

 

책 속에서 되풀이 되어 나오는 낱말이 '프랙털'과 '카오스'인데, 잭슨 폴록의 그림을 프랙탈 이미지로 설명하고 있다.

'프랙털'이란 말은 예일대 수학과 교수였던 브누아 만델브로트가 만든 용어이다.

아무리 작은 스케일에서 들여다보더라도 미세한 부분들이 전체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무한히 되풀이하고 있는 양상은 자연의 패턴들이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고 이것을 '프랙털'이라고 부른다는 것이다.

 

한참 전에 시각문화교육 관점에서 쓴 미술교과서에 나온 내용이 기억났는데, 다시 보니 프랙털에 대한 정확한 서술은 아니었던 듯싶다.

어쨌거나 한국 미술에도 프랙털 구조가 있다고 한다면 아프리카 사람들이 만든 전통 가옥 구조나 사하라 사막의 강풍을 막기 위한 천막 설치 등에서 프랙털 구조가 발견된 것과 같이 전 세계에서 매우 희귀한 사례가 될 것이다.

 

 

전 세계 사람들은 여섯 다리 건너 다 아는 사이다, 백화점에 창문이 없고 거울이 많은 이유 등과 같은 내용은 익히 들어온 거라 쉽게 느껴졌지만 복잡계 경제 이야기와 금융 공학은 사전 지식이 좀 필요하다 싶은 단락이다.

다행히 지난해 연말에 경제사 책 쉬운 거 하나 읽었으니 망정이지 뭔 말인지 못 알아들을 뻔했다.

 

그리고 '브라질 땅콩 효과'는 정말이지 나도 살면서 직관으로 깨달았던 자연 현상이다.

삽질을 많이 하다 보면 입자가 작은 흙은 아래에 깔리고 굵은 흙이나 자갈이 위로 드러난다는 걸 알게 된다.

이런 걸 연구하는 분야가 '알갱이 역학'이란다.

 

 

4악장에서 다루는 소음, 사이보그, 크리스마스(산타), 박수 부분은 좀 어려운 수식들이 등장하여 어려운 느낌이었지만 내용의 대략을 이해하는 데에는 지장이 없는 정도였다.

10년 전 책에는 없을 커튼콜 부분에서는 (박수로 끝내고 커튼콜로 에필로그를 삼는 자의식이 좀 거슬리기는 하지만) 천장이 높은 곳에서는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다는 얘기가 솔깃하다.

나중에 집을 지을 일이 혹시 있다면 참고해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