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색하게만 느껴지만 '2000'이라는 숫자가 쏜살같이 금새 흘러 '2008'이라는 숫자를 온통 눈 앞에 던져놓았다. 새로울 것 없는 해뜨고 해지는 하루하루이겠으나, 그래도 새해라고 하는 신새벽에 뭔가 올해의 화두는 있어야 하지않겠나.

새로운 것을 기대하기 전에 솔직히 과거로 다시 돌아가지나 않을까 하는 우려도 들지만, 그 정도로 경직되고 어두운 사회는 이제 아니라고 믿는다. 헌팅턴은 정권교체 두번이면 절차적 민주주의는 갖추어진 사회라고 했다고도 한다. 이제 우리도 그 정도의 절차적 민주주의는 갖춘 셈이라 위안한다.

다만, 내가 안타까운 것은 뭐든 쌓는 것은 지난하고 어려우나, 뭉개는 것은 한 순간이라는 것이다.

유신의 암흑같던 세월과 80년대 치열하고 전쟁같던 역사는 87년 단일화 실패로 10년이라는 세월을 더 견뎌서야 정권교체라는 열매를 주었다. 그리고 딱 10년. 97년부터 2007년이 되어서 정권은 다시 넘어갔다. 그러나 그 정권창출이라는 것에 나는 그저 '세속적인 정치적 관심'을 가졌을 뿐이다. 2007년을 보내면서도 아직도 찜찜한 것은 나의 '근원적인 정치적 관심'조차도 엉망진창이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새해아침에 낡은 필름을 뒤적거리다 1996년 신한국당(민정당, 민자당의 후신이며 한나라당의 전신이다)의 노동법 개악에 길거리 시위현장에서 만난 사람들을 본다.



이제는 흔해빠진 말이 되었지만 나는 이때 처음으로 '비정규직'이라는 말을 들었다. 이때 백선생님은 많이 늙었던 기억이다. 길에서 듣던 그의 목소리에 가슴이 쩌렁쩌렁 찢어지던 기억으로 뵙다 한겨울에 야윈 모습을 뵈니 마음이 편치않았다. '선생님... 사진 한 장 찍겠습니다.'고 찍은 사진이라 표정도 어색하시기만 하다.



내 카메라는 줌이 되지 않는 50mm. 내가 가장 가까이 갈 수 있는 최대한의 거리에서 찍은 단병호 위원장(현 민주노동당 국회의원)의 사진이다. 더 가까이 가지 못한 이 사진이 오히려 더 그를 경외스럽게 보이게 했다.



민노총과 한국노총의 공동집회에서 권영길씨를 찍은 사진이다. 역시 내가 갈 수 있는 최대한의 거리였다. 그것도 기자들 틈을 비집고 들어가 찍은 사진이다.

10년동안 창당도 했고, 국회에도 입성했고, 원내 3당으로 자리도 갖췄지만 나의 '근원적인 정치적 관심'은 올해 처참할 정도로 뭉게졌다. 물론 실망하고 끝낼 일은 더더구나 아니지만, 많은 세월동안 쌓아온 것들이 온전히 다시 서려면 아프지만 되돌아 반성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믿는다. 아주 힘들수도 있겠으나, 되돌아 반성해야만 할 것이다. 가는 길이 틀리지 않다면. 

새해아침에 낡은 사진들을 들추며, 새삼스럽게 나는 패배가 참된시작이라는 말을 떠올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